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간 합의: 해당 물건을 화폐라고 정의하는 의견 일치가 있어야 한다. 농부가 소를 별보배고둥 조개껍질과 교환하는 조건은, 같은 별보배고둥 조개껍질을 가지고 곡물을 살 수 있는 경우에만 거래를 할 것이다.
4대 거래소 중 한 곳인 업비트는 지난 9월 모네로, 대시, 지캐시, 헤이븐, 비트튜브, 피벡스 등 다크코인 6종을 상장폐지했습니다. 오케이이엑스코리아도 모네로, 대시 등 5종의 거래지원을 종료했습니다.
코빗은 기존에 상장됐던 다크코인에 대한 거래 종료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빗썸은 메인코인과 분리해 일반코인과 투자유의코인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Q. 다크코인이 왜 문제인가요?
A. 다크코인은 거래의 익명성을 보장하고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암호화폐입니다. 기존 암호화폐들이 거래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공개하는 것과 달리, 암호화 기술을 통해 거래내역에 관한 정보 자체를 드러내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점 때문에 마약거래나 자금세탁, 테러자금 등 범죄행위에 사용될 우려가 제기되는 것이고요.
Q. 갑자기 왜 거래소에서 다크코인의 거래 중지나 상장폐지를 검토하게 된거죠?
A. 지난 6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발표한 암호화폐 규제 권고안을 보면, 거래소와 같은 가상자산 취급업소(VASP)들은 '여행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항목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에 필요한 수신자와 발신자 정보를 수집·보유하고, 정부당국이 요청할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규정입니다. 익명성이 특징인 다크코인은 이같은 정보 수집이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국내 거래소에서는 암호화폐 송금시 송·수취인 및 기관의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규칙을 맞추기 위해 익명성이 보장된 다크코인 상폐 절차를 밟고 있는 것입니다.
Q. FATF 권고안은 무조건 따라야 하는 건가요?
A. FATF 권고안이 강제성을 지닌 것은 아니지만, 평가 결과가 국제신용등급에 반영되기 때문에 사실상 가이드라인을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일부 다크코인이 FATF의 자금세탁방지(AML) 규정을 준수하는 데 문제가 없음을 피력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최근 지캐시는 'FATF 권고안을 준수하는 법'이라는 글을 공개했는데 여기에는 고객주의의무(CDD), 트랜잭션 모니터링, 문서보존, 의심거래 포착, 트래블 룰 등 규정을 모두 준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Q. 다크코인을 거래소에서 제외하는 것과 관련해 반대 여론도 있나요?
A. 블록체인에 기반한 암호화폐는 애초에 익명성이나 개인정보보호 가치를 중시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술적으로 해킹이 어려운 보안성을 갖추고 있기도 하고요. 이 때문에 다크코인을 통한 불법거래도 이들 암호화폐를 금지하기보다 다른 기술적 보완을 통해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또 다크코인 금지가 그다지 실효성 있는 조치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오죠.
Q. 해외 거래소 분위기는 어떤가요?
A. 우리나라와 달리 해외에서는 아직 다크코인 거래를 지원하는 모습입니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지난 9월 대시를 상장했습니다. 사용자 등록 절차를 밟는 형식으로 익명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바이낸스는 대출 서비스에 모네로, 제트캐시, 대시 등 다크코인 3종을 추가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FATF 가이드라인을 따르더라도 각국의 상황과 세부법령이 다를 수 있어 이 부분에서 다크코인의 운명이 갈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2019-02-11 월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10:07
추천 [ 0 ]
체인파트너스가 5개월여 간의 시범운영 기간을 마치고 디지털자산 OTC(Over-The-Counter, 장외거래) 서비스를 정식 출시함을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라 11일, OTC 웹사이트가 오픈되었다.
국내외 법인이나 기관투자자, 고액자산가 등 전문투자자는 체인파트너스를 통해 최소 5천만원 이상의 디지털자산(암호화폐)을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처분할 수 있다. 체인파트너스가 지급 보증을 서는 디지털자산 보관대행 서비스도 제공한다.
