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관련 코인(Metaverse Coin) 종류, 분석
메타로 사명을 변경한 페이스북이 메타버스 관련 사업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히면서, 메타버스(Metaverse) 시장이 세계적인 인기에 이어 국내 시장에서도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런 인기가 암호화폐 시장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데요. 게임사들을 필두로 하여 IT업계까지 암호화폐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고, 일부 회사는 직접 발행하는 암호화폐의 연계를 통하여 본격적인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오늘 포스팅을 보신 분들은 메타버스 관련 코인 종류, 시가총액, 발행한도, 등등 각 코인들의 특징까지 디테일하게 알 수 있으실 겁니다.
메타버스 관련 코인(Metaverse Coin) 종류
- 시가총액 7.3조 원(2021년 12월 11일 기준)
- 총 발행한도 270,000,000
엑시 인피니티는 포켓몬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플랫폼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 구축되어 누구나 게임 COIN 종류 플레이를 통해 토큰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펫 게임 프로젝트입니다. 유저들은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캐릭터를 구매하여 게임을 시작할 수 있으며, AXS 토큰은 스테이킹 하여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하거나 게임 내 지불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엑시인피니티
엑시인피니티 게임은 '한 달에 150만 원을 벌 수 있는 게임'으로 유명해졌으며, 게임으로 돈을 버는 개념인 '플레이 투언(P2E, Play To Earn)'의 대명사가 된 게임입니다. NFT 기반의 P2E 게임인 엑시 인피니티의 주가가 연일 상승하며 20만 원에 육박하는 등 올해 내내 인기가 식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필리핀에서는 식사를 하는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오로지 엑시 인피니티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그 인기가 하늘을 치솟았습니다.
엑시 인피니티는 베트남의 스타트업 기업인 스카이 마비스가 개발한 NFT 기반의 P2E 게임입니다. 게임의 내용은 단순합니다. 배틀을 즐기는 '엑시'라는 게임 내 몬스터를 구입하여 던전을 돌고 플레이어들의 다른 '엑시'들과 배틀을 해서 이기면 되는 게임입니다. 이기면 스무스 러브 포션(SLP)을 주는데 이것을 모아서 바이낸스(Binance) 거래소에서 현금화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는 것이죠.
게임을 시작하기까지는 초보자는 조금 복잡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게임 시작과 진행에서 암호화폐가 필요하다 보니 전자지갑을 만들어야 하고 연결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엑시 인피니티를 통해 게임을 하고 돈을 벌려면 초기 자금이 꽤 필요합니다. 보통 엑시 3마리를 구입하는데 최소 100~150만 원 사이를 지출한다고 합니다. 초기 자금이 만만치 않은 만큼 이를 이용한 또 다른 확장 사업이 생겨 났는데, 그것은 일명 '스콜라쉽(장학생)'이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초기 비용이 부담되는 유저들과 다계정 플레이어들을 위해 자신의 계정을 빌려주고 수익의 일부를 나누는 구조입니다. 수익은 보통 6:4 또는 5:5 등으로 나눕니다.
160불을 웃돌던 엑세인 피니티 코인은 현재 코 인계의 대장격인 비트코인의 하락으로 인하여, 약 102불 정도까지 하락하여 횡보 중입니다. 비트코인이 하락한 퍼센트에 대비하여 크게 하락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직까지 NFT와 메타버스 코인인 엑시 인피니티는 그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시가총액 2.5조 원(2021년 12월 11일 기준)
- 총 발행한도 1,000,000,000
엔진 코인은 엔진 코인은 게임에서 사용되는 캐시나 커뮤니티 시스템을 위한 종합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엔진 코인은 게임 아이템 생성, 게임 내 보상, 거래 등에 이용되며 게이머가 얻거나 구매한 엔진 코인 기반 가상 아이템은 게임 서버에 보관되지 않고 안전하게 관리되는 개인 엔진 지갑에 보관됩니다.
