재무제표 공시 검색 방법, 전자공시시스템을 이용한 재무제표 찾는 방법 알아보자!
본 글은 재무제표 공시 검색 방법으로 전자공시스템 사이트 DART를 이용해 기업이 공시한 재무제표를 찾는 방법 (확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주요한 경영 성과를 일정한 주기로 제공해주고 있는 매우 유용한 정보입니다. 그러한 점에서 재무제표 공시 내용을 검색해서 직접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무제표 공부 또는 자신이 투자한 혹은 투자할 회사에 대한 재무제표 확인을 위해 회사 재무제표를 찾는 방법에는 여러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중에서도 전자공시시스템 DART를 이용해 재무제표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우선, 전자공시시스템 DART 사이트 (주소 : dart.fss.or.kr)로 이동합니다.
참고로 전자공시시스템은 대한민국 금융감독원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는 전자 공시 시스템입니다.
전자공시시스템 DART 접속화면
전자공시시스템에 접속하게 되면, 위의 화면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 검색을 위해서는 위 화면에서 보실 수 있는 바와 같이, DART 사이트의 첫 화면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 검색 예시 : 신한금융지주회사
위 화면은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재무제표 검색을 위해 입력한 정보입니다.
4대 재무제표로 불리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결손금처리계산서), 현금흐름표에 대한 정보는 정기 공시 내용으로써,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시기에 따라 사업보고서, 반기보고서, 분기보고서 등에 나타납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회사명"을 입력하고, 확인하실 재무제표의 공시일을 "기간"에 입력하세요. 앞서 이야기 했듯이, 4대 재무제표는 정기공시 사항에 해당되므로 "정기공시" 부분을 체크해주세요.
이후, "검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 원하시는 기간에 해당하는 각종 보고서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가 있는 각종 보고서 검색 결과 예시
위 화면은 신한금융지주의 재무제표를 본 글의 예제로써 검색한 화면입니다.
화면에서 보실 수 있는 조건으로는 2건의 보고서 (분기보고서, 사업보고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중 원하시는 유형의 보고서를 확인하시게 되면, 아래와 같이 재무제표가 있는 보고서의 공시 내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창이 나타납니다.
재무제표 확인 가능한 보고서 내용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사업보고서에는 다양한 내용이 있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하시는 김에 회사의 개요, 연혁, 주식의 총수, 배당에 관한 사항 등 다양한 내용을 확인해보시는 것도 재무제표 공부를 넘어서 매우 회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속하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결손금처리계산서), 현금흐름표 정보는 "재무에 관한 사항" 항목에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다양한 형태와 세부항목들이 있으므로 "재무에 관한 사항"에 있는 내용을 차근차근 살펴보시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처음 이런 보고서를 보시는 분들은 4대 재무제표 중 가장 먼저 "대차대조표"를 확인하시고 싶으셔서 아무리 찾아도 이 "대차대조표"라는 단어를 찾기 힘드실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가 우리가 흔히 부르는 "대차대조표" 입니다.
쉽게 자신이 원하는 회사의 재무제표를 확인하실 수 있으신가요?
재무제표는 회사에 대한 중요한 재무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 정보의 핵심" 입니다.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회사의 상태와 상황을 아는 것입니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회사는 분명, 수익을 위한 경영 성과를 어떠한 형식으로던 표현하게 됩니다.
상장 법인의 경우, 이토록 자신이 원하는 회사의 4대 재무제표와 이에대한 요약 (요약재무제표)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주기적으로 재무제표를 확인하신다면, 분명, 다른 투자자들과는 차별화된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개인도 ETF처럼 투자할 수 있는 기업검색의 비밀
뉴스, 공시, 재무, 보고서 등 기업에 대해 긁을 수 있는 모든 정보를 긁어 몇 초 만에 가치 있는 정보로 바꿔주는 회사 이야기입니다. 마치 증권사 리서치센터를 내 손안에 넣어주는 서비스인 셈인데요. 기업 검색엔진 딥서치 이야기입니다. 이 회사가 어떻게 AI를 활용하는지 김재윤 대표로부터 들어봅니다.
이재원 기자, 박하영 디자인기자, 홍재의 기자
최재홍 강릉원주대/교수, 강채은 디자인기자
홍재의 기자, 이수연 디자인기자
이재원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최재홍 강릉원주대/교수, 강채은 디자인기자
홍재의 기자, 장민주 디자인기자
이유미 기자, 김응찬 디자인기자
홍재의 기자, 박하영 디자인기자
이재원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귀하는 이와 같은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으며 동의 거부 시에도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없습니다. 단, 동의 거부 시 회원 가입이 제한됩니다.
웨비나-온라인에 투자 할 민간 기업과 피해야 할 기업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팁-투자자의 관점에서
질문 및 답변-사전에 질문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웨비나가 끝날 투자할 기업 검색 무렵 실시간 질문에 답변 할 것입니다.