세계적으로 암호화폐의 장외거래와 자산운용이 큰 흐름을 만들어 실시를 시작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세계의 트렌드를 반영한 서비스가 시작되는 것이다.
가입을 위해서는 은행 계좌 개설보다 많은 10여종의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본인확인과 자금 세탁 방지를 위해 철저히 기록을 남긴다. 결제는 대한민국 원화(KRW)와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이오스(EOS) 등 디지털자산, 그리고 미 달러(USD), 홍콩 달러(HKD) 등 다양한 법정화폐를 이용할 수 있다.
체인파트너스는 디지털자산 산업이 해외의 경우 개인보다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2017년 회사 설립과 동시에 디지털자산 장외거래 서비스를 준비해왔다.
참고 사례가 없는 서비스라 법률검토와 거래 절차 마련, 서류 준비, 유동성 확보를 위한 글로벌 OTC 업체들과의 제휴를 거쳐 작년 8월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지난 1월까지 5개월간의 시범운영 기간 동안 체인파트너스 OTC는 국내에서만 160억 원의 거래를 성사시키며 착실히 노하우를 쌓았다.
또한 합법적인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디지털자산 취급을 위해 국내기업으로는 최초로 지난해 11월 유럽연합(EU) 가입국 몰타 정부로부터 최상위 디지털 자산 취급 라이센스인 ‘클래스4’를 취득했다. 몰타 의회는 작년 8월 세계 최초로 가상금융자산법(VFA - Virtual Financial Act)을 통과시켜 관련 사업을 합법화한 바 있다.
양성화된 디지털자산 장외거래의 불모지와 같던 한국에서 체인파트너스 OTC는 그 실력을 인정받아 시범운영 기간 중 글로벌 7대 대형 디지털자산 장외거래 업체와 거래를 개시했다. 그 중에는 글로벌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Goldman Sachs)가 투자한 미국 서클(Circle)도 포함된다. 서클은 지난해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240억 달러(약 36조 원)의 디지털자산 장외거래를 중개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체인파트너스 OTC는 서클 외에도 미국 컴벌랜드(Cumberland),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홍콩 OSL, 키네틱(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Kenetic), FBG, 싱가포르 QCP 등 세계적인 OTC 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는 구할 수 없던 가장 경쟁력 있는 가격을 수배해 고객에게 제공한다. 또한 국내에 아직 유통되지 않는 디지털자산을 확보해 국내 투자자들의 선택지를 넓혔다.
또한 체인파트너스는 거래 양성화를 위해 전통 금융권 수준으로 규제를 준수한다. 거래 양 상대방에 대한 모든 기록을 남기는 적법한 거래만 한다는 목표로 고객알기제도(KYC) 및 자금세탁방지법(AML) 확인 절차도 제도권 금융 수준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KYC/AML 전문 업체인 아르고스(Argos)와의 제휴도 마쳤다. 또한 기관 대상 세일즈, 정산 경험이 있는 전통 금융권 전문가 출신으로만 팀을 구성해 기관 고객들의 신뢰를 높였다.
국내외 로펌과 협력해 업계 최초로 은행권 가입서류 수준으로 10여 종의 가입 서류를 자체 개발한 것도 특징이다. NH투자증권 외환, 상품 트레이더 출신인 체인파트너스 OTC 이혁재 파트장은 “매도자와 매수자 보호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증거가 남는 깨끗한 거래를 해야한다”며 “디지털자산 장외거래 시장을 양성화하려는 체인파트너스의 의지”라고 설명했다.
체인파트너스 표철민 대표는 “지난 수년간 자금 세탁이나 탈세의 온상이던 디지털자산 장외거래를 양성화해 건전한 디지털자산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체인파트너스의 목표”라며 “해외에서처럼 언젠가 국내에서도 기관이 디지털자산을 취급하게 될 때 관련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닦아놓은 회사가 될 것"이라 밝혔다.
한편 장외거래는 거래소에서 형성된 시장가격이 아닌 매도자와 매수자가 협상한 가격에 따라 거래가 체결된다. 실시간으로 가격이 바뀌고 거래 물량에 따른 유동성 리스크가 있는 거래소와는 달리 장외거래는 지정된 가격으로 대량 매매가 가능하다. 주로 거액을 거래하는 기관이나 고액자산가가 선호한다.