엔진 코인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진 ERC20 토큰 형태의 코인입니다. 코인을 개발한 싱가포르 기업이 약 2천만 명의 회원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게이밍 커뮤니티 25만여 개를 보유하고 마인크래프트 서버 등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엔진 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곳만 25만 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직은 구현되지 않았는데, 엔진 커뮤니티를 통해 다양한 게임 아이템 구매를 엔진 코인으로 실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도 엔진 코인의 큰 매력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면, 아이템베이나 아이템마니아와 같은 아이템 거래소에 암호화폐를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인 거죠.
현재 엔진 코인은 세계 1위 거래소인 바이낸스(Binance)와 국내 1위 거래소 업비트(Upbit), 뉴질랜드 거래소인 크립토피아(Cryptopia), Kucoin, HitBTC 거래소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엔진 코인은 올해 1월 22일 최고가 4.8불까지 치솟았다가 현재는 비트코인의 하락으로 2.5불까지 내려온 상태입니다. 마찬가지로 아직까지 NFT 메타버스의 인기 추세에 힘입어 기대치가 높은 코인중 하나입니다.
- 시가총액 7.3조 원(2021년 12월 11일 기준)
- 현재 유통량 1,824,595,435
디센트럴랜드는 가상현실 부동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코인은 디센트럴랜드 플랫폼에서 가상의 부동산을 매매하는 데 활용됩니다. 최근 VR 시장이 급격히 커지면서 가상의 부동산을 매매하고, 개발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탈중앙화 플랫폼인 만큼 콘텐츠로 발생한 수익은 수수료 없이 콘텐츠 제작자가 모두 가져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디센트럴랜드도 원래는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코인 중 하나였지만, 페이스북이 메타로 사명을 바꾼 당일, 400% 가까운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디센트럴랜드 역시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현실 플랫폼인데요. 초창기만 해도 바둑판처럼 격자무늬로 구성된 평면 판과 같은 모습이었습니다. 네모판 하나하나가 디지털 부동산이었고, 땅을 산 주인이 생기면 색깔이 칠해지는 식이었죠. 하지만 점점 발전하며 2D 평면에서 캐릭터들이 활동할 수 있는 3D 공간으로 바뀌었고, 캐릭터들이 입는 옷과 신발을 비롯해 디센트럴랜드라는 세계 안에서 거래될 수 있는 대부분의 것들은 마나 토큰을 통해 거래됩니다. 게임 내에서 사용하는 옷과 신발들은 모두 고유한 값을 지닌 NFT(대체 불가 토큰)입니다. 그렇기에 다른 사람들은 없는 나만의 옷을 입을 수 있습니다. 게임 내 아이템들은 현실에서만큼 천차만별인데요. 저렴한 모자는 3천 원이면 구매할 수 있지만, 비싼 모자는 2천만 원을 지불해야 살 수 있습니다. 땅값도 현실과 마찬가지로 입지에 따라서 가격이 정해지는데, 현재까지 가장 비싼 값에 팔린 건 디센트럴랜드 중심지에 위치한 땅으로, 한화로 약 6억 4천만 원(20만 마나)에 거래됐습니다.
디센트럴랜드 게임내 화면
최근에는 게임 내에서 대학교부터 미술관, 카지노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고 합니다. 디센트럴랜드 세계 안에서는 NFT를 흔하게 접할 수 있는데요. NFT 표준안(ERC-721)이 같이 때문에 내부에서 제작된 NFT뿐만 아니라 본인 소유의 NFT 작품을 가져와서 게임 내 집을 장식하거나 전시회를 열 수도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인 경매업체 '소더비'의 경매장도 디센트럴랜드 안에 있었는데, 뱅크시의 작품을 전시하고 실시간 경매에 참여할 수 있는 링크 연결도 가능합니다. 디센트럴랜드 또한 진입장벽은 높은 편인데요. 메타버스 세계를 구동하기 위한 그래픽 사양이 다소 높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접속이 아닌 웹 접속으로만 게임이 가능한 점 또한 최적 화면에서 다소 아쉬운 면이 있습니다. 한국어 지원도 아직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실제 디센트럴랜드 접속 국가 가운데 미국인이 16.66%로 가장 많았고, 독일이 6.98%, 영국 3.89% 등 서구권 국가가 주류를 차지했습니다.
