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S에서 PC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우리는 Intercom으로 구동합니다

은행별 이체확인증 발급방법

▶︎ 은행을 통해 원화를 이체한 정보가 상세히 기재된 서류를 의미하며, 요청드리는 이체확인증 에는 "입·출금자명 / 입·출금계좌번호 / 입금금액 / 입금시간 모두 표기된 은행권 증명서류"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 이용중인 은행마다 명칭이 다를 수 있으므로 참조 부탁드립니다.

은행별 발급방법 안내

은행발급서류 명칭 : 이체확인증

발급방법 안내
① PC(Desktop)에서 화면 출력하는 방법 : 바로가기
② PC(Desktop)에서 프린트 하는 방법 : 바로가기

특이사항
- 국민은행에서는 이체확인증 출력은 PC(Desktop)에서만 가능합니다.

은행발급서류 명칭 : 송금확인증

발급방법 안내
① PC(Desktop)에서 출력하는 방법 : 바로가기
② APP에서 출력하는 방법 : 바로가기

은행발급서류 명칭 : 이체확인서

발급방법 안내
① PC(Desktop)에서 출력하는 방법 : 바로가기
② APP에서 출력하는 방법 : 바로가기

은행발급서류 명칭 : 이체결과조회

발급방법 안내
: Device별 출력하는 방법
① PC(Desktop)에서 출력하는 방법
바로가기
② APP에서 출력하는 방법
바로가기

은행발급서류 명칭 : 이체확인증

은행발급서류 명칭 : 이체확인증

발급방법 안내
① APP에서 출력하는 방법
http://bit.ly/2PRGR2R
② PC(Desktop)에서 출력하는 방법
카카오뱅크는 APP 특성상 PC(Desktop)에서 출력은 권장 드리지 않습니다.

은행발급서류 명칭 : 입금확인증

은행발급서류 명칭 : 입금확인증

농협: 이체처리결과 건별 상세조회

ATM 입금으로 인하여 이체확인증 발급이 불가한 경우
영업점 방문하여 재발급 하시거나, 자동화기기 거래 명세표 발급 내역을 사진 촬영하여 제출해 주세요

우리는 Intercom으로 구동합니다

MTX Series

단일 PC에서 다중 사운드 시스템의 중앙 관리

MTX-MRX 에디터는 MTX 및 MRX 시리즈 신호 프로세서 주변에 구축 된 사운드 시스템의 설정 및 관리에 전념하는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마이크, CD, MP3 및 WAV 파일의 오디오를 믹스하고 여러 영역에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고 타이머 활성화 음악 재생 및 공지 사항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MTX-MRX Editor를 사용하면 상점이나 시설의 개별 영역에 최적화 된 사운드를 단일 컴퓨터에서 쉽게 관리하고 배포 할 수 있습니다.

Centralized management of multiple network systems with Single PC

Centralized management of multiple network systems with Single PC

Furthermore, in Ver 3.2, for example, in multiple facilities such as amusement parks and shopping malls, it is possible to manage multiple areas separately on multiple subnets for each zone by a single PC.

MTX-MRX 에디터로 다양한 파라미터 제어

MTX-MRX Edito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표준 설치 절차와 같이 단 한 번의 워크플로우로 사운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 쉬운 마법사 형식으로 원하는 레이아웃에서 사용할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곳에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용 분야의 필요성과 규모에 따라 MTX 시리즈 매트릭스 프로세서, EXi8 입력 익스팬더, EXo8 출력 익스팬더, XMV 시리즈 파워 앰프 및 DCP 디지털 컨트롤 패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MTX-MRX Editor는 입력부터 출력까지 사운드 시스템을 설계하는 포괄적이면서 직관적인 툴입니다.

입력 채널

GAIN / HPF / EQ를 선택하면 각 채널의 FBS에서 PC ‘하이 패스 필터’뿐만 아니라 각 입력 채널에 대한 3- 밴드 PEQ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GATE / COMP는 게이트 및 컴프레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FBS / AGC는 음향 피드백을 제거하는 피드백 서프레서와 레벨이 다른 입력 신호로 일정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는 자동 게인 FBS에서 PC FBS에서 PC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리버브 이펙트는 시뮬레이트 된 잔향을 소스 사운드에 추가합니다.