체인파트너스 리서치센터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신뢰할 수 있는 OTC 기업의 판단 기준으로 KYC 및 AML을 엄격히 요구하는지, 지급보증과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수탁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장외거래(OTC) 업무 경험이 있는 금융권 출신 전문가가 있는지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장외거래 규모가 현재 전체 디지털자산 거래의 약 25%, 월 400억 달러(약 44조 원)에 이른다고 추산하기도 했다.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엔티온 발행사인 (주)크립토라이즌은 스마트폰 제품인 넥스트기어(NextGear)를 개발해 시판 중이다. 넥스트기어는 미국 육군 극한 실험(MIL-STD-810G) 기준을 통과한 아웃도어(Outdoor) 전용 러기드폰으로, 현재 3만여 명이 사용 중이다.
엔티온 코인은 이러한 넥스트기어를 세계적으로 조속히 확산해 나갈 목적으로 개발된 코인이다. 넥스트기어에 내장돼 있는 전용 넥스트플레이 앱(Next Play App)을 통해 채굴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넥스트플레이는 멀티코인 월렛을 기반으로 엔티온의 채굴과 스테이킹 등 다양한 서비스와 자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다.
채굴하는 블록체인 마이닝 앱과 코인 지갑이 결합된다는 장점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엔티온 코인의 채굴, 엔티온 코인의 스테이킹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출시 이후 15,000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엔티온 코인은 크립토라이즌이 제공할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보상으로 받은 후 IoT이용에 수반되는 기기 구매 및 각종 비용을 지불하는데 현금처럼 사용 가능하다.
기업 측은 "넥스트기어 판매 대금의 일정액을 유저 복지기금으로 조성해 엔티온을 시장에서 지속 매수 및 소각해나갈 계획이다. 이는 코인베네가 엔티온 코인을 상장하기로 결정한 핵심적 이유로 꼽힌다"라고 전했다.
코인베네는 C2C(Customer-to-Customer) 및 OTC(장외거래), 선물거래, 가격방어시스템, 유동성관리, IEO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기업 측은 "이 중 IEO프로그램인 문베이스는 바이낸스의 런치패드와 동등 수준의 코인 육성 및 관리 프로젝트로 빗썸에 상장된 젠서(XSR)와 업비트에 상장된 ‘GOM2(고머니2)’가 바로 코인베네 문베이스의 힘으로 상장한 대표적인 사례다"라고 말했다.
돈은 정신에서 비롯된다: 크립토가 미래일까?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멈춰진 현재 시기는, ‘성찰’, ‘발전’ 그리고 위기가 지난 후의 날들을 ‘계획’해야 할 시간이다.
이를 염두에 두고, 한번 비트코인과 암호화폐의 펀더멘탈을 더 자세하게 살펴보자. ‘기술’, ‘효용’ 그리고 ‘대중화’ 측면에서가 아닌, ‘돈’의 진화와 역사의 맥락에서 살펴보겠다.
‘돈’의 시초는 다양한 장소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여러번 만들어지면서 시작했는데, 이는 획기적인 기술발전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신적인 혁명”을 비롯해서 시작했다. ‘돈’은 그저 우리 스크린에 보이는 숫자나, 지갑에 있는 현찰, 주머니에 있는 동전이 아니다. 이는 주관적인 현실이며, 우리의 공용된 상상에서 존재한다.
고대시대부터 현대시대까지, 그 어떤 물건일지라도, ‘가치의 상징물’ 지정하고, 서로 해당 물건을 사용하기로 합의만 하면 ‘돈’이 될 수 있었다. ‘돈’의 형태와 그 가치는 지난 수 백 년간 수차례 바뀌었고, 이런 관점에서 암호화폐는 그저 이런 돈의 진화 과정에서의 가장 최신 단계일 뿐이다.
돈이 존재하기 이전에는 ‘물물교환(bartering)’이 있었다.