디센트럴랜드 코인은 5.8불 가까이 치솟았다가 현재는 비트코인의 하락으로 인해 3.4불까지 조정이 들어온 상태입니다. 상장된 거래소는 바이낸스, 업비트, Kucoin, Bingbon, Bybit, Huobi, Phemex, Okex, Ploniex, Bitget 등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 시가총액 5.4조(2021년 12월 11일 기준)
- 총 발행한도 3,000,000,000
샌드박스는 플랫폼의 유틸리티 토큰인 SAND를 사용하여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게임 내 경험을 만들고 보유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가상 세계입니다. 플레이어가 디지털 자산(Non-Fungible Tokens, NFT)을 생성하여 마켓플레이스에 올리고, 드래그 앤 드롭하여 샌드박스 게임메이커로 다양한 게임 내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샌드박스 게임 이용자는 샌드로 '랜드(LAND)'라고 불리는 가상의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랜드는 수량이 정해져 있어 거래가 늘어날수록 가치도 오르는 실제 부동산과 같은 구조입니다. 더샌드박스의 유틸리티 토큰인 샌드는 현재 빗썸, 업비트, 코인원 등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돼 있어서 샌드를 보유하고 있다면 당장 현금화도 가능합니다.
아직 본격적인 국내 서비스를 시작하진 않았습니다. 게임업계는 국내 법 규정을 어떻게 적용받느냐에 따라 더샌드박스의 서비스가 이뤄질 수도 아닐수록 COIN 종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국내 법상 게임은 블록체인에 기반한 수익 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샌드박스 코인은 바이낸스, 업비트, 바이 비트, FTX, Kraken, Bingbon, Huobi, Kucoin 등의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8.4불까지 치솟았던 주가는 현재 비트코인의 하락으로 5불까지 조정받고 있습니다.
더샌드박스 게임
- 시가 총액 2천억(2021년 12월 11일 기준)
- 유통 공급량 70,782,641
아베 고치는 디파이 기반 크립토 수집품 NFT 게임이고, 플레이어들에게 이자를 주는 아베의 aToken 들을 스테이 킹 하여 아베 고치 메타버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플레이어들은 a토큰들을 스테이 킹 하고 소환한 아베 고치들의 레벨과 희귀도를 올리며 희귀도 파밍 GHST 리워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아베 고치는 매틱 네트워크 기반으로 운영되어 가스비 걱정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현재 아베고치 코인은 바이낸스, Kraken, Okex, Ftx 등의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11월 25일 3.4불까지 치솟으며 최고가를 형성했다가 현재는 비트코인의 하락으로 인해 2.4불까지 조정 중인 상태입니다.
아베고치 게임 화면
- 시가 총액 369,811,610,199
- 유통 공급량 73,683,300 WILD
와일더 월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특히 예술가와 수집가에게 포괄적이고 훨씬 더 통합된 사용자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제품을 제공하고, VR / AR 지원 플랫폼에서 토큰화 된 3D 디지털 아트로 게임 경제를 강화하고 투자 가능한 자산을 만드는 Zero 프로토콜의 첫 번째 프로젝트입니다. 와일더 월드는 아티스트 수수료가 없으며 참가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자체 동적 토큰 시스템이 없는 최초의 진정 유동적이고 완전히 분산된 커뮤니티 주도 NFT 마켓 플레이스입니다.