MTX는 ‘리버브 홀, 리버브 스테이지, 가라오케 에코, 보컬 에코’ 4 종류의 리버브 이펙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피드백 서프레서(FBS)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마이크에 의해 감지되어 다시 증폭 될 때 발생하는 불쾌한 음향 피드백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MTX에는 Fixed 및 Dynamic 두 가지 유형의 FBS가 있습니다. Fixed는 마이크가 움직이지 않는 곳과 문제가 있는 주파수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곳에 이상적입니다. 마이크 위치가 끊임없이 움직여야 하는 경우에는 피드백을 제거하기 위해 설정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야 하므로 Dynamic FBS가 더 적합합니다.

AGC (Auto Gain Controller)는 입력 레벨에 따라 게인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레벨이 변하는 입력 신호에 대해 일정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각기 다른 레벨에서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 경우 또는 다른 레벨의 배경 음악 소스가 있는데 수동 조정을 할 수 있는 기술자가 없을 때 매우 유용 할 것입니다. AGC는 출력 레벨을 자연스럽게 하여 듣는이의 경험을 더욱 즐겁게 할 것입니다.

Dugan 오토믹서

1) 아무도 말하지 않는 경우

아무도 말을 하지 않으면 모든 마이크의 입력 레벨이 낮아지며 게인 레벨이 일정하게 설정됩니다. 이때 각 마이크를 음소거하는 대신 3개의 마이크 사이에 게인이 분산되므로 총 게인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한 사람이 말하면 마이크의 게인이 즉시 0dB로 상승하고 다른 두 마이크의 게인이 낮아집니다. 다른 사람이 말할 때도 똑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3) 여러 사람이 말하는 경우

두 사람이 동시에 말하면 게인 레벨이 두 마이크 사이에 자동으로 분배되어 총 게인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나머지 마이크의 게인이 낮아집니다.

매트릭스 믹서

매트릭스 믹서에서 입력 채널과 출력 버스는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됩니다. Sends On Faders 모드가 활성화되면 각 출력 버스의 그룹 밸런스를 조정하거나 모든 입력 채널에서 페이더를 사용하여 특정 매트릭스 버스로 신호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매트릭스 믹서의 신호는 우선 순위 프로세서 8대로 전송됩니다. 이곳에서 Ambient Noise Compensator(주변 소음 보정)와 Ducker기능의 파라미터 설정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Zone은 독립적으로 취급되고 통제 FBS에서 PC 될 수 있는 오디오 설비가 되어있는 개별 공간 또는 방입니다. 예를 들어, Zone은 레스토랑 내의 별도 공간일 수도 있고, 상점의 2층 영역이 될 수도 있습니다.

Priority Ducker

Priority Ducker

Priority Ducker는 공간의 음원 신호가 임계 값을 초과하면 지정된 양만큼 영역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 시키는데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면, 중요한 비상 방송이 필요하여 명료성을 극대화시켜야 하는 경우, 배경 음악 레벨을 낮추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ANC (Ambient Noise Compensator)는 변동하는 배경 소음 레벨을 보완하기 위해 시스템 게인을 조정합니다. 전형적인 예로 주변 소음이 너무 커서 음악이나 발표가 더 이상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ANC는 보상을 위해 시스템 볼륨을 높입니다.

MTX 내부에서 Zone이 생성되면 라우터 페이지를 사용하여 해당 Zone이 시스템의 출력에 연결되도록 패치합니다. 시스템의 출력으로 패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우터에는 오디오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오실레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iority Processor (우선 순위 프로세서) 설정이 적용되면 라우터를 통해 출력 채널로 신호가 전송됩니다. 각 출력 채널에는 4 밴드 PEQ, 딜레이 및 스피커 프로세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스피커 프로세서에는 다양한 Yamaha 스피커에 대한 사전 설정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의 최적화된 설정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4-Band PEQ 및 딜레이의 설정은 오디오 출력을 다양한 설치 환경의 음향 특성에 알맞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 프로세서

스피커 프로세서 알고리즘에는 설치 환경에서 스피커를 조정할 수 있는 일련의 특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바이앰프 스피커 시스템을 위한 크로스오버가 포함되어 있어 전문 필터와 극성 조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호 딜레이, 미세조절을 위한 6밴드 파라 메트릭 이퀄라이저, 스피커 보호를 위한 리미터가 있습니다.