호스트 정보
Rod Turner는 연쇄 창업가이며 NASDAQ의 XNUMX 건의 IPO와 XNUMX 개의 성공적인 스타트 업에서 핵심 임원이었습니다. 그는 Regulation A +, IPO 및 주식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기업 자본 조달 전문가입니다.
내 캘린더에 추가
가입하기 더 요금 없음 예약 및 확대 / 축소 회의 초대를 보내드립니다.
참고 : 확인 이메일을받지 못한 경우 다음 주소로 이메일을 보내주십시오. [email protected] 가입 한 것과 동일한 이메일을 사용합니다.
공개 : Manhattanstreetcapital.com은 FundAthena, Inc.의 DBA 인 Manhattan Street Capital (“MSC”)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웹 사이트입니다. MSC는이 웹 사이트에서 투자 및 예약 제안을하는 회사가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이러한 수수료를 지불하면 MSC가 투자자와 이해의 상충에 빠질 수 있습니다. MSC보기 수수료 일정은 여기에. 이 웹 사이트 또는 그 페이지에 접속하면 귀하는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 수시로 수정되며 가장 최근에 귀하가이 웹 사이트 또는 그 페이지에 액세스 할 때 적용됩니다. 이 웹 사이트의 어떠한 내용도 그러한 제안이나 권유가 불법 인 관할권의 모든 사람에게 증권을 판매 제안 또는 구독 또는 구매 제안 권유를 구성하지 않습니다. 따라서이 사이트에 상장 된 회사의 주요, 첫 페이지 또는 눈에 띄는 위치는 권장 사항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해당 상장 회사로 트래픽을 유도하는 다양한 알고리즘 또는 선택을 기반으로 할 수 있습니다. MSC는 로펌, 평가 서비스, 보험업자, 중개인-딜러 또는 Title III 크라우드 펀딩 포털이 아니며 그러한 등록이 필요한 활동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투자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MSC는 거래를 구조화하지 않습니다. MSC 직원의 조언을 이러한 직업에 종사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의 조언을 대체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마십시오. Rod Turner가 조언을 제공 할 때이 조언은 온라인 오퍼링의 마케팅 관점에서 작동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그의 관찰을 기반으로합니다. Rod는 청중에게 무엇을해야하는지, 어떻게해야하는지 말하지 않습니다. 그는 온라인 맥락에서 비용 효율적으로 마케팅하기가 가장 쉬울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을 청중에게 조언합니다. 회사 오퍼링의 모든 측면에 대한 선택은 오퍼링을 제공하는 회사가합니다. 상장 회사는 개정 된 506 년 미국 증권법 ( "증권법")에 따라 규정 D의 규정 506 (b) 또는 규정 1933 (c) ( "규정 D")에 따라 초기 단계 자본 조달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는 증권법 ( "규정 A")에 따른 규정 A ( "규정 A +"라고도 함)에 따라. 상장 회사의 오퍼링은 상장 회사 및 그 증권과 관련하여이 웹 사이트에 포함 된 모든 정보가 해당 상장 회사에 의해 제공되었으며 책임입니다. 규정 D의 규칙 506 (b) 또는 규칙 506 (c)에 따라이 웹 사이트에 상장 된 회사의 오퍼링은 일반적으로 규정 D에 정의 된 "공인 투자자"에게만 제공됩니다. 공인 투자자는 상장 회사를 식별 할 수 있습니다. 규칙 506 (b) 오퍼링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 후에 관심을 가질 수있는 반면, 규칙 506 (c) 오퍼링은 일반 대중이 볼 수 있습니다. 규정 A에 따라 만들어진 제안은 일반 대중이 볼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제공됩니다. 증권, 특히 신생 기업이 발행 한 증권에 대한 투자는 상당한 위험을 수반하며 투자자는 전체 투자 손실을 감당할 수 있어야합니다. 모든 투자자는 자신의 독립적 인 평가와 분석을 바탕으로 투자 여부를 스스로 결정해야합니다. 우리를 참조하십시오 투자자 위험 및 교육 안내서. MSC는 증권을 제공하는 상장 회사가 제공 한 정보가 정확하거나 완전하다는 것을 확인하거나 그러한 증권의 평가가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하거나 보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MSC에 게시 된 콘텐츠 (블로그, FAQ, 뉴스)에는 잘못된 정보가 포함되어있을 수 있으며 항상 전문적인 조언을 구하십시오. MSC, 이사, 임원, 직원, 대리인, 계열사 또는 대리인은이 문서에 게시 된 자료의 오류나 불완전 성 또는 준비 과정에서의주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책임을지지 않습니다. 웹 사이트. MSC는 법적, 회계 또는 세금 관련 조언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반대의 표현이나 의미는 명시 적으로 포기됩니다.