가장 최초의 ‘물물교환’사례는 9000 BC 이집트에서 기록됐었는데, 당시 농부들과 상인들은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시장에서 만나 서로 물물교환을 했었다. 예를 들어, 소는 빵이랑, 곡물은 기름이랑, 그리고 옷은 양이랑 교환했었다. 이는 얼핏 아주 간단한 작업처럼 들릴지 몰라도, 옷 상인들은 식량을 매일 필요하지만, 농부는 새로운 옷을 매일 필요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 어떤 물건을 이 시스템에 통과시키는 작업은 복잡하다.
이 불균형 때문에 ‘돈’에 대한 수요가 생겨났다. 통제된 거래 시스템은, 어떤 물건의 가치를 측정할 때와, 거래를 돕는 교환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별보배고둥 조개껍질은 최초로 널리 사용된 화폐 중에 하나였고, 다른 지역에는 다른 “화폐”들이 ‘곡물’, ‘옷’ 그리고 ‘사슴 가죽(buckskin)’등의 형태로 종종 등장했었다 – 이는 미국에서 “달러”를 “bucks(벅스)”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화폐들을 모두 외형적으로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다르지만, 모두 3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
커뮤니티 간 합의: 해당 물건을 화폐라고 정의하는 의견 일치가 있어야 한다. 농부가 소를 별보배고둥 조개껍질과 교환하는 조건은, 같은 별보배고둥 조개껍질을 가지고 곡물을 살 수 있는 경우에만 거래를 할 것이다.
이는 한때 작용 했었지만, 돈을 더 구할 수 있는 측면에 있어 문제가 발생했다. 곡물이 돈으로 쓰인 경우, 돈이 떨어지면 그냥 농사를 해 돈을 더 만들 수 있었다. 별보배고둥 조개껍질이 돈으로 쓰인 경우, 빈털털이 상인들은 그저 바다에 가서 조개껍질을 주우면 됐었다. 그러나 이 중 많은 경우, 위에서 얘기한 첫 번째 조건을 어겼다: 커뮤니티 간 서로 어떤 물건을 돈으로 활용할지 합의를 할 수 없었다.
귀금속과 코인
코인(동전)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들은 600 BC 고대 그리스의 리디언(Lydians)들이였다. 코인을 ‘호박금(electrum)’으로 만들었는데 – 호박금은 금과 은의 합금으로 – 무게 측정을 통해 민트(발행)되기 때문에, 주로 갯수를 세지 않고 대신 무게를 쟀었다. 별보배고둥 조개껍질이나, 사슴 가죽과는 달리, 사람들은 그저 단순히 호박금을 더 찾아, 코인 형태로 변형한 뒤, 왕실 승인 마크를 낙인하는 작업을 할 수 없었다. 오늘날에도, 금을 채굴하는 작업은 일반 사람이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니다.
앞서 얘기한 돈의 3가지 조건들을 충족한 ‘코인’은, 통치자들의 법령을 통해 사회적으로 받아 들여지게 됐고, 금 코인들은 세월이 지나도 증발하거나 녹슬지 않았으며, 귀금속은 균일성 특성까지 갖춰, 제련을 통해 더 크거나 작은 금 조각을 만드는 작업도 가능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조각의 총 무게였다.
번창하던 문명들이 흥하다가 이울자, 그들의 화폐도 덩달아 이울었다. 그러나 수백년 동안, 귀금속은 코인을 민트하기 위해 사용됐었다. 그저 코인에 찍힌 왕실의 얼굴과 유통만 바뀔 뿐이었다.
코인에서 은행지폐로 진화한 돈
코인은 돈과 관련해 많은 문제들을 해결했지만, 결점들도 가지고 있었다. 코인은 무겁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해당 귀금속을 얼마나 많이 구할 수 있는지에 따라 유통이 제한됐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돈에 대한 수요가 깨어났고, 이는 중국에서 만들어졌다.
