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주문 유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주식 시간외 거리 & 매수 매도 주문

1) 장전 시간외 거래 (07:30~08: 30 ) - 전일 종가로 매매가능한 거래 주문 유형 매매시간
(호가 접수 시간 : 07:30~08:30)
(매매 거리 시간 : 07:30~08:30)
==> 전일의 종가로만 매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수, 매도하고자 하는 수량만 지정하여 일반 주문화면에서 주문유형을 "장전 시간외" 선택하고 매매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장전 시간외 미체결주문에 대해서는 8시 40분에 일괄적으로 자동 취소됩니다 ** )

2) 정규 시간 거래 (09:00~15:00)
(호가 접수 시간 : 08:00~15:00)
(매매 거리 시간 : 09:00~15:00)

3) 장후 시간외 거래 (15:00~15:30) - 당일 종가로 매매가능한 매매시간

(호가 접수 시간 15:00 ~ 15:30)

(매매 거래 시간 15:10 ~ 15:30)
==> 당일 종가로 매매가 가능하며 매수, 매도하고자 하는 수량만 지정하여 일반 주문화면에서 주문유형을 "장후시간외" 선택하고 매매하시면 됩니다.
( ** 3시 정규시장 마감되어 종가가 나오면 10분까지 호가접수를 받고 10분부터 30분까지 실시간 체결됩니다. 단 매매물량이 있어야 체결이 이루어 집니다. ** )

4) 시간외 단일가 거래 (15:30~18:00) - 당일 종가의 +,- 5% 가격 설정하여 지정가 거래 주문 유형 주문만 가능하여 가격과 , 수량을 지정하여 매매가능한 매매시간
==> 별도의 "시간외 단일가" 주문화면에서 가격과 수량을 지정하여 매수, 매도 주문을 넣으면 호가접수받았다가 30분간격으로 체결이 이루어짐
( 4 시. 4시 30분 . 5시. 5시 30분. 6.시 . )

1) 보통가 ( 지정가 ) : 본인이 원하는 가격을 지정해서 내는 주문을 말합니다.
( 보통가로 매도, 매수주문을 주문하게되면 현재가 ( 시세가 ) 주문한 지정한 가격이나 지정한 가격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현재가가 도달했을 때 체결이 되는 주문유형입니다.)
매수인 경우: 지정한 가격이나 시세가 지정한 가격보다 더 내려간 경우 낮은 가격으로 체결됨
매도인 경우: 지정한 가격이나 시세가 지정한 가격보다 더 올라간 경우 높은 가격으로 체결됨

2) 시장가 :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즉시 사거나 팔고자 할 경우 내는 주문을 말합니다.
( 시세가 급변할 경우 원치않게 높은 가격에 매수 혹은 낮은 가격에 매도될 위험이 있습니다. )

예를들어) 시장가로 거래 주문 유형 100주 매수 주문을 냈다면, 매도호가가 1000원에 100주가 체결.
만약 300주가 시장가로 매수 주문을 내면, 매도주문을 낸 1000원 100주, 1100원에 100주,
1200원에 100주. 체결됩니다

3) 최유리 지정가 : 이 주문 역시 시장가와 마찬가지로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종목 및 수량만 지징하고 주문을 내면 됩니다.
( 단 시장가와 다른점은 시장가를 주문낸 수량이 전부 체결이 되도록 가격을 쭉 따라가며 체결이 되는것에 반해, 최유리 지정가는 바로 체결될 수 있는 한 가격에만 체결이 되고 남은 수량은 미체결로 대기 상태로 있다가 물량이 나올때까지 접수만 됨. )

예를들어) 200주를 매수주문을 거래 주문 유형 냈다면 매도 주문한 사람들의 매도가격이 1000원에 100주가 체결되고, 남은 100주는 1000원에 매도호가가 올때까지 미체결로 남아있음