AKmall

판매자 정보 긍정리뷰 고객이 판매자를 평가한 판매자리뷰 중 긍정적 리뷰(4~5점 리뷰) 비율 (최근 365일 기준) 24시간내 응답 상품 Q&A 문의에 24시간 내 응답한 비율 (최근 30일 기준) 판매량 판매자의 판매건수와 판매금액을 반영하여, 판매량을 5단계로 측정 (최근 365일 기준) 판매량은 5단계(가장 높은 판매량) ~ 1단계(낮은 판매량)로 노출

상품 카테고리 정보

상품 요약 정보

[포보스골프-정품] 포보스골프 잭오브스페이드 일자형 퍼터커버 [FBS PC-JACK]

이 되었습니다.

현재 판매중인 상품이 아닙니다.

구매조건에 따라 배송비 차등부과 구매조건에 따른 배송비 안내
3,500원 동일 묶음배송 70,000원 미만 구매
무료동일 묶음배송 70,000원 이상 구매

적립 안내사항 당월(1일~말일)매출 접수된 건에 대해 익월 20일 24시까지 적립됩니다. 카드 매출 취소된 경우 해당 금액만큼 발생된 예정 포인트를 제외하고 적립되며 포인트 적립 이후 카드 매입 취소 발생 했을 경우 익월 적립 시점에 ‘구매적립취소’ 항목으로 포인트 차감 되어집니다.

포인트 적립제외 무이자할부 이용거래 마이신한포인트 또는 SKpay포인트 사용(전액, 일부) 시 포인트 사용 분, 선불전자지급수단 충전금액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 연회비, 각종수수료 ㆍ 이자(할부수수료, SMS이용수수료, 연체이자 등), 선불카드 충전, 기프트카드 구매, 국세, 지방세, 아파트관리비, 도시가스, 전기료, 4대보험, 대학교(대학원)등록금

신한카드 2,3,4,5,6,7 개월 ( 5 만원↑)
8,9,10,11,12 개월 ( 20 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 개월 ( 100 만원↑, SK pay 결제 시)

KB국민카드 2,3,4,5,6,7 개월 ( 5 만원↑)
8,9,10,11,12 개월 ( 20 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 개월 ( 100 만원↑, SK pay 결제 시)

현대카드 2,3,4,5,6,7 개월 ( 1 만원↑)
8,9,10,11,12 개월 ( 20 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 개월 ( 100 만원↑, SK pay 결제 시)

삼성카드 2,3,4,5,6 개월 ( 5 만원↑)
7,8,9,10,11,12 개월 ( 20 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 개월 ( 100 만원↑, SK pay 결제 시)

롯데카드 2,3,4 개월 ( 5 만원↑)
6 개월 ( 5 만원↑, SK pay 결제 시)
7,8,9,10,11,12 개월 ( 20 만원↑, SK pay 결제 시)
13,14,15,16,17,18,19,20,21,22 개월 ( 100 만원↑, SK pay 결제 시)

제외품목 순금매장, 아동용쥬얼리, 복지용구(요양보험), e-쿠폰/상품권/이용권 등 (제외품목 상품을 포함하여 할부 결제 시 할부 수수료가 청구됩니다.) 제외카드 체크/법인/개인사업자/선불/기프트카드 제외 (BC계열은 BC카드 무이자할부 적용)

FBS에서 PC

1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2 Department of Biochemist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3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email protected]

BACKGROUND AND OBJECTIVES: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is known to stimulate motility, invasiveness, proliferation, and morphogenesis of endothelial cells. Recent reports revealed that this growth factor is also related to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We examined the role of HGF/c-Met on the proliferation, dispersion and migration of FaDu cell, a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MATERIALS AND METHOD:
We performed RT-PCR and Western blot in FaDu. Proliferation of the FaDu cells was assay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ells after treatment by HGF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0, 10, 30 ng/mL. Dispersion of the cells was observed by measuring the separation and morphologic changes of cells after the colony of FaDu cells was formed in the media and then treated with HGF of 10 ng/mL or 30 ng/mL for 24 hours. Tumor cell migration was assessed by wound healing assay. Lastly, we examined the enhancement of HGF production in human fibroblast (MRC-5) by putative inducer secreted from FaDu cells.
RESULTS:
The expresssion of c-Met mRNA and protein was detected in the hypopharyngeal cell line while that of HGF was not. Exogenous HGF significantly enhanced the growth of FaDu in a dose-dependent manner 30 ng/ml (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GF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through the enhancement of proliferation, dispersion and migration.