Article at a Glance
세계 최고의 투자가로 꼽히는 워런 버핏은 한 번 주식을 사면 오랫동안 팔지 않고 보유하는 장기 투자자로 유명하다. 그 밖에도 미래의 가능성을 보고 투자하기보다는 현재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는지를 본다든가, 배당을 잘하는 기업을 선호하는 등 그는 투자대상을 꼼꼼히 분석하고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투자 철학을 살펴보면 주식 투자에 성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편집자주 최종학 서울대 교수가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회계학을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회계를 통해 본 세상’ 시리즈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를 통해 독자들이 회계를 받아들이고 비즈니스에 잘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워런 버핏은 세계 최고의 투자가로 유명하다.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시에 거주하므로 사람들은 그를 ‘오마하의 현인(Oracle of Omaha)’이라고도 부른다. 그의 총자산은 2018년 기준 대략 850억 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 부자로 꼽힌다.
부의 원천은 그가 운영하는 버크셔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라는 회사다. 이 회사의 본업은 주식 투자다. 수많은 회사의 주식을 사서 보유한다. 자산운용사 정도의 회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는 1964년 원래 섬유회사였던 버크셔해서웨이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이후 업종을 완전히 변경해 수많은 회사에 투자하면서 회사를 발전시켰다.
워런 버핏은 성공적인 투자 성과 때문에 유명한 것만은 아니다. 그는 직설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널리 전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유명해지기 전인 젊은 시절 한때는 대학교에서 투자법에 대해 강의하기도 했다. 정치적으로는 열렬한 민주당 지지자임에도 불구하고 경제 정책과 관련해서는 오바마 전 대통령을 수차례 날카롭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언론뿐만 아니라 버크셔해서웨이의 주주들과도 주주총회장에서 직접 만나 많은 대화를 나눈다. 버크셔해서웨이 한 주 가격이 2018년 기준 32만 달러(약 3억6000만 원)가 넘으므로 한 주만 보유한 주주라고 해도 상당한 부자인 셈이다. 버크셔해서웨이 주주총회에는 매년 전 세계 많은 주주가 참석해 버핏의 견해를 들으려고 노력한다. 우스갯소리이기는 하지만 전 세계에서 중국 공산당대회 다음으로 많은 수의 백만장자가 한꺼번에 모이는 장소가 바로 버크셔해서웨이의 주주총회라고 한다.
버핏은 또한 매년 ‘버핏과의 대화’를 입찰에 부쳐서 입찰에서 승리한 사람과 식사를 하며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버핏과의 대화’의 최종 입찰가격은 2018년 330만 달러(약 37억 원)였다. 최근 몇 년간 비슷한 수준의 금액에서 입찰 승자가 결정됐다. 그를 만나기 위해 이 정도의 돈을 내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버핏은 이렇게 번 돈을 자선단체에 기부한다.
워런 버핏은 이처럼 다양한 기회를 통해 사회와 소통하면서 자신이 투자하는 기업의 회계 처리와 공시, 경영자 보상과 지배구조, 투자와 자금 조달 원칙에 대해 이야기했다. 사람들은 그의 이야기가 사실인지 궁금해 한다. 일부 사람들은 이런 이야기가 단지 홍보 목적일 뿐이며 ‘실제로 워런 버핏이 투자할 때는 이런 원칙들을 별로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다’고 한다. 워런 버핏은 실제로 어떤 기업들에 투자할까? 미국 워싱턴대 보웬(Bowen) 교수 등의 연구팀이 이 주제에 대해 연구했다. 1 1 Bowen, Rajgopal, and Venkatachalam, ‘Is Warren Buffett’s Commentary on Accounting, Governance, and Investing Practices Reflected in the Investment Decision and Subsequent Influence of Berkshire Hathaway?’, The Accounting Review, 2014년. 이 논문에 언급된 내용들 중 한국 기업과 별 관계가 없는 사항들은 생략했다. 닫기 이 연구의 발견에 대해 살펴보자.
회계 처리와 공시에 대한 버핏의 견해
버핏은 1998년 발행된 버크셔해서웨이의 연차보고서에서 “우리는 우리가 소유한 회사들의 CEO들에게 회계 처리 때문에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이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 경영자는 무엇이 중요한가를 고려해야지, 어떻게 기록될 것인가를 고려하면 안 된다(We want our managers to think about what counts, not how it will be counted.)”라고 말한 바 있다. 회계장부에 표시되는 이익 수치 때문에 경영 의사결정이 달라져서는 안 된다는 그의 견해를 나타낸 말이다.
