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운용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기초연금

집합투자업자는 자산운용보고서를 작성하여 해당 집합투자재산을 보관·관리하는 신탁업자의 확인을 받아 3개월마다 1회 이상 해당 집합투자기구의 투자자에게 발급해야 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8조제1항 본문).

다만, 투자자가 수시로 변동되는 등 투자자의 이익을 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자산운용보고서를 투자자에게 발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8조제1항 단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2조제1항 및 「금융투자업규정」(금융위원회 고시 제2022-15호, 2022. 4. 1. 발령·시행) 제4-66조제1항].

집합투자업자가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를 설정 또는 설립하여 운용하는 경우로서 매월 1회 이상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 또는 환매금지형 집합투자기구의 자산운용보고서를 집합투자업자, 투자매매업자, 투자중개업자 및 협회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공시하는 방법으로 자산운용보고서를 공시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가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를 설정 또는 설립하여 운용하는 경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230조제3항에 따라 그 집합투자증권이 상장된 경우만 해당함)로서 3개월마다 1회 이상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 또는 환매금지형 집합투자기구의 자산운용보고서를 집합투자업자, 투자매매업자, 투자중개업자 및 협회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공시하는 방법으로 자산운용보고서를 공시하는 경우

펀드보유 시 확인해야 할 정보와 유의사항

Q. 펀드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 확인해야 할 정보나 유의사항은 없나요?

A. 펀드가입 이후 자산운용사와 판매회사, 보관·관리회사는 투자자가 가입한 펀드의 수익률 현황, 투자규모 등을 유지·관리하며, 투자자에게 주기적으로 잔고를 통보하고 자산운용보고서를 제공하는 등 다음과 같은 사후관리 업무를 합니다.

1. 수동적 서비스: 투자자 전화 문의 등에 대한 응대, 투자자 보고서 발송(자산운용보고서, 자산보관·관리보고서) 등

2. 적극적 서비스: 펀드 잔고 통보, 자산관리 보고서 발송, 우수(인기)펀드 추천, 투자운용 투자운용 투자자 세미나 개최 등

이 중 자산운용사가 작성하여 판매회사가 송부하는 분기별 자산운용보고서에는 운용성과 개요 및 운용기간 중 손익, 펀드자산내역, 매매금액 및 매매회전율 등의 중요한 투자정보가 담겨 있으니 분기별로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자산보관 및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신탁회사가 작성하여 판매회사가 보내주는 분기별 자산보관·관리보고서는 펀드의 적정 운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자산보관·관리보고서는 펀드매니저 변동사항, 약관변경 사항, 수익자 총회 의결내용, 운용상 위반사항·시정사항 등 펀드의 적정한 운용여부를 분기별로 체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8조를 위반하여 자산운용보고서를 제공하지 않은 자 또는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그 기재사항을 누락하고 작성하여 제공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46조제14호).

투자신탁이나 투자익명조합의 집합투자업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지체 없이 공시해야 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9조제1항,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3조제2항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4-67조).

환매연기 또는 환매재개의 결정 및 그 사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230조에 따른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의 만기를 변경하거나 만기상환을 거부하는 결정 및 그 사유를 포함)

액티브 ETF

액티브 ETF

기초연금

기초연금

든든한 노후를 위한 대책!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든든한 노후를 위한 대책!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연금투자

연금투자

퇴직연금 투자대책 삼성TDF

퇴직연금 투자대책 삼성TDF

작년 펀드로 가장 많이 번 운용사는 '미래에셋'

지난해 펀드 운용으로 가장 많은 돈을 번 운용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었다. 이지스자산운용이 2위, 삼성자산운용은 3위였다. 증시 활황으로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커졌고 대체투자가 활성화되며 펀드 운용 보수 총액은 4년 새 두 배 이상 늘었다.

작년 펀드로 가장 많이 번 운용사는 '미래에셋'

26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산운용사·증권사·은행 등의 펀드 운용 보수 및 펀드 판매수수료 현황’에 따르면, 총 349개 국내 자산운용사의 펀드 운용보수 총액은 2017년 1조4472억원에서 2020년 2조3350억원, 지난해 3조1461억원으로 매년 크게 증가했다. 4년간 증가율이 117%에 달했다.

