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ng차트
화면이해
차트 화면의 기본구성에 대한 간단한 이해로 훨씬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맞춤분석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주식종목을 선택할 수 있는 기본기능과 차트의 조회기간(구간)을 정하고 차트저장, 차트상하비율 조정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2. 유형 부분에서 제공되는 봉차트, 선차트 등 차트의 유형을 사용자가 결정하고 지표 부분에서 유형외에 이동평균선부터 일목균형표 등 다양한 지표를 함께 설정함으로써 주가 및 시장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3. 차트설정 조건에 맞춰 주가 및 시장의 흐름을 그래픽을 표현하는 부분으로 필요시 이 영역에서 마우스 왼쪽 또는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값을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차트를 바탕으로 각종 선을 긋거나 전문적이고 다양한 추세선을 표현하여 주가의 맥을 잡아내고 예상할 수 있는 도구기능을 수행합니다.
차트 구간 단위 설정
차트의 1구간 단위를 "일/주/월/년/분/틱" 으로 선택하여 조회합니다.
분 또는 틱의 경우 1(분 Swing차트 or 틱), 3, 5,10,15,30,60 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 숫자는 분 또는 틱을 1개~60개까지 모아서 하나의 구간으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봉(캔들)차트
일본식 차트라고도 하며 위아래 꼬리모양으로 인해 캔들차트로 불리며 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캔들의 몸통은 시가와 종가로 구성되며, 캔들의 꼬리는 고가와 저가로 구성됩니다. 금일 종가가 시가보다 상승시에는 적색으로, 하락시에는 청색으로 캔들의 몸통 색상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바차트
미국식 Swing차트 차트라고도 하며 바차트 중에 시가, 고가, 저가 그리고 종가로만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바에 최고와 최저는 봉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의미하며, 시가는 바의 좌측의 잔가지로, 종가는 바의 우측에 잔가지로 표현하게 됩니다. 기본 설정으로 가격 상승 시에는 적색으로, 가격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바를 표현하였습니다.
매물분석(대기매물)
가격대별 거래량의 비율을 가격대에 바형식으로 구현한 차트로 매물대 분석시에 사용됩니다. 매물대 분석 차트는 매물 가격대 개수라는 변수가 있는데, 이 변수는 가격대를 변수의 수치로 나누어 매물바의 개수를 만들어주는 변수입니다. 누적 거래량 차트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누적 거래량이 많은 가격대가 매물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매물대 위에 있으면, 매물대는 지지구간의 역할을 하고, 매물대 밑에 있으면 매물대는 저항구간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누적 거래량이 적은 구간에서는 주가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그물차트
그물차트란 이동 평균선을 짧은 것부터 긴 것을 순차적으로 한 그림에 나열한 것입니다. 이러한 그물차트는 단순하게 정해진 이평선의 고정된 움직임 보다는 이동평균선의 확장과 수렴 등을 역동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현재의 시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정한 개수의 이동평균선들의 간격이 벌어졌다가 좁혀지기 시작하면 추세전환신호로 해석합니다.(바닥권에서는 매수신호로 천정권에서는 매도신호가 됩니다.) 또한 이동평균선 밀집국면에서 이동평균선의 간격이 벌어지기 시작하면 역시 전환신호로 매수신호로 해석합니다.
역시계곡선
역시계곡선은 가격과 거래량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가격 차트로, X축에는 거래량 Y축에는 주가를 두고, 변수(이동평균)의 수치만큼의 일수로 주가 및 거래량을 평균하여 이를 차트에 표시한 것으로 진행방향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하여, 역시계곡선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변수는 이동평균선 수치로 변경할 Swing차트 수 있습니다. 보통 20일 또는 25일 평균선이 사용됩니다.