교신저자:최은창, 120-752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13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FBS에서 PC 361-8481 · 전송:(02) 393-0580 · E-mail:[email protected]


암이 진행되어 전이되기까지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초기에 발생하는 현상은 원발 병소에 존재하는 암세포간의 결합이 소실되는 과정이다. 상호 결합이 소실된 암세포는 이동을 하게 되고 주변조직으로의 침윤을 거쳐 원격전이를 하게 된다. 세포간의 결합이 소실된 암세포는 아무 방향으로나 이동하거나,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관련된 인자로 autocrine motility factor, hepatocyte growth factor, tumor necrosis factor 등이 알려져 있다. 1) 기질의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어 종양세포의 성장과 이동을 촉진하고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인자로 알려진 2)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이하 HGF)는 최초 발견시에는 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인자로 알려졌으나, 3) 이후에는 간세포뿐만아니라 위장관 상피세포, 각질세포 등을 위시한 여러 상피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능력이 있음이 알려졌으며, 일부 암세포에 있어서는 protease의 분비를 통해 종양의 활동(motility)과 침습(invasiveness)를 일으키고 형질생성(morphogenesis)과 신생혈관의 생성(angiogenesis)에 관여한다고 알려지게 되었다. 4) 5) HGF에 대한 수용체인 c-Met는 c-met protooncogene의 산물이며 190 kDa의 receptor tyrosine kinase로서 170 kDa의 전구물질이 glycosylation과정을 거쳐 완성된 단백질로 세포외(extracellular)의 50 kDa α-subunit과 경세포막(transmembrane) 형태로 존재하여 tyrosine phosphorylation이 일어나는 145 kDa의 β-subunit로 구성되어 있다. 6) 이 protooncogene은 위장관암, 폐암, 췌장암, 백혈병,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과표현됨이 알려져 있다. 6) 본 저자는 기존의 연구에서 하인두암에서의 HGF와 c-Met의 높은 발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발현은 하인두암의 전이와 병기가 증가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in vitro에서 확인하기 위해 HGF가 하인두암 세포주(FaDu)에서 증식, 분산과 이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 HGF와 c-Met이 paracrine 기전으로 상호작용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을 촉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FBS에서 PC

재료 및 방법

세포배양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으로부터 구입한 하인두암 세포주 FaDu(HTB-43, ATCC)를 EMEM(10% FBS) 배지에서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FaDu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섬유아세포에서 HGF의 분비를 촉진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람의 섬유아세포주인 MRC-5을 이용하였고 RPMI(10% FBS)에서 배양하여 실험전에는 MRC-5가 세포괴사에 빠지지 않는 최소농도인 FBS 0.5%가 포함된 RPMI배지를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항체
HGF에 대한 일차항체는 human 항 HGF affinity purified polyclonal goat antibody(R & D systems, Inc, MN, USA)를 사용하였고 c-Met에 대한 일차 항체는 human 항 HGF receptor(c-Met) polyclonal goat antibody(R & D system)를 사용하였다.

RT-PCR에 의한 HGF와 c-Met의 mRNA 측정
하인두암 세포주 1 ml의 TRIzol ® (GIBCOBRL, Grand Island, NY, USA) 시약에 균질화시킨 후, 총 RNA를 추출하였다. 하인두암 세포주에서 추출된 총 RNA 2 μg을 각각 Omniscript Reverse Transcriptase kit(20511, Qiagen Germany)의 반응혼합물 20 μl에 넣고 37℃에서 60분, 94℃에서 5분간 역전사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PCR은 Minicycler TM (MJ research, USA)를 사용하였고 합성된 cDNA를 Taq DNA polymerase 1 unit(Roche Diagnostics Co, Indianapolis, USA)과 각각의 primer를 넣어 증폭시켰다. 이 실험에서 사용된 human HGF primer와 human c-Met primer의 염기배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human HGF;
sense:5'-ACA TCG TCA CTT CTG GC-3' FBS에서 PC
antisense:5'-ATC CAT CCT ATG TTT GTT CG-3'
human c-Met;
sense:5'-AGT AGC CTG ATT GTG CAT TT-3',
antisense:5'-TCT TTC ATG ATG CCC TC-3'.
β-Actin;
sense:5'-TCA TGA AGT GTG ACG TTG ACA TCC TT-3',
antisense:5'-CCT AGA AGC ATT TGC GGT GCA CGA TG-3'.