- DAO 토큰인 WILD 토큰을 통해 예술가와 수집가들에게 보상 및 인센티브 제공
- Wilder World는 비용이 전혀 들지 않는 최초의 진정한 유동적이고 완전히 분산된 커뮤니티 주도 NFT 마켓 플레이스
- 250명 이상의 세계 최고의 디지털 아티스트들이 제작한 퀄리티 높은 NFT 작품 수집 가능
- 귀중한 게임 내 3D 자산을 다른 어떤 것과 비교할 수 없는 몰입형 메타버스를 만드는 신진 NFT 마켓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wilderworld.com/ )
- 공식 텔레그램 ( https://t.me/wilder_world ) (영어)
- 공식 텔레그램 ( https://t.me/Wilderworldkorea ) (한국)
와일더 월드 코인은 Kucoin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다른 메타버스 코인들과 비슷하게 11월 최고점인 7.7불을 기록하고 현재는 비트코인의 하락 영향으로 조정받고 4.2불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시가 COIN 종류 COIN 종류 총액 111,761,971,787
- 유통 공급량 250,409,871
디센트럴 게임은 블록체인 기반의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입니다. 플레이 투 언(play-to-earn) 시스템으로 플레이어가 무료로 포커 같은 게임을 플레이하여 실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도입했습니다. 디센트럴 게임즈에서 발행하는 메타버스 속 아바타의 의상 NFT를 구매 또는 타 유저로부터 위임을 받음으로써 무료 게임칩을 할당받아 플레이가 가능한 구조로써 이것은 플레이 투언 게임의 선두주자인 엑시 인피니티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국내와는 다르게 해외에서는 이미 이런 Game-fi 시장의 잠재력에 가능성을 보고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디센트럴 게임즈는 메타버스 플랫폼 디센트럴랜드(Decentr ala nd)의 가상공간에 기반을 둔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카지노 게임인 블랙잭, 포커 홀덤 등의 게임 서비스 및 음악공연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DAO(탈중앙화 자율조직)입니다.
디센트럴게임 포커
- 시가 총액 391,691,536,389
- 유통 공급량 279,496,290
- 블록체인 기술과 NFT 자산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
- 자체 개발한 VR 기술을 활용하여 유저들이 가상현실 메타버스를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 낮추어 다양한 기업 및 개발자, 유저 등 생태계 구성원들이 선순환되는 가상현실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컨트랙트의 안정성 및 보안을 평가하기 위해 보안 감사 업체, 써틱(Certik)에 의뢰해 걸음은 완료했습니다.
- 가상현실 내에서 NFT 시장에도 거래 제공, NFT 마켓플레이스(VR-Market)로 고유한 아이템을 만들고 거래할 수 있음, 가상공간을 커스터 마이징하고 획득할 수 있음, 다른 유저들과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는 퍼블릭 VR 세계
디비전 네트워크 코인은 빗썸, Bitrex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원화 3800까지 최고가 갱신 후, 현재는 비트코인 하락으로 깊게 조정이 들어오면서 1433원을 맴돌고 있습니다.
디비전네트워크
지금까지 메타버스 관련 코인들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그 종류와 해당 코인들에 대한 분석을 해 보았습니다. 앞으로 메타버스 NFT 관련 사업들이 어떻게 진행될지 COIN 종류 COIN 종류 유심히 지켜보면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잘 선택해서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에 미치다
가상화폐 시장에도 테마주, 트렌드는 형성됩니다 예를 들면 NFT코인 DID코인 IPFS 솔라나 생태계 등 관련 코인들은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DeFi 코인과 NFT코인(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이전 부터 존재 했었습니다 하지만 가상화폐 시장에서의 관심은 많이 없었던 코인이었으며,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세상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VR 관련 가상현실세계 등이 발전하며 NFT코인이 각광받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NFT 메타버스 다음메타는?
사실 코인 시장 현물시장이나 선물시장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벌기 위해서는 NFT,디파이,솔라나와 같은 시장을 미리 선점해두고 기다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데요 메티버스 게임 관련 엑시인피니티와 샌드박스,위믹스가 올라간 것처럼 다음 메타를 미리 조정 때 선점하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기때문입니다
주목 받을수 있는 STO코인
가상화폐 시장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는 현 시점에서 채굴형 코인보다는 증권형 코인이 STO 코인 이 더 각광받지 않을까. 생각되어 솔라나 생태계 후발주자로 가상화폐 시장 메타로 떠오를수 있는게 STO코인 종류와 레이어2 코인이라고 생각됩니다
STO코인?