구체적으로 그가 회계 및 공시와 관련해 언급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1)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 이익)를 의사결정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여러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EBITDA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 2 EBITDA의 문제점이나 버핏의 EBITDA에 대한 견해에 관해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숫자로 경영하라2』에 실린 ‘EBITDA 지표가 놓친 것들을 들여다보자’라는 글과 『숫자로 경영하라3』에 실린 ‘EBITDA의 성과평가와 투자의사결정 목적으로의 활용’이라는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닫기 (2) 단기 이익이나 성장률 예측치를 발표하고, 이 예측치를 달성하기 위해 무리한 단기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기업의 장기 발전에 좋지 않다. 따라서 단기 예측치를 차라리 발표하지 말아야 한다. (3) 과거 경영자가 발표한 예측치나 애널리스트들이 발표한 예측치를 달성했다고 자랑하는 경영자들이 있다. 경영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신이 아니다. 예측치를 달성하기 위해 경영자들이 이익을 조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 (4) 퇴직자들에게 미래에 지급해야 할 금액을 의미하는 퇴직급여나 연금부채를 추정할 때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가정을 해야 한다. (5)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사업보고서에 사용해야 한다. 3 3 한국 기업들에서는 퇴직급여나 연금부채의 금액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지만 미국 기업들은 이 금액이 매우 크다. 따라서 미래에 지급해야 할 금액을 현재 추정해 현재의 비용과 부채로 기록하는데 기업들이 종종 낙관적인 가정을 사용해 비용과 부채를 과소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즉, 이는 회계 처리를 얼마나 낙관적으로 수행하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이를 좀 더 일반화해서 국내 기업에 적용한다면 회계 처리를 얼마나 보수적으로 하는가를 판단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닫기 외부 사람들이 읽었을 때 이해하기 힘든 설명을 사용하는 경영진은 무엇인가 숨기려고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버핏은 과연 자신의 발언대로 투자할까? 실제로 버핏이 투자한 기업들을 살펴보면 이들은 다른 기업에 비해 (3)과 (4) 기준을 잘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기준에서는 버핏의 투자 기업과 다른 기업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4 단, 이 내용은 분석의 대상이 된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의 효과를 통계적 기법을 통해 제거하고 난 후의 결과를 말한다. 이런 요인들을 제거하지 않고 단순히 버핏이 투자한 기업과 다른 기업들의 평균만 비교하면 다른 결과가 투자할 기업 검색 도출되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버핏의 투자 기업들이 평균적으로 이익예측치를 달성하는 정도가 더 높은데(71% vs. 63%), 이는 버핏 투자 기업들의 성과가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성과를 통제하면 버핏의 투자 기업들이 이익예측치를 달성하는 정도가 낮다. 통계에 대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이런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투자할 기업 검색 단지 평균만 비교해 잘못된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닫기
경영자 보상과 이사회 구조에 대한 버핏의 견해
버핏은 경영자 보상이 주주의 부와 연계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많은 경우, 회사의 경영 성과가 좋을 때는 기업 성과와 경영자에 대한 보상의 연계 정도가 높고 반대로 경영 성과가 나쁠 때는 그 연계 정도가 낮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회사가 잘될 때는 주주와 경영자 모두 많은 보상을 받는데 회사가 잘 안될 때는 주가가 떨어져서 주주는 손해를 보는 데도 경영자의 보상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때가 많다는 것이다. 아울러 그는 이사회나 강력한 외부 주주들이 함께 경영자의 행동을 감시 또는 견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그가 경영자 보상과 이사회의 구조에 대해 언급했던 내용은 다음과 같다. (6) 최고경영진에 대한 보상이 과다해서는 안 된다. 과다한 부를 탐내는 탐욕스러운 경영자들이 일부 있다. (7) 경영자 보상과 성과는 밀접하게 연관돼야 한다. 즉, 성과가 변하면 보상이 이에 연동해 변해야 한다. (8) 성과가 나쁠 때 경영자 보상과 성과와의 연계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 성과가 나쁠 때 주주가 손해를 보는 것처럼 경영자도 보상을 덜 받아야 한다. (9) 단지 다른 기업의 경영자들이 더 많은 보수를 받는다고 해서 우리 기업의 경영자에게 더 많은 보수를 줄 수는 없다. (10) 경영자 보상은 경영자가 얼마나 많은 초과 이익(이익 - 자본비용)을 올렸느냐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 더 많은 자본을 투자하면 이익이 더 커지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따라서 단순히 이익이 얼마나 많으냐가 아니라 투하된 자본에 비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올렸는지를 진정한 성과로 봐야 한다. 경영자 보상도 이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 (11) 경영자 보상 중 스톡옵션의 비중은 적어야 한다. (12) 이사회의 다수는 사외이사여야 한다. 사외이사들이 경영자의 행동을 감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13) 이사들은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이사들이 주주와 동일한 마음으로 행동할 수 있다. 5 5 이 내용을 (6)과 합해 생각해 보면 버핏은 보상수단으로 스톡옵션보다 주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닫기
(14) 이사는 이사의 능력과 성과에 따라 선정돼야 한다. 다양성을 높이겠다는 의도에서 또는 이름이 잘 알려진 사람이라서 뽑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이사회의 다양성이란 이사회 안에 얼마나 많은 여성 또는 백인 이외의 인종 또는 다양한 국가 출신의 사람들이 포함되느냐를 의미한다. 많은 미국 기업은 단지 외부에 보여주기 위해 이사를 고르고 있다.