4) 최우선 지정가 : 최유리 지정가와 비슷하지만 바로 체결되는게 아니라 호가 중 제일 높은 가격에
주문이 접수됩니다.
( 매수주문이라면 매수하겠다는 제일 높은 매수 1차 호가에 주문접수가되고, 매도주문이라면
매도하겠다는 가장 낮은 매도 1차 호가에 매도 주문 접수가 됩니다. )

5) 조건부 지정가 : 보통가 주문과 시장가 주문이 합쳐진 주문유형입니다.
( 일단 주문시에는 가격과 수량을 지정하여 매수, 매도 주문을 넣었다가 2시 50분까지 체결이 되지 않는경우 동시호가( 2시 50문)에 시장가 주문으로 전화되어 무조건 종가 ( 오후 3시에 ) 에 체결되는 주문유형입니다.)
** 단 종가가 상, 하한가인 경우 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가와 혼돈하여 지정한 가격과 다른게 불리한 조건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식 불공정거래 꼼짝마"..감시대상 매매 유형은

폰트사이즈작게

불공정거래로 거래 주문 유형 의심되는 매매를 반복했다가는 자칫 해당 증권사에 수탁거부 계좌로 등록될 수 있는 데다 올해 안에 수탁거부 계좌의 인적정보를 증권사들이 공유하게 되면 다른 증권사에서도 계좌를 개설할 수 없게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10일 증권선물거래소와 국내 증권사들은 허수성 주문과 통정 및 가장매매, 예상가관여, 거래 주문 유형 분할주문 등이 주요 수탁거부 사례로 꼽으면서 '정석투자의 원칙'을 지킬 경우 선의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 증권사내 포청천..컴플라이언스부 불공정거래모니터링 어떻게 하나 = A증권사 컴플라이언스부 김모 대리는 지난달 20일 오전 출근하자마자 불공정거래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해 전날 이뤄진 거래 중 이상거래로 확인돼 컴퓨터 모니터에 올라온 거래내역 리스트들을 꼼꼼하게 확인했다.

각 증권사들은 증권선물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마련한 불공정거래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해 전날 이상거래 가능성이 있는 18개 항목에 저촉되는 거래내역을 거래 다음날 오전에 확인해 각종 조치를 취하도록 돼 있다.

김 대리는 이중 19일 상한가를 기록한 S종목에 대해 내부적으로 정해놓은 한도를 넘어선 분할 매수주문을 낸 거래행위를 확인하고, 해당 투자자의 인적사항을 파악한 결과 이미 1,2차 유선경고에 이어 서면경고까지 한 '전력'이 있는 투자자임을 확인하고 사내 내부통제기준에 따라 다음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처럼 4차 적발시 다음 조치는 바로 5일간 수탁거부. 이 투자자는 관련 계좌를 통해 앞으로 5일간 신규매수주문을 할 수 없으며 해당 계좌는 자동으로 '요주의 계좌'로 등록돼 1년간 특별관리된다.

다른 투자자는 자신이 보유한 B주식의 거래량이 극히 미미하자 본인 계좌를 통해 매수와 매도주문을 동시에 내서 체결시키는 이른바 '가장매매'를 한 것으로 확인됐으나 그전에 이 같은 이상매매를 한 전력이 없는 것을 파악한 뒤 유선으로 1차 경고를 하기로 했다.

김 대리는 "우리 회사는 전담요원 4명을 두고 관련 업무를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거의 비슷한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우연히 이상 거래로 적발되는 경우가 있어 경고 등을 할 때 자신은 불공정행위를 하지 않았다면서 강력하게 항의를 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B 증권사의 윤모 대리는 "기계적으로 이상거래를 적출해 내는 현 시스템 하에서 확인되는 것만으로는 관련 거래를 불공정행위로 무조건 의심할 수 없어 일단 이상거래가 적출되면 내용을 꼼꼼하게 살핀 뒤 투자자에게 경고나 수탁거부를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고 전했다.

◇허수성 주문ㆍ가장매매ㆍ예상가 관여 등 주요 감시 대상 = 국내 증권사들이 불공정거래 시스템에 가장 많이 적출되는 감시대상은 '허수성 주문'이다.