종이 화폐는 100BC 중국에서 개발됐었다. 코인을 큰 가방에 들고 다닐 필요없이, 사람들은 그저 단순히 개인 자금를 은행에 맡기면, 은행에서는 해당 펀드에 대한 소유권과 가치를 입증해주는 서명된 쪽지(note)를 돌려주었다. 이 ‘은행노트(banknotes)’들은 신뢰 시스템을 구축했다 – 사람들이 은행노트를 교환한 이유는, 언제든지 그 은행쪽지를, 실제로 만질 수 있는 재산(금 코인)이랑 교환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은행노트’가 돈을 상징할 수 있는 아이디어는 빠르게 전세계로 확산했고, 곧 머지않아 유럽은행들은 종이화폐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금 대신 은행노트를 사용하기 시작해자, 은행들은 보유한 금보다 더 많은 종이화폐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모든 사람들이 한꺼번에 은행을 찾아가 금이랑 교환할 것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는 통화 공급량이 확대한 최초 사례였으며, 우리가 오늘날 돈과 종이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금본위제 폐지
1930년대까지만 해도, 모든 달러 종이화폐를 $0.40 달러 가치의 금이랑 교환할 수 있었다. 이처럼 관대했던 금과 종이화폐 교환률 수준은, 미국정부가 모든 사람들이 같은 날에 은행을 찾아가 종이지폐를 금이랑 교환할 것이라 믿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공황(Great Depression)”으로 인해 모든 것이 달라졌다.
경제부양이 필요했지만, 금의 한정된 공급량 때문에 미국 정부는 화폐를 더 찍어낼 수 없었다. 때문에, 1933년에 미국 대통령은 경제 붕괴를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막기 위해 금 소유를 불법으로 지정하고, 사람들이 종이화폐를 대가로 금을 연준에게 납부하도록 만들었다. 1971년, 닉슨 대통령은 공식적으로 미국 달러의 금본위제 폐지를 선언했었다. 개인들이 금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는 1977년이 되서야 다시 합법됐다.
오늘날, 종이화폐는 ‘금’과 다른 귀금속으로부터 이탈했다. 심지어, 지금 당신 지갑에 있는 지폐를 꺼내, 만약 당신이 가진 20달러 지폐를 자세히 살펴보면, “the bank promises to pay the bearer on demand at its office 20 dollars(은행은 소지한 자가 요구할 시 사무실에서 20달러를 지불할 수 있도록 약속한다)”이란 문구가 쓰여져 있을 것이다. ‘금’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고, 당신이 은행을 찾아갔을 때 종이지폐를 20달러 가치의 금이랑 교환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게 좋다. 은행에서 종이화폐랑 교환할 수 있는 것은, 그저 ‘디지털 돈’이다. “Sapiens(사피엔스)”라는 책에서, 저자 “Yuval Noah Harari(유발 노아 하라리)”에 따르면, 90%의 모든 통화가 – 즉, 우리 계좌의 $50조 달러 이상 금액은 – 오직 컴퓨터 서버에서만 존재한다고 한다.
디지털 화폐는 은행계좌에에서 보이는 숫자에서 시작해, 플라스틱 카드로 접근 가능한 신용으로, 그리고 이후 휴대기기를 이용해 교환 가능한 e-머니로 진화했다. 그리고, 1930년의 “대공황”때처럼, 2008년 금융위기는 돈의 진화에 있어 또 한번의 큰 진보를 야기했다.
비트코인 등장
2009년 비트코인의 출현을 계기로, 우리는 돈의 역사를 기반으로 하고, 중요한 부분을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돈을 접하게 되었다. 비트코인은 어떤 중앙권력에 의해 발행되거나 통제를 받지 않으며, 코인을 보유한 사람들 사이에서 배분되고 통제된다.
비트코인은 암호화폐 혁명에 시동을 걸었지만, BTC자체는 교환수단이 아니라고 논쟁할 수 있다. 가격은 급등했다, 폭락하고, 다시 극적으로 회복하다가, 다시 하락했기 때문에, 이러한 주기를 아마 가까운 미래에도 계속 반복할 것이다.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BTC가 가치가 있다고 모두 인정하지만, 그 가치가 정확히 어떤 수준인지는 짧은 시간 프레임 사이에 극적으로 변동하고 있다. 이 변동성 덕분에, 이 디지털 자산은 ‘돈’보다는, 희귀한 원자재와 더 유사하다.