1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해 펀드 운용 보수로 총 2567억원을 벌어들였다. 2017년 1774억원이었던 수입은 4년 만에 44% 늘었다.

2위인 이지스자산운용의 지난해 운용 보수는 2031억원으로, 4년 만에 241% 증가했다. 3위는 삼성자산운용으로 2017년 994억원에서 지난해 투자운용 투자운용 투자운용 1656억원(증가율 66.6%)까지 늘었다. KB자산운용(1187억원), 한국투자신탁운용(1060억원), 타임폴리오자산운용(941억원), 신한자산운용(759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외국계 자산운용사 중에는 맥쿼리자산운용이 펀드 운용으로 667억원을 벌어들여 유일하게 10위 안에 들었다.

중소형 자산운용사 중에는 4년 새 에이디에프자산운용(28억원→122억원), 수성자산운용(6억원→173억원) 유경PSG자산운용(84억원→173억원), 에셋플러스자산운용(79억원→215억원) 등이 크게 성장했다. 반면 우리자산운용(154억원→154억원), 흥국자산운용(176억원→174억원), 신영자산운용(296억원→181억원) 등은 수입이 비슷하거나 줄었다.

특히 대체투자에 집중한 자산운용사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202억원→488억원), 메리츠대체투자운용(24억원→87억원) 등의 펀드 보수 수입이 크게 늘었다. 부동산 전문 펀드인 리츠를 다루는 마스턴투자운용은 2017년 16억원이던 운용 보수가 지난해 426억원으로 증가했다.

증권사들의 총 판매수수료 수입은 2017년 4768억원에서 2021년 5941억원으로 증가했다. 미래에셋증권이 940억원으로 1위였다. 한국투자증권이 932억원, 삼성증권이 688억원, NH투자증권이 422억원을 벌어들였다.은행 중에는 SC제일은행이 공모펀드 수수료로 가장 많은 555억원을 벌어들였다. 국민은행이 464억원, 씨티은행이 409억원, 신한은행이 253억원의 수입을 가져갔다. ‘라임사태’가 터지기 직전인 2019년 876억원이던 4대 은행(국민·우리·신한·하나)의 사모펀드 판매수수료 수입은 지난해 19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윤 의원은 “펀드 판매를 통한 수입 증가는 자본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며 “불완전 판매와 부당 권유 등을 근절하는 노력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4월 미소비자신뢰지수, 인플레 우려로 투자운용 전달보다 하락

미국의 4월 소비자 신뢰지수가 40여년만에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소폭 하락했다. 26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컨퍼런스보드가 매월 발표하는 4월 소비자 신뢰지수가 107.3으로 3월의 107.6보다 소폭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조사한 이코노미스트들은 이 지수가 108.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노동 시장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3월보다 덜 낙관적이어서 3월 153.8에서 4월에 152.6으로 떨어졌다. 소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경제가 2분기에도 계속해서 성장했음을 시사한다.소득, 기업 및 노동 시장 상황에 대한 단기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 지수는 76.7에서 77.2로 소폭 올라갔다. 소비자 신뢰 지수는 미국 경제의 주요 동인 중 하나인 가계의 소비 지출 의향을 반영하는 수치로 여겨진다. 콘퍼런스 보드의 경제 지표 수석 이사인 린 프랑코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3월 사상 최고치에서 물러났지만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어피니티 솔루션의 CEO 조나단 실버는 강력한 노동 시장이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 부담을 감수하게 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고가 품목보다 필수 품목에 더 많이 지출할 가능성이 높아 인플레이션이 이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정아 객원기자 [email protected]