허수성 주문이란 거래성립 가능성이 희박한 호가를 대량으로 제출하거나 직전가격 또는 최우선호가와 비슷한 가격으로 호가를 제출한 뒤 해당 호가를 거래 주문 유형 반복적으로 정정, 취소해 시세에 부당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우려가 있는 행위를 말한다.

작년 기준으로 허수성 호가로 적출된 불공정거래 의심 행위는 총 6천378건으로 전체의 28.9%를 차지하며 4건 이상 경고를 받아 수탁거부 계좌가 된 건수는 727건으로 59.1%에 달한다.

다음으로 권리 이전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가장된 매매인 '통정 및 가장매매'도 총 적출건수 3천907건(17.7%)에 달했고 이로 인한 수탁거부 계좌 등록 건수는 154건(12.5%)이었다.

시ㆍ종가 예상가나 예상 거래량에 인위적으로 관여한 뒤 시ㆍ종가 결정 직전 정정·취소 주문을 낸 다음에 보유주식을 고가에 매도하거나 시세상승을 유도하는 '예상가관여' 행위도 집중 감시대상이다.

예상가관여 행위로 적발된 건수는 작년에 총 3천634건이며 수탁거부 사례도 99건(8.0%)이나 된다.

또 같은 가격의 호가를 일정 시간에 분할 제출해 수량배분 또는 시세에 부당한 영향을 미치는 '분할주문'은 총 적출건수가 3천695건(16.8%), 수탁거부 건수는 75건(6.1%)이다.

이 밖에 장종료시 가격을 인위적으로 왜곡하는 '종가관여'(1천건, 이하 총 적출건수)와 특정 종목을 과도하게 매매해 시세에 부당한 영향을 주는 '매매집중'(661건), 유동성이 적은 우선주에 대한 투기적인 매매(165건) 등도 자주 적출되는 불공정거래 유형으로 꼽힌다.

B증권사의 윤모 대리는 "실제로 모니터링 기준에는 맞지만 거래내용을 살펴보면 불공정행위 혐의를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자칫 투자자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최소한 불쾌한 경험을 하게 할 수 있어 조치를 취하기 전에 신중에 신중을 기한다"고 말했다.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매수/매도 방법

이런 주식의 매수 매도 유형은 증권사 HTS(pc환경), MTS(스마트폰 어플 거래 주문 유형 환경)에서 직접 본인이 설정을 할수있습니다.

주식을 매수 매도 하는 방법은 크게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합니다.

1. 지정가(보통) 주문 : 사용자가 거래 주문 유형 지정한 가격에 매수/매도 를 실시합니다.

2. 시장가 주문 : 빠르게 체결되고 싶은 주문에 시장이 정하는 가격에 주문됩니다.

3. 조건부지정가 주문 : 정규 거래 주문 유형 주식장 시간에는 원하는 지정가로 매수/매도 가 되지만 장이 끝나면 시장가로 체결됩니다.

위 3가지의 정확한 설명을 보시려면

조건부 지정가 매수 매도 주린이 아주쉽게 알고가자!

조건부 지정가 매수 매도 주린이 아주 쉽게 알고가자! 완벽한 주린이를 위한 매수, 매도 종류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합니다. 키움증권만이 아니라 모든 증권에 다 통용되는 용어이니 잘 알아봅시

4. 최유리지정가 주문 : 매수/매도 주문 접수시점 상대방향매매의 최우선호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합니다.

5. 최우선지정가 주문 : 매수/매도 주문 접수시점에 동일방향매매의 최우선호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합니다.

이외 ico/fok 주문유형을 알아보시려면

ioc fok 주식 주문을 위한 방법 (주린이 위해 엄청나게 쉽게 설명!)

ioc fok 주식 주문을 위한 방법 (주린이 위해 엄청나게 쉽게 설명!) c19 사태로 인해 최근 주식을 접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아지고 있습니다. 주식을 쉽게 접하는 시대가 왔고, 비대면으로도 모든

최유리지정가 주문

최유리지정가 주문은 주문 접수시점 상대방향매매의 최우선호가와 동일한 가격 으로 주문합니다.