Security Token Offering 의 약자로
증권형 암호화폐 또는 시큐리티 토큰이라고도 불리기도 하는데요
암호화폐를 만든 회사의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고
투자자들이 이를 구매 하여 기업이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주식과 비슷한 방식 이며 화폐 발행 기업에 대해
투자자가 주주로서 권한을 발휘 할 수 있습니다
STO코인 VS ICO 코인
STO 는 2018년 각종 사기의 온상이 됐던
가상화폐 공개( ICO )의 대안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I CO 는 투자자로부터 비트코인·이더리움을 받고
새로운 코인을 발행해 교환하는 자금 조달 방식이다
기업공개( IPO )와 큰 틀에선 유사하지만
IPO 는 투자를 할 경우 소유 지분에 따라 주주로서의
권한을 갖게 되고 정부에 의해 강력한 규제를 받는 반면
ICO 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ICO 투자자는 해당 코인에 관한 백서를 보고 투자를 결정하게 되는데
제대로 된 감독이 이뤄지지 않는 영역이다보니
허황된 정보로 백서를 써서 자금을 모은 뒤 ‘먹튀’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습니다
비트코인에 미치다
암호화폐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다음과 같은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암호화폐의 지난 2년을 돌아보면 각 해마다 뜨거운 메타 즉 섹터가 존재했습니다. 2020년 디파이에 이어 올해 초 부터 하반기까지 NFT와 메타버스까지. 부지런한 투자자들이라면 NFT 다음 어떤 종류의 코인이 주목을 받을지에 대해서 관심이 많으실 것입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분야도 처음에는 비트코인과 리플 등 경제,은행,금융을 목적으로 시작으로 시작했지만 계속 된 발전과 개발로 인해 지금은 의료, 헬스케어, 게임, 정보, 신원인증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을 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중 하나인 보안관련 코인에 COIN 종류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원인증 코인 종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되면서 결국 코로나 바이러스와 함께 살기 즉 위드 코로나로 가는게 세계적인 추세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일부 국가에서 현재 위드 코로나가 시행되며 백신패스 도입과 백신여권 도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기술과 바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게 DID 관련 기술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DID (Decentralized Identity)란?
DID란 ‘Decentralized ID’의 약자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별도 중개자 없이도 본인 스스로 신분을 증명할 수 있도록 설계한 신원증명기술 입니다. 분산신원인증, 탈중앙화신원인증 또는 분산 ID로도 불리며 기존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DID 기술을 통해 여러 서비스에서 본인의 자율적인 의지에 따라 개인정보 활용범위를 통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신원이 분산 관리되는 만큼 개인정보 노출 위험 역시 줄어들게 됩니다
DID 신원인증 관련 코인은?
1. 메타디움
메타디움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탈중앙화된 신원인증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현재의 중앙화된 신원인증 체계에서는 개인정보의 소유권이 온전히 개인에게 있다고 보기 힘듭니다. 메타디움은 메타 ID(Meta ID)를 통해 사용자가 개인정보의 생성, 관리, 제공, 삭제 등에 있어 모든 권한을 가지게 하여 개인정보의 자기 소유권을 보장하고자 합니다.
2.아이콘
2017년에 시작된 아이콘은 다양한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글로벌 '인터체인' 프로젝트로서, ICX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아이콘은 초연결사회(Hyperconnect the World)의 비전 아래, 고성능 블록체인 엔진 '루프체인'과 국내외 기업들과의 협약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및 서비스 기획, 다양한 디앱(DApp) COIN 종류 COIN 종류 프로젝트 발굴과 엑셀러레이팅을 지원합니다. 프라이빗 체인은 물론 퍼블릭 체인까지 사업을 확장하는 등 블록체인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3. 바이오 패스포트
BioPassport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 기술과 DPHR 기술을 접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및 의료 데이터 관리 서비스입니다.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의료계의 데이터 관리를 블록체인 기술(DID 및 DPHR 입력 기술)과 접목시켜 활용할 수 있으며, 공항이나 검문소에서 요구하는 건강 관련 데이터를 BioPassport 앱을 통해 쉽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4.온톨로지
온톨로지는 차세대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이자, 분산화 신뢰 공동 작업 플랫폼입니다. 또한 일련의 완전한 분산원장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새로운 고성능 블록체인을 제공합니다.