PCR과정은 초기 변성을 96℃에서 3분간 실시한 후, 96℃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30초간을 총 30 cycles을 실시하고 신전(extension)은 72℃에서 5분간 시행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c-Met의 발현 검색
하인두암 세포주를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으로 세척한 다음 단백질분해 억제제(100 μg/ml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1 μg/ml leupeptin)가 첨가된 RIPA(RadioImmunoPrecipitation) buffer 1 ml 에 넣고 균질화 하였다. 이 균질액을 15,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Western blot analysis에 이용하였는데 단백질의 양은 Bio-Rad protein assay(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Well 당 20 μg의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해 sodium dodesyl sulfate(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PAGE)를 사용하여 분리한 후 nitrocellulose filter (Amersham, Arlington Heights, IL. USA)에 옮긴 다음 4℃에서 하루 밤 동안 항 c-Met항체를 반응시켰다. 다음날 filter를 0.1% Tween-20이 함유된 Tris buffered saline(T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peroxidase-conjugated donkey anti-rabbit antibody(Amersham)와 donkey anti-mouse antibody(Amersham)로 각각 반응시킨 후 enhanced chemiluminescence detection system(ECL, Amersham)을 이용하여 X-ray film으로 확인하였다.

종양세포의 증식 분석(Proliferative assay)
HGF의 자극에 의한 세포의 증식도를 평가하기 위해 HGF 0, 10 ng/ml와 30 ng/ml로 처리한 FaDu 세포를 1×10 5 /well의 수로 5일까지 배양하고 1, 3, 5일의 증식상태를 ha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고 이때에 배지를 갈아주었다. 이를 5회 반복하여 HGF의 양에 따른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HGF 투여 후 종양세포의 분산성(Colony dispersion)
HGF의 자극에 의한 세포의 분산성(scattering)을 평가하기 위해 12 well plate에 well당 3×10 5 의 세포를 넣었다. 성장 인자와 혈청이 없는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한 뒤 16세포 이상의 군락(colony)이 형성되었을 때 실험을 시행하였다. Mitomycin C(8 μg/ml)를 30분간 전처리 한 뒤 HGF를 0, 10, 30 ng/ml로 처리한 다음 시간대별(6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로 세포의 분산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Wound healing assay을 통해 HGF 투여 후 종양세포의 이동성 분석
FaDu 세포를 24 well plate에 1×10 6 개씩 접종한 후 성장 인자와 혈청이 없는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가 plate에 포화된(90% 이상)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Blue tip을 이용하여 dish 바닥을 십자로 그어 균일한 너비로 injury line을 만들었다. PBS로 세포가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세척한 뒤 PBS를 제거한 후에 배지를 천천히 넣고 HGF 0, 10, 30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또한 HGF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plate에 HGF 10 ng/ml과 30 ng/ml으로 처리한 뒤 HGF neutralizing Ab를 사용하여 HGF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HGF로 처리한 군과 비교하였다. Wound healing assay는 현미경 배율 ×100으로 시간대별(4, 8, 12, 24, 36, 48시간)로 사진을 찍어 비교하였고 현미경내에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측정된 두 양단간의 거리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였다.