4월 미소비자신뢰지수, 인플레 우려로 전달보다 하락

"투자운용 단기 랠리가 펼쳐질 수 있다는 근거들" -JPM, MS

미국 증시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악재가 상당 폭 가격에 반영이 됐다는 분석들이 나오고 투자운용 있다. 단기 랠리가 가능하다는 관측이다.'강세론자'인 JP모간의 마르코 콜라노비치 글로벌 헤드는 25일(현지시간) 보고서서 "이번주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좋지 않은 투자 심리 △투자자들의 낮은 주식 비중 △월말 펀드의 리밸런싱 △유리한 계절성(4월은 강세를 보일 때가 많았음) △현재 과매도 상태 등을 감안할 때 단기적인 랠리가 펼쳐질 수 있다고 봤다. 이번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뒤 재개할 자사주 매입도 랠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콜라노비치는 기업 실적에 대해 "가이던스(회사 측의 실적 전망)가 약할 수 있지만 1분기 실적은 월가의 낮은 실적 추정치에 비해선 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시장은 현재 연말까지 미 중앙은행(Fed)가 250bp 이상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가격에 투자운용 반영하고 있다"라면서도 "앞으로 인플레이션은 완화될 것으로 보이고, 투자자들의 채권 보유 비중도 매우 적은 상태여서 시장 금리는 현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모건스탠리의 트레이딩 데스크도 "앞으로 상황은 덜 나빠질 수 있다"라고 주장하면서 여섯 가지 근거를 제시했다. 모건스탠리는 ① 근원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이르렀다 ② 채권 금리가 정점을 쳤다 ③ 소득세 납부(4월18일)를 위한 주식 매도는 이미 지나갔다 ④ 시장은 이제 세 번의 50bp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⑤ 투자자 심리와 주식 보유 비중이 낮다(떨어지기 어렵다) ⑥유틸리티와 필수소비재 등 경기 방어주 주가가 더이상 '저렴'하지 않다(기술주, 성장주 등으로 관심이 옮겨갈 수 있다)라고 밝혔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email protected]

GE, 월가 예상치 웃도는 실적에도 주가 급락

제너럴 일렉트릭이 월가 예상치를 웃도는 매출과 이익에도 잉여현금흐름이 기대에 못미치면서 주가가 14개월만에 최저수준으로 급락했다. 26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제너럴일렉트릭(티커:GE)는 1년전 28억7000만달러의 순손실이 올 1분기에 10억9천만달러로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구조조정 및 분리 비용, 자산매각 등과 같은 비반복적인 항목을 제외하고 조정순익은 주당 13센트에서 24센트로 올라 팩트셋 예상치 18센트를 넘어섰다. 총 매출은 0.2% 감소한 170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서비스 매출이 12.7% 증가하면서 장비 분야 매출 13.9% 감소를 상쇄하면서 팩트셋의 컨센서스인 168억5000만 달러를 소폭 웃돌았다.GE의 잉여현금흐름(FCF)은 1년 전 마이너스 33억6000만 달러에서 마이너스 8억8000만 달러로 개선됐지만 팩트셋 컨센서스인 마이너스 8억1650만 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사업 분야별로는 항공 부문 매출이 12.2% 증가한 56억 달러로 팩트셋 컨센서스 57억 1000만 달러보다는 적었다. 헬스케어 분야는 1.3% 증가한 43억 6천만 달러로 팩트셋 컨센서스 41억 6천만 달러를 넘었다.전력부문은 10.7% 감소한 35억 달러로 팩트셋 컨센서스 37억9000만 달러에 못미쳤다.재생 에너지 분야는 11.6% 감소한 28억 7천만 달러로 역시 팩트셋 컨센서스 31억 4천만 달러에 미달했다. 개장후 제너럴 일렉트릭 주가는 동부표준시 기준 오전 10시5분에 전날보다 9%나 폭락한 82.15달러로 14개월만에 최저수준까지 떨어진 가격에 거래중이다. 김정아 객원기자 [email protected]

hanwha

사업분야 |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로 고객의 밝은 내일을 키웁니다.

1988년에 설립한 한화자산운용은 국내외 주식, 채권부터 MMF, 재간접펀드, 사회간접자본, 파생상품, 부동산, ETF, 특별자산, PEF 등에 이르는 다양한 상품군을 갖춘 종합자산운용사입니다.
2019년 말 수탁고는 103조 1,746억 원 으로, 이는 업계 3위의 위상입니다.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원칙과 운용 철학을 바탕으로 상품 개발, 리서치, 컴플라이언스, 리스크 관리 등 각 분야에서 업계 최고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갖췄으며 체계적인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쌓아온 운용 노하우와 시장의 변화에 한

