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봉 차트 설정
화면이해
차트 화면의 기본구성에 대한 간단한 이해로 훨씬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맞춤분석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업종별 종목을 선택할 수 있는 기본기능과 차트의 조회기간(구간)을 정하고 차트저장, 차트상하비율 조정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2. 유형 부분에서 제공되는 봉차트, 선차트 등 차트의 유형을 사용자가 결정하고 지표 부분에서 유형외에 이동평균선부터 일목균형표 등 다양한 지표를 함께 설정함으로써 주가 및 시장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3. 차트설정 조건에 맞춰 주가 및 시장의 흐름을 그래픽을 표현하는 부분으로 필요시 이 영역에서 마우스 왼쪽 또는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값을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차트를 바탕으로 각종 선을 긋거나 전문적이고 다양한 추세선을 표현하여 주가의 맥을 잡아내고 예상할 수 있는 도구기능을 수행합니다.
차트 구간 단위 설정
차트의 1구간 단위를 "일/주/월/년/분/틱" 으로 선택하여 조회합니다.
분 또는 틱의 경우 1(분 or 틱), 3, 5,10,15,30,60 을 선택하게 캔들봉 차트 설정 되는데 이 숫자는 분 또는 틱을 1개~60개까지 모아서 하나의 구간으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봉(캔들)차트
일본식 차트라고도 하며 위아래 꼬리모양으로 인해 캔들차트로 불리며 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캔들의 몸통은 시가와 종가로 구성되며, 캔들의 꼬리는 고가와 저가로 구성됩니다. 금일 종가가 시가보다 상승시에는 적색으로, 하락시에는 청색으로 캔들의 몸통 색상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바차트
미국식 차트라고도 하며 바차트 중에 시가, 고가, 저가 그리고 종가로만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바에 최고와 최저는 봉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의미하며, 시가는 바의 좌측의 잔가지로, 종가는 바의 우측에 잔가지로 표현하게 됩니다. 기본 설정으로 가격 상승 시에는 적색으로, 가격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바를 표현하였습니다.
매물분석(대기매물)
가격대별 거래량의 비율을 가격대에 바형식으로 구현한 차트로 매물대 분석시에 사용됩니다. 매물대 분석 차트는 매물 가격대 개수라는 변수가 있는데, 이 변수는 가격대를 변수의 수치로 나누어 매물바의 개수를 만들어주는 변수입니다. 누적 거래량 차트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누적 거래량이 많은 가격대가 매물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매물대 위에 있으면, 매물대는 지지구간의 역할을 하고, 매물대 밑에 있으면 매물대는 저항구간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누적 거래량이 적은 구간에서는 주가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그물차트
그물차트란 이동 평균선을 짧은 것부터 긴 것을 순차적으로 한 그림에 나열한 것입니다. 이러한 그물차트는 단순하게 정해진 이평선의 고정된 움직임 보다는 이동평균선의 확장과 수렴 등을 역동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현재의 시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정한 개수의 이동평균선들의 간격이 벌어졌다가 좁혀지기 시작하면 추세전환신호로 해석합니다.(바닥권에서는 매수신호로 천정권에서는 매도신호가 됩니다.) 또한 이동평균선 밀집국면에서 이동평균선의 간격이 벌어지기 시작하면 역시 전환신호로 매수신호로 해석합니다.
역시계곡선
역시계곡선은 가격과 거래량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가격 차트로, X축에는 거래량 Y축에는 주가를 두고, 변수(이동평균)의 수치만큼의 일수로 주가 및 거래량을 평균하여 이를 차트에 표시한 것으로 진행방향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하여, 역시계곡선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변수는 이동평균선 수치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보통 20일 또는 25일 평균선이 사용됩니다.
P&F
P&F차트는 시간의 개념을 약간은 벗어난 차트로, 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중심으로 하여 추세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차트 입니다. 기준 가격 이상 상승 시에는 붉은 색으로 X를 표시하며, 기준 가격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O를 표시합니다. 이 때 시간의 개념은 제외되며, X에서 O간에 전환 시에만 한 칸 이동하게 됩니다. P&F차트에서의 변수로는 “칸전환”과 “칸크기” 변수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P&F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삼선전환도
삼선전환도는 P&F와 비슷한 개념으로, 칸 전환 변수 이상의 주가 변동이 발생시, 청색 또는 적색 전환차트에서 변경됩니다. 주가 상승 시에는 붉은색으로,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표현합니다. 변수는 칸 전환 변수로 변경합니다.