5.메디블록
메디블록(MediBloc)은 여러 기관에 흩어져있는 의료정보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포함한 여러 기기를 통해 생산되는 모든 의료정보를 안전하게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정보 오픈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 소비자는 본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완전한 소유 및 관리권한을 행사할 수 있고, 의료 공급자는 의료 소비자의 동의 하에 의료정보를 기록하거나 연구 등의 목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6.피르마체인
피르마체인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을 이용해 위변조 문제를 해결, 비용절감 및 전자계약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데이터 저장소 플랫폼입니다. 피르마체인의 전자 계약은 블록체인을 통해 협상과 거래 COIN 종류 이력 등 모든 정보를 위변조 없이 투명하게 기록, 블록체인을 통해 인증된 라이센서와 라이센시가 직접 만날 필요 없이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계약 체결이 가능합니다. 또한, 피르마체인의 데이터 저장소에는 사용자와 채굴자 간의 파일 저장 계약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채굴자에게 저장할 파일을 전송,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채굴자는 파일을 암호화한 후, 파일의 복제 및 암호화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는 파일 저장 증명을 블록체인에 전파합니다.
7.휴먼스케이프
Humanscape는 충분히 많은 수의 환자들로부터 정교하게 시스템화된 정보가 아직 정복되지 않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GHD (환자로부터 추출된 건강 데이터)는 전체 건강 데이터 양의 약 60 %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PGHD를 수집하고 구성할 수 있는 견고한 플랫폼이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파편화 된 형태로만 존재합니다. Humanscape는 이와 같이 파편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소스로 통합하여 모든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자유롭게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의 치료제 개발, 임상시험에 사용되며,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자신의 데이터가 원하지 않는 곳에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8.시빅
블록체인을 적용한 생체인식 신원 확인 플랫폼을 목표로 개발중인 디지털 코인입니다. 시빅은 블록체인을 적용한 모바일 기기 앱(API)를 통해 사용자 신원정보를 암호화하고 그것을 생체인식으로 인식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소셜스토리
스테이블코인 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테더(USDT)COIN 종류 를 떠올리며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로 1:1 변환되는 암호화폐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진실은 Crypto 시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Stablecoin이 존재하며 USDT는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수십 개의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일 뿐입니다.
스테이블코인 : 이슈가 되고 있는 루나 폭락 및 거래종료 관련 뉴스 기사
스테이블코인 개요
스테이블코인 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개발된 디지털 화폐로 안정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USD나 EURO와 같은 명목 화폐의 가치를 시뮬레이트하도록 설계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통화는 중개자 없이 또는 조직의 통제를 받지 않고 글로벌하고 변동성이 낮고 분산되어야 합니다.
스테이블코인 은 블록체인 및 P2P 가치 이전의 특성을 활용하며, 사용자는 다른 암호화폐처럼 높은 변동성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이 얼마나 중요한가요?
스테이블코인 은 현재 크립토 시장의 가장 큰 문제인 변동성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투자자의 경우 : Stablecoin을 사용하면 참가자가 Fiat로 변경하지 않고도 암호화 시장의 변동성을 피하기 위해 안정적인 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경우 : 기업이 짧은 시간에 가치가 크게 변동하는 Crypto로 지불을 수락하는 COIN 종류 것은 종종 어렵습니다. 따라서 스테이블 코인의 등장은 이 문제를 해결할 것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의 종류
비교 기준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분류하기 위해 선택한 기준은 "담보 비율"입니다. 따라서 Stablecoin의 유형에는 Fiat Baked Stablecoins, Crypto 지원 Stablecoins, Commodity Backed Stablecoins 및 Algorithmic Stablecoin의 4가지 유형이 포함됩니다.