이 내용 중 (11)에 대해서 일부 설명이 필요하다. 스톡옵션에 대한 버핏의 견해는 다소 충격적이다. 스톡옵션은 경영자가 열심히 일할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경영자와 주주의 부를 연동하는 수단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톡옵션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도 많다. 결국 버핏은 스톡옵션이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과하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보는 쪽이다. 6 6 이런 비판에 대해서는 『숫자로 경영하라』의 ‘스톡 옵션은 왜 사라졌을까?와 ’EVA, 과연 만병통치약일까?‘를 참조하기 바란다. 결국 버핏은 스톡옵션보다 EVA를 사용해서 보상하라는 의견이다. 필자는 이 두 글에서 EVA나 스톡옵션 모두 장점과 단점을 가진 제도라고 설명한 바 있다. EVA와 비교할 때 스톡옵션이 좀 더 과감한(또는 무리한) 경영자 의사결정과 과한 보상을 야기하는 제도라는 단점을 지닌다. 닫기
그렇다면 버핏은 과연 자신의 언급대로 투자할까? 실제 버핏이 투자한 기업들을 살펴보면 이 기업들은 다른 기업에 비해 (6), (7), (8), (13), (14)의 기준을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에 대해서는 버핏의 주장과는 반대로 버핏 투자기업들의 사외이사 숫자가 다른 기업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기준에서는 버핏 투자기업들과 다른 기업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투자와 자금 조달 원칙에 대한 버핏의 견해
버핏은 경영자의 성과를 투하 자본 대비 수익률(과다한 부채비율과 회계 조작 없이 계산된)이 얼마인지 보고 평가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버핏이 언급한 투자와 자금 조달 원칙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5) 기업은 이해하기 쉬운 사업을 영위해서 꾸준하고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 (16) 기업은 많은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 (17) 기업은 장기적으로 볼 때 경쟁우위를 가져야 한다. (18) 보유한 유형자산 때문에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보다 보유한 무형자산 덕분에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을 선호한다. (19) 부채를 과하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 (20) 주식 분할이 주가를 상승하게 하므로 주주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21) 배당을 잘 지급하는 기업을 선호한다. (22) 주가가 과대평가되는 것보다는 내재가치와 유사한 것을 선호한다. (23)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려면 주가의 내재가치가 주가보다 높거나 최소한 같아야 한다. (24) 주식 교환을 통해 타 회사를 인수해 합병할 때도 내재 가치가 주가보다 높거나 최소한 같아야 한다.
이 내용들의 대부분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일부에 대해서는 설명이 필요하다. (15)와 관련해 버핏은 수차례에 걸쳐 이런 기업을 선호한다는 자신의 투자 철학을 밝힌 바 있다. 꾸준하고 안정적인 이익이 창출되는 것을 선호하므로 버핏은 이익이 아직 투자할 기업 검색 발생하지 않은 초기 단계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꺼린다. 즉, 미래의 성장에 대한 기대보다는 과거의 증명된 경영 성과를 보고 투자한다.
(16)에서 버핏이 언급한 이익은 두 가지로 정의된다. 첫째, 회계 기준에 따라 계산되는 이익이 아니라 버핏이 스스로 정의한 ‘소유주 이익(owner earnings)’이라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이익+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연평균 투자 목적의 자금 지출액’을 말한다. 둘째, 투하자본 대비 얼마나 많은 이익을 올렸는지, 즉 EVA를 말한다.