P&F
P&F차트는 시간의 개념을 약간은 벗어난 차트로, 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중심으로 하여 추세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차트 입니다. 기준 가격 이상 상승 시에는 붉은 색으로 X를 표시하며, 기준 가격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O를 표시합니다. 이 때 시간의 개념은 제외되며, X에서 O간에 전환 시에만 한 칸 이동하게 됩니다. P&F차트에서의 변수로는 “칸전환”과 “칸크기” 변수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P&F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삼선전환도
삼선전환도는 P&F와 비슷한 개념으로, 칸 전환 변수 이상의 주가 변동이 발생시, 청색 또는 적색 전환차트에서 변경됩니다. 주가 상승 시에는 붉은색으로,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표현합니다. 변수는 칸 전환 변수로 변경합니다.
SwingChart
Swing차트는 최소반전폭을 설정한 후 이전 가격으로부터 최소반전폭 이상 움직였을 경우에만 차트를 그려줍니다. 이전보다 상승시 빨간색, 하락시 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만약 전일 종가가 1000원이고 당일 종가가 1110원이고 최소반전폭이 100일 경우 빨간선을 하나 그려준다. 만약 890원일 경우는 파란 선을 그려줍니다.
KagiChart
Kagi차트는 Swing차트와 마찬가지로 최소반전폭을 설정한 후 이전 가격으로부터 최소반전폭 Swing차트 이상 움직였을 경우에만 차트를 그려줍니다. 이전보다 상승시 빨간색, 하락시 파란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차이점은 이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였을 때는 굵은선으로 표시하고 이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였을 때는 가는 선으로 표시합니다. 또한 해당 라인의 고가와 저가중간에 수평선을 그어 지지/저항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RenkoChart
Renko차트는 항상 종가를 기준으로 사용하며 벽돌의 크기는 사용자에 맞게 최소변화폭을 설정하고 전일 벽돌의 고가와 저가를 당일 종가와 비교하여 당일 종가가 전일 벽돌 고가 이상으로 상승했을 Swing차트 때 빨간벽돌을, 당일 종가가 전일 벽돌 저가 이하로 하락했을 때 하얀 벽돌을 그려줍니다. 이 때 가격이 Swing차트 벽돌의 하나 크기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나 두개의 크기를 채워주지 못할 때는 하나만 그린다는 점에서 P&F차트와 차이가 납니다.
분산형
분산형차트를 그리는 방법은 X축에 거래량을 표시하고 Y축에 가격을 표시한 후 매일매일의 거래량과 주가에 해당하는 값을 차트에 점으로 찍어줍니다. 해당 일에 주가가 양봉을 형성하면(종가>시가) 빨간색, 음봉을 형성하면(종가<시가)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이퀴볼륨
이퀴볼륨 차트는 일반 캔들에 거래량을 합한 개념으로, 봉의 좌우 폭을 해당봉의 거래량이 전체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해당 봉에서 거래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폭은 커지게 됩니다. 설정부분은 캔들차트처럼 가격상승 시/하락시 색과 영역 채우기가 있습니다.
차트영역
차트영역에서 여러 기능을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 왼쪽과 오른쪽 마우스버튼 클릭으로 기능화면을 띄우는 방법을 많이 쓰며 각 화면별로 설정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석기법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봉차트에 직접 왼쪽 마우스버튼을 더블 클릭하거나 오른쪽 마우스버튼을 클릭후 ‘봉차트속성’ 메뉴를 선택하여 띄우면 기본차트 속성변경 창이 나타납니다.
각종 차트의 색상 및 기본사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차트영역 하단 거래량 봉차트 영역을 더블 클릭하면 거래량 지표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봉차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버튼을 클릭하면 지표 관련 설명창 에서 개념 및 계산방식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트스타일] 탭
교보증권 에서 제공해 드리는 3가지 차트 타입 외에 12개 증권사별로 적용되고 있는 차트스타일을 사용자가 고를 수 있어 어떤 HTS를 쓰셨더라도 쉽게 ‘PROVEST K’에 적응이 가능하도록 고객편의를 최대화하였습니다.