1.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이 스테이블 코인은 모두 1:1 비율의 법정 화폐로 뒷받침됩니다. 예를 들어, 발행자는 100만 달러를 보유하고 각각 1달러의 COIN 종류 가치가 있는 100만 개의 토큰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담보 법정화폐를 발행자의 은행 계좌에 예치하면 해당 금액이 귀하의 지갑에 예치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합니다. 사용자는 이 스테이블코인을 다른 토큰이나 암호화폐와 언제든지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으며 변환된 가치는 USD와 동일합니다. 반대로, 해당 스테이블 코인을 소각하면 Fiat이 저당한 금액을 다시 받게 됩니다.
이 유형의 일반적인 스테이블 코인은 USDT, USDC, BUSD, TrueUSD, PaxDollar(USDP), Neutrino USD(USDN)…
2. 암호화 지원 스테이블코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스테이블 코인은 다른 암호화폐로 뒷받침됩니다. 동시에 이러한 코인의 운영 모델은 중앙 집중식 발행자에 의존하지 않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 온체인으로 수행됩니다. 담보 자산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이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담보된 암호화폐는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보다 가치가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1 USD Stablecoin은 암호화폐 $2 USD로 뒷받침됩니다.
이 유형의 일반적인 스테이블 코인은 DAI, MIM…
3. 상품 지원 스테이블코인
이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는 금, 석유, 부동산 및 기타 귀금속과 같은 교환 가능한 상품과 동일합니다.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 보유자는 본질적으로 실제 가치가 있는 유형 자산을 보유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다른 암호화폐에는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보유자가 이러한 코인을 보유하고 사용할 인센티브를 증가시킵니다.
이 스테이블코인 을 통해 중급 투자자도 스위스 부동산, 아프리카 다이아몬드 등 자신의 재정 능력에 맞는 금액으로 전 세계 자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 그룹의 인기 있는 스테이블 코인은 Digix Gold(DGX), Tiberius Coin(TCX), SwissRealCoin(SRC).
4.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이것은 가장 야심 찬 디자인이며 매우 흥미 롭습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나 암호화폐로 뒷받침되지 않습니다. 대신 발행된 토큰의 공급을 관리하기 위해 알고리즘과 스마트 계약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통화 정책 기능은 중앙 은행이 국가 통화를 관리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합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알고리즘 Stablecoin 시스템은 Stablecoin의 가격이 기반이 되는 법정 통화 가격 아래로 떨어질 때 토큰 공급을 줄입니다. 가격이 법정 화폐의 가치를 초과하면 토큰이 유통되어 Stablecoin의 가치를 높일 것입니다.
이 그룹에는 UST, FRAX, USN, USDD와 같은 코인이 있습니다.
결론
요약하자면, 이 글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무엇인지, 암호화폐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 투자자들이 의존하지 않도록 도와줄 안정적인 가치를 이해했을 것입니다. 각 유형의 Stablecoin에는 투자를 고려할 수 있는 고유한 특성, 장단점이 있습니다.
최근에 테라, 루나 사태로 인해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 등에서 스테이블코인과 이에 연동돼 있는 가상화폐에 대한 투자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디지털 자산에 투자하고 있다면 주의를 하셔야 겠습니다. 디지털 자산에 관해 담보 가치에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거나 알고리즘이 적정하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 급격한 시세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위험성을 경고한 가상화폐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니어프로토콜(NEAR)
- 다이(DAI)
- 리저브라이트(RSR)
- 메이커(MKR)
- 스팀(STEEM)
- 스팀달러(SBD)
- 웨이브(WAVES)COIN 종류
- 테더(USDT)
- 트론(TRX)
- 트루USD(TUSD)
- 팍스달러(USDP)
- 하이브(HIVE)
- 하이브달러(HBD) 등 총 13개 입니다.
암호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은 더 나은 유동성을 제공하는 반면, 법정 화폐 기반 스테이블 코인은 초보자가 이해하고 사용하기 쉽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의 세계와 다양한 변종에 대한 심층적인 성찰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지식을 넓히십시오.