여기서 상대방향매매 최우선호가 라는 말의 뜻은 최유리지정가 매수 주문시에는 '매도 1호가' 를 의미 하며, 매도주문시에는 '매수 1호가'를 의미 합니다.

얼핏보게되면 시장가주문과 비슷해 보입니다.

호가창을 통해 알아보시면 좀더 쉽게 알수 있습니다.

국민 주식 삼성전자 후가창을 거래 주문 유형 봅시다. 최유리지정가로 500주를 매수한다고 예를 들어봅시다.

최유리지정가 500주 매수 주문시 상대방매매(매모1호가) 최우선호가인 73,200원의 매도물량에서 500주가 즉시체결 됩니다.

최유리지정가 매도시에는 반대로 상대방방향 (매수1호가) 로 즉시 체결 됩니다.

그런데 시장가 주문에 대한 지식이 있는 주린이들은 '어? 시장가 주문과 뭐가다르지. ' 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최유리지정가와 시장가 주문의 차이점

구분 최유리지정가 시장가
최유리지정가 시장가 주문 차이
매수 - 매도1호가로 즉시 체결

이렇게 최유리지정가와 시장가 주문의 차이는 매물소진시에 따라 다릅니다.

최우선지정가

최우선지정가는 주문 접수시점에 동일방향매매의 최우선호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 됩니다.

최우선지정가는 일반적인 지정가주문과 성격이 비슷합니다.

최우선지정가로 매수주문이 들어가게 되면 동일방향매매 최우선호가인 매수1호가에 매수대기물량이 쌓이게 됩니다.

이때 파는 사람이 있어야 원하는 수량만큼 체결이 되니 체결속도는 최유리지정가보다는 느린편입니다.

주문유형별 시간 및 ioc fok 조건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마치며.

주식의 여러가지 주문 방식에서 최유리,최우선지정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사실 보통=지정가 매수/매도를 제일 많이 사용하는 편이며 개인투자자들은 주식 주문시에 자주 써먹는 방식들은 아닙니다.

그러나 정확한 뜻을 이해하고, 전문적으로 투자(실시간으로 투자)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여러가지 주문방식들을 잘 조합하여 사용하시기도 합니다.

ioc fok 조건을 잘활용하면 평단가를 딱 맞추기 수월하기도 합니다.

주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포스팅

주식거래하는 방법 (주린이 A~Z까지)

주식거래하는 방법 (주린이 A~Z까지) 주식거래 라고 함은 증권시장에 상장(등록)되어 있는 기업의 주식을 사서 파는 것을 주식거래 라고 합니다. 요즘 누구나가 쉽게 주식을 거래합니다. C19 사

장전 시간외 거래 , 장후 시간외 거래 (거래시간 및 거래방법)

장전 시간외 거래 , 장후 시간외 거래 (거래시간 및 거래방법) 2020년이 마무리가 되어갑니다. 제가 다른글에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2020년의 주식시장은 아주 드라마틱한 한 해로 기억 될

'나만 주식 없어.. ' 급등하는 증시 초초한 당신

'나만 주식 없어.. ' 급등하는 증시 초초한 당신 예전 부터 '나만 없어' 시리즈는 유명했었습니다. 500만 시대로 접어든 반려동물이 일부 계층에겐 부러움의 대상으로 떠오르게 되면서 '나만 없어.

미국주식 주문종류(MOC, STOP, STOP LIMIT, LOC, VWAP, TWAP)

STOP은 역지정가 혹은 손절매 주문, 지정한 가격에 도달하게 되면 시장가로 주문이 들어가며 일정가격 밑으로 떨어지면 손절을 하라는 주문입니다.

STOP LIMIT

STOP LIMIT 이 주문은 STOP(손절)과 LIMIT(지정가) 주문이 합쳐진 형태로 STOP이 시장가로 손절주문을 넣는데 STOP LIMIT는 손절가격에 도달하면 시장가가 아닌 지정가로 주문이 들어갑니다.