SwingChart
Swing차트는 최소반전폭을 설정한 후 이전 가격으로부터 최소반전폭 이상 움직였을 경우에만 차트를 그려줍니다. 이전보다 상승시 빨간색, 하락시 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만약 전일 종가가 1000원이고 당일 종가가 1110원이고 최소반전폭이 100일 경우 빨간선을 하나 그려준다. 만약 890원일 경우는 파란 선을 그려줍니다.
KagiChart
Kagi차트는 Swing차트와 마찬가지로 최소반전폭을 설정한 후 이전 가격으로부터 최소반전폭 이상 움직였을 경우에만 차트를 그려줍니다. 이전보다 상승시 빨간색, 하락시 파란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차이점은 이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였을 때는 굵은선으로 표시하고 이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였을 때는 가는 선으로 표시합니다. 또한 해당 라인의 고가와 저가중간에 수평선을 그어 지지/저항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RenkoChart
Renko차트는 항상 종가를 기준으로 사용하며 벽돌의 크기는 사용자에 맞게 최소변화폭을 설정하고 전일 벽돌의 고가와 저가를 당일 종가와 비교하여 당일 종가가 전일 벽돌 고가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빨간벽돌을, 당일 종가가 전일 벽돌 저가 이하로 하락했을 때 하얀 벽돌을 그려줍니다. 이 때 가격이 벽돌의 하나 크기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나 두개의 크기를 채워주지 못할 때는 하나만 그린다는 점에서 P&F차트와 차이가 납니다.
분산형
분산형차트를 그리는 방법은 X축에 거래량을 표시하고 Y축에 가격을 표시한 후 매일매일의 거래량과 주가에 해당하는 값을 차트에 점으로 찍어줍니다. 해당 일에 주가가 양봉을 형성하면(종가>시가) 빨간색, 음봉을 형성하면(종가<시가)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이퀴볼륨
이퀴볼륨 차트는 일반 캔들에 거래량을 합한 개념으로, 봉의 좌우 폭을 해당봉의 거래량이 전체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해당 봉에서 거래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폭은 커지게 됩니다. 설정부분은 캔들차트처럼 가격상승 시/하락시 색과 영역 채우기가 있습니다.
차트영역
차트영역에서 여러 기능을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 왼쪽과 오른쪽 마우스버튼 클릭으로 기능화면을 띄우는 방법을 많이 쓰며 각 화면별로 설정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석기법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봉차트에 직접 왼쪽 마우스버튼을 더블 클릭하거나 오른쪽 마우스버튼을 클릭후 ‘봉차트속성’ 메뉴를 선택하여 띄우면 기본차트 속성변경 창이 나타납니다.
각종 차트의 색상 및 기본사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차트영역 하단 거래량 봉차트 영역을 더블 클릭하면 거래량 지표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봉차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버튼을 클릭하면 지표 관련 설명창 에서 개념 및 계산방식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트스타일] 탭
교보증권 에서 제공해 드리는 3가지 차트 타입 외에 12개 증권사별로 적용되고 있는 차트스타일을 사용자가 고를 수 있어 어떤 HTS를 쓰셨더라도 쉽게 ‘PROVEST K’에 적응이 가능하도록 고객편의를 최대화하였습니다.
기본기능인 차트 색상변경부터 거래량 이미지 변경 등 다양한 변신이 가능합니다.
[정보표시] 탭
차트에서 보여지는 데이터에서 기본적인 종목명, 시간구분선, 현재가, 시고저가, 여백처리 등의 색상을 편집할 수 있으며 특히 차트영역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킬 때 + 십자선이 항상 나오게도 할 수 있고 클릭했을 때만 나오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캔들봉 차트 설정
오늘은 키움증권 영웅문 차트설정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속이빈 차트만들기
2. 차트캔들과 같은 거래량캔들 만들기 (차트가 양봉이면 거래량도 양봉, 차트가 캔들봉 차트 설정 음봉이면 거래량도 음봉)
차트 캔들 더블클릭
우선 차트부터 바꿔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설정은 위와같이 양봉과 음봉의 속이 꽉 차 있습니다. 그래서 종종 캔들 뒤에 캔들봉 차트 설정 가려진 이동평균선이 보이지 않을 때 가 있는데요. 이것이 불편한 분들은 속이빈 차트 를 만들 수 있습니다. 캔들을 더블클릭 하면 메뉴가 나옵니다.