블록체인 개념 정의 중요한 이유 : 책 추천도서 2권
지난 몇년동안 투자 또는 암호화폐를 이용해 왔다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이면에 있는 기록 보관 기술인 "블록체인"이라는 용어를 들어봤을 것입니다. 블록체인 정의 블록체인
Crawling project
- call_code() : 현재 거래중인 코인의 코드를 가져 옵니다.
- upbit_all(count) : 현재 거래중인 모든 코인의 가격(한화)정보를 가져옵니다.
- count : 입력값으로 가져올 데이터의 갯수를 입력합니다.
- ip = input(‘서버ip를 입력하세요:’) : 몽고디비에 연결할 서버ip를 입력합니다.
- id_s = input(‘서버접속 id를 입력하세요:’) : 서버접속의 id를 입력합니다.
- pw = getpass.getpass(‘서버접속 pw를 입력하세요:’) : 서버접속의 password를 입력합니다.
- code : call_code()의 market(code_name)을 지정하여 입력합니다.
- coin_englingsh_name : call_code()의 englingsh_name을 지정하여 입력합니다.
- count : 입력값으로 가져올 데이터의 갯수를 입력합니다.
- ip = input(‘서버ip를 입력하세요:’) : 몽고디비에 연결할 서버ip를 입력합니다.
- id_s = input(‘서버접속 COIN 종류 id를 입력하세요:’) : 서버접속의 id를 입력합니다.
- pw = getpass.getpass(‘서버접속 pw를 입력하세요:’) : 서버접속의 password를 입력합니다.
서버에서 자동으로 활동하는 파일 - 시간단위 (upbit_hour_auto.py) ```python import pandas as pd # version - 0.25.COIN 종류 1 import numpy as np # version - 1.16.5 import requests # version - 2.22.0 import pymongo # version - 2.8.1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 version - 4.8.0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import getpass import time
- 일 단위(upbit_day_auto.py) ```python import pandas as pd # version - 0.25.1 import numpy as np # version - 1.16.5 import requests # version - 2.22.0 import pymongo # version - 2.8.1 import getpass
- upbit_all(count) : 함수가 실행되면 업비트의 모든 코인의 가격정보를 가져옴
- count : 가져올 데이터의 갯수를 입력
- ‘code’ : 화폐의 코드
- ‘candleDateTime’ : 국제 표준시
- ‘candleDateTimeKst’ : 한국시
- ‘openingPrice’ : 시가
- ‘highPrice’ : 고가
- ‘lowPrice’ : 저가
- ‘tradePrice’ : 현재가격정보
- ‘candleAccTradeVolume’ : 누적체결량
- ‘candleAccTradePrice’ : 누적체결대금
- ‘timestamp’ : Unix 타임스탬프, 1970년 1월1일부터 얼마나 지났는지에 대한것
- ‘prevClosingPrice’ : 전일 종가 (UTC 0기준)
- ‘change’ : 전일 종가 대비 변화금액의 여부 (RISE 오름, EVEN 변화없음, FALL떨어짐)
- ‘changePrice’ : : 전일 종가 대비 변화금액 (절대값)
- ‘signedChangePrice’ : 부호가 있는 변화금액
- ‘changeRate’ : 전일 종가 대비 변화량 (절대값)
- ‘signedChangeRate’ : 부호가 있는 변화량
- upbit_day.py : mongodb의 upbit_day에 저장됨
- upbit_day_auto.py : mongodb의 upbit_day_auto에 저장됨
- upbit_hour.py : mongodb의 upbit_hour에 저장됨
- upbit_hour_auto.py : mongodb의 upbit_hour_auto에 저장됨
- 일일 최고점을 보았을때 최근 하향세인것을 확인할수 있었음
- 업비트에서 respone해주는 형식이 json형식이라 어렵지 않게 한것 같다.
- 추후, 업비트말고 다른 가상화폐 사이트를 scrapy로 크롤링해야겠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