종양세포에서 HGF의 분비를 촉진하는 유도물질 확인
FaDu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섬유아세포에서 HGF의 분비를 촉진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람의 섬유아세포주인 MRC-5를 60φ dish에 10 6 cells를 부착하였다. MRC-5의 배지를 0.5% FBS media로 바꿔주어 24시간 배양한 후 MRC-5에 성장인자와 혈청이 없는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FaDu의 media soup을 넣어주었다. 0, 2, 6, 12, 24, 48시간 후에 MRC-5에서 배지의 상층액을 얻은 후 ELISA kit로 HGF의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MRC-5에서 기본적으로 분비되는 HGF의 농도를 알기위해 0, 2, 6, 12, 24, 48시간 후에 MRC-5 배지의 상층액을 얻어 ELISA kit로 HGF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
증식분석과 wound healing assay는 one-way ANOVA test를 이용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였다. 종양세포에서 HGF의 분비를 촉진하는 유도물질을 확인하는 실험에서는 Mann-Whitney test를 시행하였다. 통계는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하인두암 세포주의 분산
HGF에 의한 하인두암의 군락의 분산성 실험에서 HGF를 처리하지 않은 군락에서는 시간대별로 뚜렷하게 분산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았는데 HGF를 처리한 후 6시간마다 검사한 결과 시간에 따라 뚜렷한 분산 효과가 있었고( Fig. 3 ) 초기 관찰시점인 6시간에 HGF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actin microspikes(lamellipodia)나 membrane ruffling(filopodia)가 잘 관찰되었고 세포의 모양도 섬유아세포의 모양처럼 길쭉하게 변형된 세포가 관찰되었다( Fig. 4 ). 이러한 HGF의 분산 효과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했지만 24시간대에서 10 ng/ml의 HGF 자극보다는 30 ng/ml의 HGF 자극에서 분산현상이 좀더 뚜렷하게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Fig. 3 ).