차트 영역 채우기 해제
가격차트 설정 메뉴에서 영역 채우기 에 체크가 되어 있는데, 이것을 체크 해제 하시면 속이 빈 차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속이 빈 차트
그러면 이렇게 캔들 뒤편에 이동평균선이 보입니다. 엄청쉽죠? 이렇게 속이 빈차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다음은 차트가 양봉일 때 거래량 캔들도 양봉으로, 차트가 음봉일 때 거래량 캔들도 음봉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차트
위 차트는 기본적인 차트 입니다. 표시한 것과 같이 차트캔들이 음봉 이고, 거래량 캔들이 양봉 이죠. 차트캔들은 전날 보다 하락하면 음봉으로 형성되며, 거래량 캔들은 전날보다 거래량이 적으면 오늘 캔들이 음봉으로 형성이 됩니다. 하지만, 차트와 거래량 캔들을 똑같이(같은색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래량캔들 변경
거래량캔들을 더블클릭 하면 "지표설정" 메뉴가 나옵니다.
라인설정 비교기준 가격차트로 변경
지표설정 메뉴에서 라인설정 탭으로 들어가면 캔들의 색과 굵기 등을 변경할 수 있는데요. 여기에서 비교기준 에서 "이전값" 으로 되어 있는 값을 "가격차트" 로 변경 합니다.
캔들과 같은 색으로 변경
캔들 색상 채우기 - 캔들 색상 바꾸기 - 차트 캔들 설정 | SOM`s의 주식투자
주식투자를 하면서 차트 내 캔들은 양봉은 빨간색으로 음봉은 파란색으로 고정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너무나도 당연하게 설정이 캔들봉 차트 설정 되어있는 탓에 많은 분들이 그대로 빨간색, 파란색으로 사용하고 계시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차트를 많이 보시는 분들이나 차트에 여러 가지 지표를 표현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빨간색, 파란색이 아닌 다른 색상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는 것을 유튜브나 블로그, 카페 등에 게시된 콘텐츠에서 간혹 찾아보실 수가 있습니다.
또한 키움증권 수식관리자를 통해서 캔들에 캔들봉 차트 설정 색상을 추가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캔들 내의 색상을 비워주셔야 하는데 그런 기능까지 모두 쉽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키움증권 캔들봉 차트 설정 HTS를 기준으로 몇 가지 차트 설정 방법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 설명드릴 기능은 기본적으로 캔들 내에 빨간색, 파란색으로 채워져 있는 캔들을 비워보는 것과 캔들의 색상을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이 두 가지 기능은 기본적으로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기능이지만 필자가 수식관리자를 통해서 캔들 내부에 색상을 채우는 방법을 설명드리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작성해서 전달드려야 하는 포스팅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읽어보시면서 체크해보시고 혹여 모르셨던 분들은 이번 기회를 통해서 캔들 내의 색상을 비우는 방법 색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
캔들 색상 채우기 - 캔들 색상 바꾸기 썸네일
차트 내 캔들 설정 방법
차트 캔들 설정 방법 1)
이 예시 이미지는 차트 내 캔들 설정을 설명드리기 위한 예시 이미지입니다. 조금 헷갈리실 수 있다고 생각되어 필자는 모든 보조지표를 없앤 후 차트를 보여드리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차트 좌측 상단에 있는 종목명을 더블클릭해주시면 차트 위에 가격 차트 설정이라는 메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가격 차트 설정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차트를 선택하실 수가 있는데 그중에서 다른 차트가 아니라 우리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봉 차트의 색상을 변경해볼 것입니다. 그럼 먼저 위 예시 이미지에서 보여드린 것과 같이 캔들 내부에 색상을 비우는 캔들봉 차트 설정 방법부터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위 예시 이미지는 가격 차트 설정 예시 메뉴입니다. 해당 메뉴에서 기본적으로는 영역 채우기에 모두 체크 박스가 되어 있으실 것입니다. 이때 이 체크 박스를 체크 해제해주시면 캔들 내부에 채워진 색상을 없앨 수가 있습니다. 