그러나 2009년을 시점으로, 암호화폐는 많이 진화했다. 현재 다양한 용도를 위한 수백 개의 코인들이 존재한다. 스테이블 코인들은 지출과 거래 용도를 위해 설계 되었는데, 디지털 세계에 존재하기 때문에, 본 형태의 돈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해 – 점점 더 디지털화 되는 우리 세상에 맞춰, 그리고 진화하는 기술과 함께, 더 많은 효용을 제공할 수 있는 특이한 앱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었다.
고유 거래소 토큰이나 이더리움 생태계의 가스와 같은 다른 코인들은, 디지털 앱의 운영을 가동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스마트 계약들은 오늘날 사용되는 가장 정교한 기술 서비스에 속한다.
‘미래 돈’으로서의 크립토
우리가 이 시점에서 향하고 있는 방향이 어디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금-페그 암호화폐’처럼, 원자재의 토큰화 현상은 흥미로운 발전사항으로, 아마 더 많은 트레이더들이 크립토 공간에 진입하게 만들 것이고, ‘부동산 지분 소유권(partial ownership)-페그 코인들’ 또한, 크립토 공간에서 진행되고 있는 또 한 가지 혁신사항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훗날 특정 시점에서 우리는 크립토 가격을 미국 달러로 책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치 우리가 더 이상 달러를 ‘금 리저브(gold reserves)’와 연관시키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확신을 갖고 말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크립토가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고, 끊임없는 창의성과 기술적 발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크립토는 돈이 가지고 있어야 할 모든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향상된 사항들도 추가해, 우리가 오늘날 사는 디지털 세계에 아주 적합하다.
수백 년 전 돈의 시초와 같이, 크립토도 우리가 능동적으로 형성화 시킬 수 있는 “정신적인 혁명”이다.
암호화폐를 거래할 준비가 되셨나요?
AAX는 세계 최초로 ‘LSEG 테크놀리지’에 의해 가동된 디지털 자산 거래소입니다. 장외거래(OTC), 스팟 거래, 그리고 선물 거래를 제공해, ‘깊은 유동성’과 ‘울트라-저지연 시간(ultra-low latency)’ 트레이딩 환경을 제공합니다; 크립토와 글로벌 금융이 만나는 지점이죠.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FTX 거래소는 선물계약, 레버리지 토큰 및 장외거래(OTC)를 지원하는 가상자산 파생상품 거래소입니다.
FTX는 2019년 홍콩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소재 디지털 자산 트레이딩, 리서치 업체인 "알라메다 리서치(alameda research)"가 출범한 거래소이며 이로 인해서 전세계 전문가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는데요.
FTX거래소에서는 선물, 옵션,무브(MOVE), 현물, 레버리지 토큰 이렇게 5가지 카테고리 상품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FTX 거래소 특징은 낮은 수수료, 최대 101배 레버리지, 전 세계 최초의 인덱스 선물계약, 스테이블 코인 결제/청산할수 있습니다.
FTT는 거래소의 네트워크 효과, 수요/공급 조절 및 사용자 혜택 제공을 위한 인센티브로 사용됩니다.
FTT를 보유한 투자자는 수수료 리베이트(할인) 혜택을 받을수 있으며 FTX 거래소는 FTX 바이낸스 장외거래의 특징 선물계약으로부터 발생한 모든 수수료의 33%, 보험 기금에 대한 10% 순 추가액, 기타 FTX 플랫폼 이용 수수료의 5%를 FTT 토큰을 매입하는데 사용하고 매입후 소각을 진행합니다.
(소각은 매주 월요일 홍콩시간 기준 오후 10시에 매입)
이처럼 FTX거래소의 거래소 토큰인 FTT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격상승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탈중앙화거래소인 세럼(SERUM)을 론칭했습니다. 기존 탈중앙화거래소의 단점인 속도 문제를 해결했고 저렴한 수수료가 강점입니다. 세럼토큰(SRM)은 세럼거래소의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FTX의 창업자인 샘 뱅크먼 프라이드(SBF)가 본인 트위터를 통해 "FTX가 아발란체(AVAX) 선물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습니다. 아발란체는 21일(현지시간) 메인넷을 출시한 바 있으며, 투자자, 프로토콜 기여자 등을 대상으로 AVAX 분배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