(20)에 대해서는 설명이 필요하다. 주식을 분할하면 주가가 하락한다. 예를 들어, 주식을 1대2로 분할하면 기존의 한 주가 두 주로 나눠진다. 즉, 주식 수가 두 배로 늘면서 주당 주가는 절반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주식의 총시장가치는 이론상으로 변함이 없다. 그러나 실제로는 주가가 약간 상승하고 거래 빈도도 늘어난다. 주가가 낮아지면서 사람들이 좀 더 부담 없이 주식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유동성 프리미엄이 생겨서 주가가 상승한다. 7 7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2018년 5월 1대50의 액면분할을 했다. 주가가 50분의 1로 낮아지면서 주식 숫자가 50배로 늘었다. 삼성전자가 액면분할을 결정한 이유는 삼성전자 주가가 비싸서 거래가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주식의 유동성이 낮기 때문이며 삼성전자 측에서는 액면분할의 결과로 개인투자자 비중이 늘고 주가도 약간 오를 것으로 기대한다는 내용이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닫기
그런데 이 과정을 통해 새로 주식을 구매한 주주들은 대부분 단기 투자자다. 소량의 자금을 투자했고 수시로 주식을 사고파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기업의 장기 성과에는 큰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주주들 중 단기 투자자 비중이 높아지면 경영자가 장기적 관점에서 회사를 경영하기 힘들다. 버핏은 한 번 주식을 사면 최소 수년, 보통 수십 년씩 보유하는 장기 투자자이므로 단기 투자자들 때문에 경영진이 휘둘리고 단기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앞서 ‘회계 및 공시에 대한 버핏의 견해 (2)’에서 언급한 대로 경영진이 단기 이익목표를 발표하거나 (3)에서 언급한 대로 경영진이 단기 이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싫어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래서 버크셔해서웨이 주가가 3억6000만 원이 넘어가는 현재까지도 주식 분할을 하지 않는다. 즉, 단기 투자자가 버크셔해서웨이의 주식을 구매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것이다.
(21)에 대해서도 설명이 필요하다. 버크셔해서웨이는 한 번 매수한 주식은 장기간에 걸쳐 보유하므로 피투자기업의 주식을 잠시 보유하다 팔아서 현금 수익을 올리는 일을 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피투자기업이 지급한 배당을 받아 필요한 비용으로 사용하거나 새로운 투자를 한다. 따라서 피투자기업의 배당 지급을 선호한다. 그런데 버크셔해서웨이는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다. 배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계속해서 투자를 통해 기업을 성장시킨다. 즉, 버크셔해서웨이의 주주들은 배당 지급보다 회사가 계속 투자해서 성장하는 것을 더 원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버핏이 ‘배당을 지급하는 회사가 더 좋은 회사’라고 생각한다고 보기는 힘들다. 다만 버핏의 회사 운영 스타일상 배당을 지급하는 회사를 선호할 뿐이다. 8 8 많은 금융계 사람도 배당이 주가를 결정하므로 배당을 많이 주는 회사에 투자하라고 투자할 기업 검색 조언한다. 그러나 학자들이 분석해보면 금융계 사람들의 주장과 달리 주가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배당이 아니라 이익이다. 이익이 높은 기업들은 배당을 더 많이 지급하는 것인데,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배당을 더 많이 지급하므로 주가가 높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통계적 방법론을 사용해 이익을 통제하고 나면 배당이 주가를 설명하는 점은 거의 없다. 예를 들어, 배당을 늘리면 주가가 단기적으로 상승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주가는 결국 이익 수준에 알맞게 형성되고 배당의 영향은 거의 없다. 단기적으로 상승했던 주가도 시간이 흐르면서 이익 수준에 맞게 회귀한다. 닫기
버핏의 투자 스타일에 대한 결론
과연 버핏은 자신이 말한 대로 투자와 자금 조달 원칙을 따르는 기업들에 투자할까? 실제 버핏이 투자한 기업들을 살펴보면 이 기업들은 다른 기업들과 비교할 때 (15)부터 (21)까지의 항목들이 모두 버핏의 주장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22), (23), (24)는 버핏이 투자한 기업들이 다른 기업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단, (23)과 (24)의 경우는 실제로 주식을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주식 교환을 통해 타 회사와 합병한 피투자기업의 숫자가 너무 적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비교가 힘들었다.
이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버핏이 투자하고 있는 기업들은 대부분 버핏이 여러 경로로 언급한 우수한 기업의 특징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버핏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셈이다. 다만 추가 분석 결과, 버핏이 투자한 기업들은 버핏이 투자하기 이전부터 이런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핏이 투자한 이후 버핏의 경영 철학에 따라 기업 행태가 바뀐 것이 아니라 버핏이 이런 행태를 가진 기업들을 주로 투자 대상으로 골랐다는 의미다.
버핏의 투자 행태가 옳을까? 앞에서 일부 언급한 내용이 있지만 과학적으로 분석해봤을 때 버핏의 투자 행태가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다. (2)의 내용과 달리 단기 이익예측치라도 이를 발표하는 기업이 발표하지 않는 기업보다 더 좋은 성과를 낸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뭔가 숨기고 싶은 기업들은 아무 발표도 하지 않는다. (18)의 경우, 버핏의 개인적인 취향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버핏이 보험회사 주식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것처럼 버핏은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를 선호한다. 이는 미국 산업구조가 제조업 쇠퇴 및 서비스업 발달로 발전해온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렇지만 한국과 같은 제조업 중심의 사회에서도 (18)의 기준이 과연 옳은 것인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제조업들이 더 빨리 성장해 왔고 앞으로도 성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0)과 (21)은 기업의 본질가치와는 크게 상관이 없다.