이 기능은 필자가 앞에서 말씀드렸던 수식관리자 기능을 이용해서 캔들 내부에 다른 색상을 채우기 위한 기본 준비 작업이기 때문에 만약 수식관리자를 통해서 캔들 색상 채우는 함수 설정 방법을 공부하실 분들은 해당 기능을 먼저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영역 채우기 기능을 통해서 캔들 내에 색상이 채워지는 것을 없애는 방법을 공부하셨다면 그다음으로 설정해볼 수 있는 기능은 색상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필자는 우리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들을 통해서 공부를 하고 매매를 해왔기 때문에 양봉은 당연히 빨간색, 음봉은 당연히 파란색으로 인지를 하고 매매를 하고 공부를 했다고 설명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전업 트레이더 분들이나 차트 꾸미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들을 보면 본인이 보기 편한 색상으로 바꿔서 설정하시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필자는 예시를 들기 위해서 우측 예시 이미지와 같이 색상을 변경했고 이렇게 변경한 색상을 확인 버튼을 눌러서 적용해서 예시 이미지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차트 캔들 설정 방법 4)
위 예시 이미지는 필자가 색상을 변경해서 표현한 차트 예시 이미지입니다. 상승하는 양봉 캔들에는 빨간색이 아니라 녹색 캔들로 표현되게 해 두었으며 반대로 하락하는 음봉 캔들은 진한 파란색이 아니라 하늘색이 표현될 수 있도록 설정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이런 색상이 어색하실 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색상이 아니라 본인이 좋아하는 색상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편하실 수도 있으니 '이런 기능도 있구나.' 정도로 이해하시고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캔들의 색상을 변경하는 방법을 예시 이미지와 함께 간단하게 소개해드렸는데 이 글은 필자가 수식관리자의 기능과 함수를 이용해서 캔들 내 색상을 채우는 방법을 설명드리기 전 설정을 어려워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작성한 글입니다. 수식관리자 카테고리를 통해서 캔들에 색상을 채우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차트분석 시 가장 기본이 되는 캔들차트,일명 봉차트는 보는 법입니다.일정시간 동안의 시세를 봉으로 시각화하여 이를 나열한것이 봉차트로,이를 보고 현 시장 움직이과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습니다.
봉차트는 양봉과 음봉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양봉은 붉은색 음봉은 파란색으로 나타내나 이는 차트를 제공하는곳 마다 차이가 존재합니다.그럼 저는 양봉(붉은색) 음봉(파란색)으로 정하고 시작합니다.
(1) 양봉,음봉
양봉은 붉은색으로 시세가 오를때 봉이며,음봉은 시세가 떨어질때 봉입니다.위 이미지를 보시면 차트위에 꼬리가 나올때고 있고 없을때도 있습니다.캔들봉 차트 설정 이 꼬리는 정해진 해당시간 최고가와 최저가를 의미하며,해당시간에 시작가격보다 높게 시작하거나 낮게 시작하면 꼬리가 생깁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이건 공식이 아니고 자연스럽게 그럴수 밖에 없으며,캔들봉 차트 설정 이는 비트파이넥스 혹은 비트맥스 차트를 보시고 곰곰히 생각하시면 너무나도 당연한 말입니다.이때 해당시간은 1분봉,5분봉,10분봉~1시간,1일 등 봉 한개등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5분봉으로 양봉이라 치면,그 기간 5분 동안은 시세가 올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음봉은 반대로 내린거죠.
왼쪽 양봉을 보시면 위 아래로 꼬리가 있습니다.이는 5분봉 시간 동안 시세 움직임의 흔적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최대 어디까지 내렸으며,최대 어디까지 올랐다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2) 시가,종가
좌측이 음봉이고 우측이 양봉입니다.
양봉은 시세가 오르는봉으로 이때 종가(종료가격),시가(시작가격)이란 단어를 씁니다.5분단위 봉이라고 생각하면 새로운 5분단위 봉이 만들어지는 시간의 가격이 시가(시작가격)이고 5분이 끝나고 새로운 봉으로 넘어가지 마지막 종요가격이 종가(종료가격)라 합니다.
시세가 올랐기 때문에 당연시 시작한 가격보다 종료하는 가격이 높아야 정상이죠? 캔들의 하단이 캔들봉 차트 설정 시가가 되는거고 캔들 하단이 종가가 되는것입니다.
캔들 위아래로 붙은 꼬랑지는? 그렇습니다.5분동안 시세 움직임의 흔적이라고 볼수있습니다.꼬랑지 가장 상단을 고가라 하고 꼬랑지 가장 하단을 저가라 하며,5분동안 시세 움직임 중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을 표시간 것입니다.
음봉을 보시면 시세가 떨어지는 봉이 음봉이나.단연 시작보다 마무리하는 종가(종료가격)이 낮아야 정상이죠.양봉의 반대로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어 중요하지 않습니다.이건 차트보시면서 상식수준으로 이해하실 수 있는 부분이나 우선 쭉 읽어보시고 천천히 차트보시고 고개 캔들봉 차트 설정 캔들봉 차트 설정 끄덕이시면 됩니다.