LOC (Limit On Close) 주문에서는 그날 마감이 정해놓은 가격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거래 주문 유형 체결된다입니다. 예를 들어 100불에 LOC를 걸어놓으면 100불이거나 혹은 그보다 낮을 때만 주문이 체결됩니다.

VWAP (Volume Weighted Averaged Price)는 거래량가중 평균 가격으로 거래가 많이 일어난 가격대에 더 많은 주문이 집중되고, 거래가 없는 가격대에는 주문량이 줄어듭니다. 역사적 통계치에 기반하여 주문 비중이 조절됩니다.

TWAP (Time Weighted Averaged Price)는 시간가중 평균 가격으로 시간을 동일하게 나누어 동일한 수량을 기계적으로 주문하는 방법으로 보통 시분할 매매라고 많이합니다.

VWAP, TWAP는 1000주 이상 주문시에 가능하다고합니다.

VWAP, TWAP 주문 유형으로 VWAP 주문은 주문하신 수량을 장중에 나누어 체결시키는 알고리즘 매매의 방법이다. 과거 거래량을 분석 현지 브로커 기준으로 거래량이 많을 때 많이, 적을 때 적게 배분

대체로 미국주식 주문에서는 "예약주문"도 지원하므로 일괄 예약주문을 걸수있습니다.

2020.3.2에 kb증권에서 알고리즘 매매 서비스로 TWAP 시간가중평균, VWAP거래량가중평균 서비스를 진행했다고한다. 이 알고리즘은 이전 20~30일 거래량 기초 데이터로 삼고 투자자가 자리를 비워도 주문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폴스카이 INFO

저는 평소 주식 투자할 때 신한 알파 MTS를 주로 이용하는데요, 신한 알파 MTS에서 매매 주문 내는 방법을 간단히 정리해볼까 합니다.

신한 알파 메인화면입니다. 로그인한 뒤 하단 메뉴에서 '주식주문'을 눌러주세요.

① : 거래할 종목을 선택합니다.
② : 매수
혹은 매도를 선택합니다. 저는 캐리소프트를 팔 것이기 때문에 '매도' 탭으로 이동하겠습니다.

전 단계에서 ① 종목 선택창 을 누르면, 위와 같이 종목을 검색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거래하고 싶은 종목을 검색한 뒤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종목을 선택했으면 거래유형을 선택할 차례입니다.

① : 보유한 예수금으로 거래할지 신용거래할지 선택합니다.
② : 지정가를 선택하면 원하는 가격을 지정해서 매수·매도할 수 있고, 시장가를 선택하면 현재 해당 종목의 시장가격 그대로 주문이 들어갑니다.

거래유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4종류 정도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지정가 : 장내 시간(09:00~15:30)중에 원하는 가격을 지정해서 거래하는 방법입니다.
장후시간외 :
장 마감 거래 주문 유형 후 15:30부터 주문을 낼 수 있습니다. 당일 종가로만 매수·매도 주문이 가능하며 15:40~16:00에 거래가 진행됩니다.
장전시간외 :
개장 전 08:20부터 주문을 낼 수 있습니다. 전일 종가로만 매수·매도 주문이 가능하며 08:30~08:40에 거래가 진행됩니다.
시간외단일가 :
16~18시 사이에 시간외단일가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10% 범위 내에서 가격을 지정할 수 있으며, 10분 단위로 매수·매도 주문을 모아서 체결시킵니다.

주문할 주식 수와 가격을 지정한 뒤 아래에 '매도' 버튼을 눌러주세요.

주문 내용을 확인한 뒤 '주문' 터치.

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습니다.

'체결내역'에서 주문이 체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체결수량 이 0으로 바뀌면 체결이 성사된 것입니다.

이상으로, 신한 알파 MTS에서 주식 매매 주문하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해드렸습니다. 저와 같은 주린이 분들께 소소한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