고 찰

인체의 각 조직의 발달 및 분화를 이루는 과정으로 상피와 중간엽간의 상호작용(epithelial-mesenchymal interaction)이 있다. 즉 신장, 폐, 사지, 치아, 유방 등은 모두 이러한 상피와 중간엽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달과 분화를 이루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HGF라는 것이 최근의 연구에서 증명되었다. 7) 실제로 인체에서 HGF가 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해답은 찾지 못했으나 내피세포의 증식, 세포유리의촉진, 혈관 형성의 유발 등의 기능이 알려져 있다. 8) 이러한 HGF의 정상세포에서의 역할을 근거로 하여 종양세포의 성장, 침윤, 전이과정에서도 HGF가 관여할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는데 실제 다음과 같은 많은 실험에서 이러한 추측이 증명되었다. Bellusci 등은 HGF 유전자를 암세포에 transfection시켰을 때 암세포의 운동성과 침윤성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관찰하였고 최근에는 간질 섬유아세포(stromal fibroblast)에서 분비하는 HGF를 유도하는 인자가 암세포에서 분비한다는 사실도 보고되었다. 9) 이는 HGF가 간질에서 분비되어 암세포의 침윤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고 이 HGF의 분비를 유도하는 물질이 암세포에서 분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상조직에서 뿐만 아니라 암조직에서도 위에서 말한 상피와 중간엽간의 상호작용이 성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경부암에서 침습과 전이를 잘하기로 알려진 종양이 하인두암이라고 할 수 있는데 HGF가 상피와 중간엽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종양의 진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하인두암의 종양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HGF가 기여하리라고 생각하나 아직까지는 하인두암에서 HGF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인두암에서 종양에 의한 어떠한 분비물에 의해 종양주변의 섬유아세포에서 HGF의 분비를 촉진하고 이렇게 분비된 HGF가 하인두암세포주에서 종양의 성장, 분산과 이동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하인두암 세포주인 FaDu의 경우 RT- PCR결과 HGF의 발현은 없고 c-Met의 발현만 확인되었으며 Western blotting상에서도 c-Met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어 FaDu가 paracrine 기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측되어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FaDu의 단층배양에서는 외인성 HGF가 FaDu의 증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10 ng/ml에 비해 30 ng/ml을 사용하였을 때 증식이 증가되는 것을 보고하였고 Han 등 10) 이 위암세포에서 시행한 연구에서도 외인성 HGF 10 ng/ml을 사용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증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결과를 보고하였으나 Uchida 등의 연구에서는 외인성 HGF는 구강암세포주의 성장을 자극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50 ng/ml의 고농도 HGF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11) 이러한 상반된 결론에 대해서는 사용한 세포주에 따른 특성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원발세포에서 시작된 암세포가 원격전이에 이르기까지는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암세포가 주변조직으로 침윤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간의 결합이 소실되어야 하고 암세포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주변조직을 분해해야 하며 림프절이나 혈관으로 전이하기 위해서는 신생혈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는 세포간 접촉(cell-cell contacts), 세포와 기질과의 상호작용(cell-substrate interactions), 세포외 기질의 분해(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등이 관여된다. 12) HGF는 HGF 수용체를 갖고 있는 상피세포 혹은 내피세포의 강력한 세포증식과 운동능력을 유발하며 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형을 초래한다. 이러한 세포의 운동능력과 형태학적인 변형에 있어서 세포내 액틴과 같은 세포골격의 변형과 상피세포간의 해리현상이 중요하다. 13) Met에 의한 세포의 이동은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초기 단계는 HGF 처리후 6시간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세포내 골격의 신전(cytoskeletal extension), 퍼짐(spreading), 세포간의 유리(detachment of cell-cell contacts)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후기 단계는 HGF 처리후 16시간 혹은 24시간 이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세포가 분산(scattering)되는 현상이다. 14) HGF는 세포간극에 존재하는 주요 간극 단백질(major tight junction protein)인 zonula occludens-1를 크게 감소시키고 15) β-catenin을 인산화시켜 E-cadherin과 β-catenin에 의해 형성되는 세포간극을 소실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 17) Balkovetz 등 18) 은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주를 HGF로 처리한 결과 세포의 극성(polarity)이 소실되면서 E-cadherin이 세포막에서 세포질로 이동하고 또한 E-cadherin의 생산 감소가 동반함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cadherin과 관련된 단백질들의 tyrosine phosphorylation을 통해 발생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떨어진 세포는 섬유아세포 형태로 변하면서 세포의 표면에 lamellae나 lamellipodia 등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현상이 세포의 운동성을 증가시킨다. 19) 이러한 섬유아세포 형태의 변화는 다른 growth factor인 EGF나 TGF-α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데 EGF receptor가 자극되면 colony disruption을 자극하고 8시간내에 세포의 모양이 섬유아세포처럼 변형(fibroblastoid morphology)되며 24시간에 최대의 효과가 나타난다. 20)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하인두암 세포주인 FaDu에서도 HGF의 처리후에 세포의 분산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HGF를 처리한 초기 6시간의 관찰에서 보면 HGF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lamellipodia나 filopodia가 잘 관찰되었고 세포의 모양도 섬유아세포의 모양처럼 길쭉하게 변형된 세포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세포의 이동이나 침습에서 가장 중요한 현상은 액틴의 형성이 특정부위에서 일어나 방향성을 지닌 pseudopodia가 돌출하는 것으로 pseudopodia의 형성은 실험적으로 세포의 이동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체내에서 종양세포의 이동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21) 이러한 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는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한 migration assay에서도 잘 관찰되었다. 종양세포의 이동과 침습에 대하여 Matsumoto 등 22) 은 섬유아세포에서 유래한 HGF는 integrins, cytoskeletal proteins, p125FAK의 동원을 통해 편평세포암 세포의 이동을 촉진한다고 보고하였고 Slingerland 등 2) 은 간암세포(hepatocellular carcinoma cell)을 HGF로 처리하면 세포의 이동능이 증가하고 액틴의 재배치가 일어나며 p27 cdk inhibitor protein이 안정화된다고 보고하였다. HGF에 의해 Ser-10이 인산화 되면서 p27이 세포질로 움직이면서 원래 G1 cell cycle arrest에 관여하는 N-terminal이 아닌 C-terminal의 scattering domain에서 액틴의 재배치와 이동에 관여한다. 따라서 C-terminal p27 scatter domain이 소실되거나 파괴되면 액틴의 재배치나 세포의 분산이 소실된다. 2)
앞서 말한 대로 상피와 중간엽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종양세포의 성장, 침윤, 전이과정에서도 HGF가 관여할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는데 Matsumoto 등 22) 은 암세포를 간질 섬유아세포와 같이 배양하였을 때 collagen matrix에로의 침윤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간질 섬유아세포에서 분비하는 HGF를 유도하는 인자가 암세포에서 분비한다는 사실도 보고 되었다. 23) 24) 이는 HGF가 간질에서 분비되어 암세포의 침윤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고 이 HGF의 분비를 유도하는 물질이 암세포에서 분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상조직에서 뿐만 아니라 암조직에서도 위에서 말한 상피와 중간엽간의 상호작용이 성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하에 하인두암 세포의 배양액에 섬유아세포로 하여금 HGF를 분비하게 하는 어떠한 유도물질이 있으리라 가정하고 하인두암 세포의 배양액을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넣은 후 48시간에 측정한 HGF의 양이 하인두암 세포의 배양액을 넣지 않고 배양한 섬유아세포의 HGF의 생성양에 비해 9배이상 증가하여 HGF의 생성을 유도하는 인자가 하인두암세포주에서 분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유도물질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중으로 Nakamura 등 25) 은 종양세포에서 유래되는 인자중 IL-1β, bF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등이 간질세포에서 HGF의 분비를 촉진한다고 보고한 바 있어 향후 이 유도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결 론