지금까지 버핏의 투자 스타일을 정리했다. 학자들은 좀 더 간단히 버핏이 투자하는 기업들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하기도 한다. (ⅰ) 변동성이 적고 상대적으로 투자할 기업 검색 안정적인 기업, (ⅱ) 내재가치가 현재 주가보다 높은 기업, (ⅲ) 수익성이 우수하고 빠르게 성장하며 배당을 꾸준히 지급하는 기업이다.
나는 어떻게 투자하고 있는가?
앞서 설명한 것처럼 버핏의 철학이 대부분은 옳지만 모두 옳은 것은 아니다. 또한 일부가 옳지 않다고 해서 그런 조건에 해당하는 기업에 투자하면 안 된다는 뜻도 아니다. 다만 그런 기업들이 다른 기업들보다 더 우수하다고 보기는 힘들다. 버핏의 투자 성향에 따라 특정 성격을 가진 기업들이 선택된 것뿐이다.
다만 한 가지는 분명히 하고 싶다. 버핏은 확고한 투자 철학을 갖고 있으며 피투자기업을 선정할 때 이런 기준을 적용해서 해당 기업을 철저히 분석한다. 버핏은 연차보고서 내용과 재무제표를 꼼꼼히 읽고 회사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라고 수차례 강조한 바 있다. 장기 투자도 강조한다. “10년간 보유할 주식이 아니라면 10분도 보유하지 마라” 또는 “영원히 보유할 주식을 사라”고 할 정도다. 그는 단기간의 주가 변동에는 신경 쓰지 않는다.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기업을 사는 것”이라는 말도 했다. ‘단기간의 주가 변동을 노려서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봤을 때 기업이 얼마나 발전할 것인지 판단해서 주식을 사라’는 얘기다.
과연 나는 어떻게 투자를 하고 있는가? 나도 버핏처럼 확고한 투자 철학을 갖고 있는지, 사업보고서나 재무제표를 열심히 읽고 투자대상 기업을 분석하는지, 참을성 있게 기다리면서 장기 투자하는지를 스스로 돌아보기 바란다. 풍문이나 언론 보도 내용만 보고 투자하지는 않는가? 주식을 샀다가 조금 올랐다고 일주일 만에 팔아버리지는 않는가? 다수의 개인투자자들이 이런 식으로 주식 투자를 하고 있고, 이것이 바로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수익률이 시장 평균 수익률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다.
필자가 『숫자로 경영하라2』에 투자할 기업 검색 실린 주식 투자 관련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알기 쉬운 주식 투자법’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것이 있다고 홍보하는 책은 대부분 가짜다. 필자는 전공이 회계이므로 주식 투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회계와 경제학, 재무 관리를 20년쯤 공부하고 나서야 주식 투자의 길이 보이기 시작했다. 주식 투자에 대해서만 투자할 기업 검색 공부한다면 20년보다 짧게 걸릴 수 있겠지만 어쨌든 주식 투자에 성공하고 싶으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재무제표조차 찾아보지 않거나 찾아보더라도 기초적인 내용밖에 이해하지 못한다면 주식 투자에 성공하기 어렵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필자소개 최종학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email protected]
필자는 서울대 경영대학 학사와 석사를 거쳐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에서 회계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홍콩 과기대 교수를 거쳐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에서 우수강의상과 우수연구상을 다수 수상하는 등 활발한 강의 및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숫자로 경영하라』 시리즈 1, 2, 3, 4권과 『재무제표 분석과 기업가치평가』, 수필집 『잠시 멈추고 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투자 전 확인해야 할 ‘네가지’ 말고 ‘두가지’
오늘은 기업분석을 해보지도 않고 남들로부터 종목추천을 받아 '묻지마 투자'을 하시는 go발뉴스 독자들을 위해 누구나 간단히 시도할 수 있는 기업분석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먼저 주식투자의 목적은 무엇일까? 맞다. 돈을 벌기 위한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자본이득(capital gain)을 얻기 위한 것인데, 이때 자본이득이란 '자본을 투자한 후 가치가 변동해 그 자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길 때 얻는 수익'을 말한다.
높은 자본이득을 얻으려면 투자 대상 회사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게 가장 기본적인 일이다. 이를 알면서도 대부분 개미투자자들은 증권사 리포트나 친지들의 의견만을 참조하려 할 뿐 기업분석을 하려고 시도 자체를 안 하는 경향이 있다. 기업분석은 자신들에게 불가능한 전문가들의 영역이라는 선입관 때문인 듯 하다.
기업분석. 정말 쉽다. 어려우면 내 손에 장을 지진다.