발 앞서 대응하는 한화자산운용의 혁신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은 KG제로인 '2020 대한민국 펀드어워즈' TDF부문 및 일반주식부문 최우수상, '2019 대한민국 증권대상' 대체투자펀드부문 최우수상, '2019 매경 증권대상' 베스트 운용사 ETF부문, KG 제로인 '2019 대한민국 펀드어워즈' 해외채권부문 최우수상 수상 등의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한화자산운용은 아시아 선도 자산운용사로의 도약을 위하여 전략적인 해외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범아시아 시장의 자산(Equity) 및 대체 투자운용 투자

(Alternative Investment)를 전담하는 싱가포르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및 선진국 자산을 담당할 뉴욕법인을 인수한 데 이어, 외자독자회사(WFOE)인 중국법인을 설립하여 투자운용 해외 비즈니스 거점 마련을 통한 글로벌 전략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 MMF, 파생형 등의 유형별 펀드 이외에도 연금 펀드, 특별자산, 부동산 투자운용 SOC등 특화펀드를 함께 운용하며, 투자 자산의 종류에 따라 전문화된 다양한 국내외 투자 펀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이익을 최고로 생각하는 원칙을 지키며 운용의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최고로 유지하여 업계 최고의 자산운용사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철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심도있게 종목을 선택함과 동시에 투자 고객의 의사를 적극 반 영하여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맞춤형 운용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정기적인 운용보고서 등 유가 증권에 대한 각종 정보와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조언을 투자 고객에게 제공하여 투자전문가의 운용스타일과 운용노하우를 함께 공유하고, 원칙인 고객의 이익제일주의를 실천하기 위 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철저한 컴플라이언스 기준 정립과 높은 윤리 적 기준 준수를 바탕으로 투자 고객의 이익보 호와 이해상충 방지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 여 장기 안정적인 초과수익을 구현하는데 노 투자운용 력하고 있습니다.
  • 금융
  • 금융
  • 금융
  • 금융 금융 -->
  • 금융