(3) 캔들 응용
아래 캔들은 이전 캔들과 다르게 꼬리가 없습니다.이 또한 쉽게 이해하시면 됩니다.양봉일 경우 종료하는 가격이 최고점이면 꼬리가 생기지 않겠죠? 반대로 음봉이면 마무리하는 가격이 최저점이라면 꼬리가 생기지 않습니다.
다음 꼬리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해당 기간 동안 위아래 흔적이 없죠.이런 경우는 5분 동안 계속 시세가 상승하는 양봉으로,이런 양봉이 여러개 모이면 이를 양대장봉때라 하면 계속적으로 시세가 상승하는 차트가 됩니다.반대로 음봉이 꼬리 없이 여러개 캔들봉 차트 설정 이어지면 계속적으로 세사가 하락하는 차트의 모습입니다.
(4) 망치형 캔들
지금까지 양봉,음봉에 기본에 알아보았다면 응용입니다.
위 양봉은 어떤걸 의미할까요? 일명 망치형 캔들오.저가에 매수하여 시세를 끌어올리는 매수세 유입을 뜻합니다.지금 시세는 위쪽에 있지만.아래로 내린 꼬리를 보니.이전에 흔적으로 아래 시세가 존재하였다고 지금을 끌어올린걸 알수있습니다.
(5) 역망치형 캔들
흔적은 위꼬리가 있는걸로 봐서 시세에 위에 달렸다가 아래로 끌어내린 모습으로 매도세 유입으로 고가에서 매수하여 가격을 내린것을 의미합니다.
캔들봉 차트 설정
봉차트, 캔들차트 보는 법
지난 시간에 차트분석에 대해 간단한 용어 정리와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하나하나 요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캔들(봉) 차트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차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제일 먼저 친숙해져야 할 것이 바로 캔들입니다. 상승을 의미하는 양봉(일반적으로 붉은색 캔들)과 하락을 의미하는 음봉(파란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형태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다들 예상하신 대로 양봉은 시세가 오를 때의 봉을 표현한 것입니다. 반대로 시세가 내려갈 때는 음봉으로 표현하겠죠. 그리고 봉 위아래로 나와 있는 꼬리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꼬리가 잘라진 경우도 있는데요. 길게 뻗은 꼬리는 일정 시간 안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의미합니다.
조금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1시간 봉을 선택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봉 자체는 시가와 종가를 말해 줍니다. 양봉일 경우 아래가 시가, 위쪽이 종가가 되겠죠. 1시간 안에 꾸준히 오르기만 했다면 꼬리는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시가 아래로 내려갈 수도 있으며, 종가 위로 올라갈 수 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시가의 최고, 최저 변동폭을 꼬리가 표현해 주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왜 꼬리의 형태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많이 들지만 보다 보면 당연히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만약 꼬리가 없는 양봉의 형태라면, 하락 없는 계속적인 상승의 형태로 보면 될 것입니다.
2. 시가 vs 종가
그럼 시가와 종가에 대해 추가로 알아볼게요. 1시간 봉을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시간을 시작하는 순간의 가격을 시가라 하고, 1시간이 끝나는 시점의 가격을 종가라고 말합니다. 당연히 양봉은 종가가 시가보다 높으며, 음봉은 시가가 종가보다 높습니다. 처음에는 헷갈리지만 캔들 색상의 의미만 정확히 알고 계시다면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시가와 종가 위아래로 붙은 선을 흔히 꼬리라고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꼬리는 해당 시간 안에 시세가 변동한 최고, 최저 위치를 보여주죠. 시가, 종가와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쓰입니다. 차트를 처음 보시는 분에게는 생소하지만, 한 두 번 보다 보면 굉장히 친숙해질 테니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위의 그림은 다양한 캔들의 형태입니다. 꼬리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 부분도 쉽습니다. 꼬리가 없는 양봉이라면, 캔들봉 차트 설정 그 시간대에 최고점이 종가인 것입니다. 반대로 음봉의 밑에 꼬리가 없다면, 최저점과 종가가 같다는 의미겠죠. 위아래로 꼬리가 없는 양봉이라면, 최저가에 시작하여 최고가에 종료된 강한 상승세를 의미합니다.
4. 망치형 캔들
위 그림은 망치를 닮은 캔들입니다. 어떤 의미일까요? 종가는 최고점을 보여주지만, 얼마 전까지는 아랫부분에 시세가 형성되었던 것을 보여주는 형태입니다.
반대로 역망치형 캔들입니다. 종가가 형성되기 전에 그 위로 시세가 형성되었던 것을 보여줍니다. 봉과 꼬리의 형태를 정확히 이해한다면 시장의 움직임과 흐름을 예측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겠죠?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