이 연구를 통하여 HGF가 하인두암 세포주(FaDu)의 증식, 분산과 이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FaDu에서 분비되는 HGF 분비유도물질에 의해 섬유아세포에서의 HGF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인두암의 증식과 전이에 있어 종양주변의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HGF가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BS에서 PC

쇼피코리아 이상민 물류팀장이 14일 온라인을 통해 쇼피 물류 서비스(SLS)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쇼피코리아

동남아와 대만 최대의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코리아가 14일 온라인으로 ‘2022 쇼피코리아 크로스보더 물류 세미나’를 개최하고, 크로스보더 이커머스에서 물류의 중요성과 성공적인 해외 시장 진출 전략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쇼피코리아는 기업과 개인 셀러들이 해외 진출 시 국가별로 각기 다른 물류 관련 절차를 인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인지하고, 한정된 자원으로 여러 국가에 효과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전문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특히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10개국에 크로스보더 판매를 지원 중인 쇼피코리아의 경우 ‘쇼피 물류 서비스(Shopee Logistics Service, 이하 SLS)’를 통해 셀러들이 물류 과정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인 점을 강조했다. 쇼피는 셀러들을 위한 원스톱 물류 서비스인 SLS로 크로스보더 물량의 약 95% 이상을 배송하고 있다.

이어 쇼피코리아가 서비스 중인 3개의 물류 채널인 항공, 해상, FBS(Fulfillment by Shopee, 이하 FBS)에 대해 카테고리, 무게·부피 제한, 가격 경쟁력, 판매 리드 타임, 운송 가격 경쟁력 등의 항목별 특장점을 안내했다.

셀러들이 비즈니스별로 적합한 운송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취급 상품에 따른 채널 선택 팁도 공유했다. 쇼피코리아는 항공 채널의 경우 운송 제한 품목이 있는 점을 고려해 중소형 크기의 상품과 배송 기간에 민감한 카테고리 판매를 추천했다. 대표 상품으로는 뷰티, K-팝 관련 상품, 건강보조식품, 가공식품 등을 예시로 들었다.

해상 채널은 부피나 무게가 큰 상품이나 항공 운송이 제한돼 해상으로만 판매할 수 있는 가구나 유아용 매트, 염색약, 네일케어 제품, 디퓨저 등을 FBS에서 PC 권장했다.

쇼피코리아에서 제공하고 있는 풀필먼트 서비스인 FBS는 셀러가 사전에 일정 물량을 해상 운송을 통해 현지 쇼피 창고로 입고하면 현지 쇼피 직원들이 보관 및 포장, 배송, 재고관리까지 지원하는 쇼피의 일괄 물류 대행 서비스다.

현재 쇼피코리아에서 성공적으로 FBS를 이용하는 셀러들의 판매 카테고리는 뷰티, 생활용품 등이며 현지에서 수요가 많아 대량으로 유통할 수 있거나, 부피가 큰 상품들도 적합하다.

이 밖에도 쇼피코리아가 판매를 지원하는 지역별 물류 특징과 해상 채널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예비 셀러들의 입점을 돕는 방법을 비롯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판매자를 위한 다양한 팁을 공유했다.

쇼피코리아 권윤아 지사장은 “이번 세미나는 더 많은 판매자가 해외에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크로스보더 물류에 대한 인사이트는 물론 쇼피가 운영 중인 다양한 물류 채널과 서비스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셀러들이 판매하는 상품과 비즈니스별로 추구하는 방향성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최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진행한 ‘물류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약 90%의 수출기업들이 물류 애로를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별 통관·인증 정보 통합 제공 △해외수입통관처리 자동화 서비스 △국가별 맞춤형 서비스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