기본기능인 차트 색상변경부터 거래량 이미지 변경 등 다양한 변신이 가능합니다.
[정보표시] 탭
차트에서 보여지는 데이터에서 기본적인 종목명, 시간구분선, 현재가, 시고저가, 여백처리 등의 색상을 편집할 수 있으며 특히 차트영역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킬 때 + 십자선이 항상 나오게도 할 수 있고 클릭했을 때만 나오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Swing차트
제가 오늘 알려드릴려고 하는 차트는 개미털기 자리 입니다. 윌리엄 오닐의 컵패턴 이론 에서 motive가 되어준 차트인데요, 우상향하는 과정인 차트가 마치 컵의 손잡이 와 비슷하다고 하여 컵패턴이라고 합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손잡이 부분이 개미털기 자리인데요, 저는 반대로 개미털기자리에서 매수를하여 수익을 노립니다.
윌리엄오닐의 컵패턴
진양제약이라는 종목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테마는 우한폐렴 관련주로 올랐었습니다. 하지만 이슈가 있어서 오르는것도 있지만 차트 자체가 우상향을 할수있도록 여건이 만들어졌기때문에 오르는것입니다. 다같은 제약주라고해서 우한폐렴관련주로 모든바이오,제약주가 오르지 않듯이 차트가 만들어져야 이슈을 핑계 로 오르는것입니다
진양제약
위 진양제약 차트처럼 세력이 수익실현후 과대낙폭을 하기 시작합니다. 이후 저점을 다지면서 박스권으로 횡보하기 시작합니다. 그다음 개미털기 자리인데 ! 거래량이 한번 펑 터지면서 큰 양봉캔들 하나를 생성합니다. 그다음 컵손잡이 모양을 만들기위해 우상향을 하는데 이자리가 개미털기 자리인 이유는 즉슨 , 올리다가도 내리는듯한 차트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한방에 오르기보다는 흔들면서 오르는 자리죠.
따라서, 급등주를 쫓아가는 개인들도 있으며, 과거에 과대낙폭자리에서 물렸던 사람들의 계좌가 본전왔다가 다시 떨어졌다가 반복을 하기때문에 심리적으로 손절를 치는자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역으로 잘 이용만한다면 단기간에 급등수익을 볼수 있는 자리기도 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은 사실의 공표
저희 주식회사 카카오는 인터넷 사이트 (www.melon.com) 및 스마트 기기 전용 사이버몰인 ‘멜론(Melon)’ 앱을 운영하면서 아래와 같은 행위를 함으로써‘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았습니다.
1. 정기결제 상품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2016. 9. 22. 부터 2016. 12. 31. 까지 4차례에 걸쳐‘가격인상 동의’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가격인상에 미리 동의해야 할인 혜택 연장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가격인상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할인 혜택 연장을 받을 수 없는 것처럼 광고하고 실제로는 가격인상에 동의하지 않는 이용자들에게도 할인혜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
2. 2016. 9. 30. 부터 2017. 8. 31. 까지‘일시정지 해제’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정기결제 상품이용자 중 이용량이 많다는 이유로 이용자의 이용권을 일시정지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음원 이용이 일시정지 된 구체적인 사유를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았고, 인상된 가격을 기준으로 할인혜택이 적용된다는 사실과 할인혜택이 종료된 이후에는 인상된 가격이 적용된다는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음
주식회사 카카오
대표이사 여민수, 조수용
(주)카카오엔터테인먼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21 대표이사 : 이진수, 김성수 사업자등록번호 : 220-88-0259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성남분당B-0004 사업자정보확인
문의전화 : 1566-7727 (평일 09:00-18:00, 유료) 이메일 : [email protected] 호스팅서비스사업자 : (주)카카오엔터테인먼트 © Kakao Entertainment Corp.