수익가치법, 상대가치법, 자산가치법이라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기업분석 방법이다. PBR, ROE, BPS, EV/EBITDA, ROIC, WACC, IRR, EVA, NPV, CAPM, FCF, CAPEX.. 이런 건 분석시 사용하는 용어들이다. 몰라도 된다. 다 잊어라.
위의 분석법이나 용어들은 본인이 전문 애널리스트를 꿈꾸는 사람이 아니면 몰라도 된다. 중요한 것은 저런 거 공부해도 별 의미가 없다는 점이다. 용어들은 이런저런 개념을 담은 숫자들인데, 결국 숫자의 의미는 해석하는 투자자들에 따라 같은 내용도 정반대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맞다. 전형적인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가 되는 동네다.
실제 필자인 불곰의 경우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저평가’ 상태라고 평가한 리포트의 대부분을 신뢰하지 않는다. 그들과 내가 기업평가 데이터를 해석하는 기준, 접근이 다르기 때문이다.
약속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본론으로 넘어가자.
불곰투자방식이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 가장 중시하는 두 가지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을 정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는 모두 공개된 것들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에 가면 공짜로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평가기준은 뭐니뭐니 해도 부채비율이다.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드러내는데 부채비율만큼 중요한 지표는 없다.
아래는 ㈜메디톡스(086900)라는 기업의 재무제표다. 함께 들여다보자.
![]() |
부채비율을 이용하는 기업평가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간단하다 못해 지극히 단순하다.
“타인 돈(부채)이 본인 돈(자본)보다 많은 기업은 투자하지 마라”
실망했는가? 하지만 사실이다. 타인 돈(부채)이 적으면 적을수록 좋다. ㈜메디톡스는 자본이 551억이고 부채가 153억이다.
불곰투자방식에 따르면 1차 평가 기준 ‘통과’다.
그럼 불곰의 2차 평가기준은 뭘까?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이다. 이거 어려워 보인다고? 어쩔 수 없다. 이것 하나만은 알고 가자.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버는지, 수익성을 잘 보여주는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PER를 구하는 방법? 간단하다. 시가총액을 당기 순이익으로 나누면 된다.
이를테면, 어떤 회사의 PER가 5라고 하자. 그럼 이게 무슨 말이냐면, 매년 똑같은 이익이 나온다고 가정하면, 5년 뒤에는 이익만을 가지고 똑같은 회사 하나를 살 수 있다는 뜻이 된다.
그러니까 PER가 작으면 작을수록 돈을 잘 벌어서 똑같은 회사를 빨리 살 수 있다는 말이 된다. 반대로 숫자가 크면 클수록 투자가치는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PER을 이용한 불곰의 기업평가 기준이 뭐냐고? 그럼 공개하겠다.
“PER가 10을 넘는 회사에는 투자하지 마라”
단, 예외는 있다. 불곰은 철강업, 건설업, 제2금융권은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지 않기에 이 기준에서 제외한다. 이밖에 최근3년 내에 적자가 발생하여 PER가 없는 경우에도 투자에 조심해야 한다.
예제를 골라봤다. ㈜인터로조(119610)라는 기업의 재무제표다.
![]() |
제11기는 2010년이다. 2010년 12월 27일 시가총액이 400억이었다. 시가총액은 여러분들이 사용하는 증권사 HTS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당기 순이익이 50억이라고 되어 있으니, 이를 나누면 (400억/50억=8) PER는 8이다.
이 종목이 향후 성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투자자에게는 '저평가' 상태라고 여겨질 수 있다. 불곰의 2차 기업평가 기준에 부합한다.
하지만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13기를 보자. 2012년 12월 27일 시가총액을 확인해 보면 1,530억이었다. 주가는 282%가 올랐다. PER가 17.6 (1,530억/86억)으로 크게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신규로 주식을 매수하려는 투자자에게는 불곰투자방식2차 기업평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불곰의 투자방식에 따라, 1차와 2차 평가기준을 모두 통과했다고 항상 성공적인 투자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두 가지 기준 외에도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할 수 있는 투자자의 안목이 추가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안목’이라는 부분은 기계적 접근이 불가능한 개인의 영역이다.
적어도 이것 만은 ‘go발뉴스’ 독자들에게 권하고 싶다. 증권사에서 추천을 받았든 투자할 기업 검색 주변 지인들로부터 좋은 종목이라고 귀뜸으로 얻었든 투자전에 확인해보라. 그 회사의 부채비율, 즉 부채가 자본 보다 많은가? PER는 10 이내인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시시스템에 투자하는 ‘10분’이 여러분의 주식 인생, 나아가 여생을 바꿀 수도 있는 소중한 시간이라는 점 명심하자. 주식은 결국 자신이 홀로 책임지는 고독한 승부이니까.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