Swing차트
선물옵션 기술적분석매매_선물옵션 차트종류 총정리 (캔들차트,바차트,종가선차트,누적거래량차트,P&F,삼선전환도,스윙,이큐볼륨, 분산형 등)
1. 선물옵션차트 봉차트 (캔들차트)
: 선물옵션차트 봉차트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가격 차트입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높을 경우에는 양봉(봉의 색을 붉게)으로,
반대로 시가가 종가보다 클 경우에는 음봉(봉의 색을 파란색으로) 표현합니다. 장중의 고가와 저가는 위 아래의 꼬리(수염)으로 나타내게 됩니다.
2. 선물옵션차트 바차트 (시고저종)
: 일명 미국식 선물옵션차트로 통하는 바차트 중에 시가, 고가, 저가 그리고 종가로만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바에 최고와 최저는 봉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의미하며,
시가는 바의 좌측의 잔가지로, 종가는 바의 우측에 잔가지로 표현하게 됩니다.
기본 설정으로 가격 상승시에는 적색으로, 가격 하락시에는 청색으로 바를 표현하였으며 개인의 취향에 따라 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선물옵션차트 바차트 (고저종)
: 일명 미국식 선물옵션차트로 통하는 바차트 중에, 시가를 제외한 고가와 저가, 그리고 종가로만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바에 최고와 최저는 봉의 최고와 최저가를 의미하며, 종가는 바의 우측에 잔가지로 표현하게 됩니다.
기본 설정으로 가격 상승시에는 적색으로, 가격 하락시에는 청색으로 바를 표현하였으며 개인의 취향에 따라 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선물옵션차트 종가선차트
: 선물옵션차트 종가선 차트는 간단하게 종가만을 이어 만든 선형 차트로 일명 '라인차트'로 부릅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색으로 "가격 차트 속성"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5. 선물옵션차트 누적거래량차트
: 일명 매물대 선물옵션차트로 불리는 누적 거래량 차트는 가격대별 거래량의 비율을 가격대에 바형식으로 구현한 차트로 보통 매물대 분석시에 사용됩니다.
누적 거래량 선물옵션차트는 위에 언급한 가격 Swing차트 차트와는 달리 [매물 가격대 개수]라는 변수가 있는데,
이 변수는 가격대를 변수의 수치로 나누어 매물바의 개수를 만들어주는 변수입니다.
6. 선물옵션차트 P&F차트
: 선물옵션차트 P&F차트는 시간의 개념을 약간은 벗어난 차트로, 가격의 Swing차트 상승과 하락을 중심으로 하여 추세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차트입니다.
기준 가격 이상 상승시에는 붉은 색으로 X를 표시하며, 기준 가격 하락시에는 청색으로 O를 표시합니다.
이 때 시간의 개념은 제외되며, X에서 O간의 전환시에만 한 칸 이동하게 됩니다.
P&F 차트에서의 변수로는 [칸전환]과 [칸크기] 변수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P&F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7. 선물옵션차트 삼선전환도
: 선물옵션차트 삼선전환도는 P&F와 비슷한 개념으로,
칸 전환 변수 이상의 주가 변동이 발생할 경우, 청색 또는 적색 전환 차트에서 변경됩니다.
주가 상승시에는 붉은 색으로, 하락시에는 청색으로 표현합니다.
변수는 칸 전환 변수로 변경합니다.
8. 선물옵션차트 Swing 차트
: 선물옵션차트 swing chart는 P&F차트와 비슷한 개념으로, Swing chart는 P&F와 달리 주가의 등락을 직선의 굴절로 표시하는 방 법입니다.
MindFusion.Charting for Java Swing
MindFusion.Charting for Java Swing lets you combine and arrange chart, gauge and UI elements to create advanced data visualization solutions. The library ships with a set of predefined charts, which you Swing차트 can easily populate with data and adjust in appearance.
MindFusion.Charting for Java Swing
클릭하여 상세내용 보기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