상단으로가기

한화그룹 광고 영상

한화그룹 광고 영상

한화그룹 광고 영상

home icon

HOME 집합투자업자 운용인력소개

운용인력소개 기준일 : 2015.07

  • 서철수 본부장
  • 한양대(원) 경영학 석사
  • 건국대(원) 부동산학 석사
  • 한국산업은행 PF실, 자금부 및 기업여신 심사
  • 민간투자사업 심사위원
  • 한국운용 SOC운용본부장
  • 투자자산운용사(사회기반시설)
  • 해외자원개발 투자인력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본부장
  • SOC 운용팀 : 이종은 팀장
  • 서울대 독문학 학사
  • 고려대 MBA
  • 변호사(사법연수원 35기)
  • 법무법인 화인(건설, 금융)
  • 투자자산운용사(사회기반시설)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SOC운용팀
  • SOC 운용팀 : 강대연 차장
  • 고려대 법학 학사
  • 한국선박금융
  • 동부자산운용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SOC운용팀
  • SOC 운용팀 : 황경훈 차장
  • 경희대 경제학 학사
  • 금호산업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SOC운용팀
  • CFA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SOC 운용팀 : 김수성 대리
  • 성신여대 경영학 학사
  • 한국투자증권 SOC사업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사회기반시설)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SOC운용팀
  • SOC 운용팀 : 이원섭 대리
  • Arizona 주립대 재무학
  • 산은자산운용 2년(GIS운용)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SOC운용팀
  • SOC 운용팀 : 김지은 사원
  • 동덕여대 응용화학 학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SOC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SOC 운용팀 : 장성민 사원
  • University of Toronto 경제학 학사
  • 연세대학교 국제금융학 석사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SOC운용팀
  • 자원/대체운용팀 : 김왕곤 팀장
  • 단국대 물리학 학사
  • 동원증권 IB본부 기업금융부, DCM부 팀장
  • 한국투자증권 IB본부 WRM부 팀장
  • 한국투자증권 자원대체/투자금융부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자원/대체운용팀
  • 해외자원개발 전문운용인력
  • 자원/대체운용팀 : 이제호 차장
  • 연세대 경영학
  • 서울대(원) 경영학 석사
  • 삼일회계법인(자문, 감사)
  • 회계사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해외자원개발 투자인력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자원/대체운용팀
  • 자원/대체운용팀 : 최재혁 차장
  • 연세대 경영학, 법학 학사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사회기반시설)
  • 해외자원개발 투자인력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자원/대체운용팀
  • 자원/대체운용팀 : 강상욱 대리
  • 서울대 경영학 학사
  • 한국기업평가(PF평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자원/대체운용팀
  • 자원/대체운용팀 : 박철오 대리
  • 연세대 천문우주학, 경영학 학사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자원/대체운용팀
  • 자원/대체운용팀 : 오홍석 사원
  • 연세대학교 경영학 학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자원/대체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자원/대체운용팀 : 황선호 대리
  • Columbia University 국제금융 석사
  • Wesleyan University 정치경제학 학사
  • 하나대투증권 M&A팀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자원/대체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국내부동산운용팀 : 고성관 팀장
  • 한양대학교(원) 건축공학 석사
  • 샘스 자산운용본부
  •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 다이와증권코리아 IB본부(이사)
  • 부동산운용전문인력, 미국상업용부동산투자분석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국내부동산운용팀
  • 국내부동산운용팀 : 최은화 차장
  • 고려대 경영대 MBA
  • (주)SAMS 자산관리팀, 임대차팀
  • 부동산투자자산운용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국내부동산운용팀
  • 국내부동산운용팀 : 김찬교 차장
  • 한양대 경제학 학사
  • 한양대(원) 경제학 석사
  • 제이알투자운용(주) 투자 및 자산운용, 저스트알(주) 투자자문
  • 부동산투자자산운용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국내부동산운용팀
  • 국내부동산운용팀 : 김형락 대리
  • 서강대 경영학 학사
  • 롯데자산개발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국내부동산운용팀
  • 국내부동산운용팀 : 김강일 대리
  • Reading Univ. Real estate finanace 석사
  • 고려대 건축공학 학사
  • 선진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 다이와증권코리아
  • EY한영회계법인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국내부동산운용팀
  • 국내부동산운용팀 : 공병호 사원
  • 서울시립대 도시공학 학사
  • 세빌스코리아 기업부동산관리팀
  • 세빌스인베스트먼트코리아 투자운용본부
  • 부동산투자자산운용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국내부동산운용팀
  • 해외부동산운용팀 : 김영진 팀장
  • 연세대(원) 경제학 석사
  • 한국투자신탁 주식운용부
  • 부동산투자자산운용사, AP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 해외부동산운용팀 : 김용환 부장
  • 성균관대 경영학 학사
  • 성균관대(원) 경영학 석사
  • 한국투자신탁 주식운용, 리스크관리, 호치민사무소
  • 부동산투자자산운용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 해외부동산운용팀 : 이석우 차장
  • Texas A&M 부동산학 석사
  • 제이알투자운용㈜ 투자 및 자산운용, CBRE Capital Markets
  • 투자자산운용사(부동산)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해외부동산운용팀 : 남형록 차장
  • 연세대 도시공학 학사
  • 하나다올신탁/다올자산운용
  • 부동산운용전문인력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 해외부동산운용팀 : 김근호 대리
  • Ohio 주립대 재무학 학사
  • 카이스트 테크노MBA
  • 대신증권 및 대신자산운용 4년
  • 부동산투자자산운용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해외부동산운용팀 : 이명수 대리
  • 홍콩대 회계금융학 학사
  • 드림자산운용 멀티에셋본부
  • FRM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 해외부동산운용팀 : 김진현 대리
  • Aalto University(구. 헬싱키 공대) 부동산학 석사
  • Savills 자산관리본부, 삼성물산 건설부문 빌딩사업부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 해외부동산운용팀 : 김용훈 사원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과학 학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실물자산운용본부 해외부동산운용팀
  •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상품, 부동산)
  • 호치민사무소 : 안종훈 소장
  • 연세대 경제학 학사
  • 수원대(원) 금융공학
  • 대우증권 선물옵션영업팀
  • 대우선물 상품운용팀 운용역
  • 한국플러스투자자문 운용팀 운용역
  • 이트레이드증권 파생상품운용팀 운용역
  • 동원투자신탁운용 시스템운용팀 운용역
  • 부동산투자자산운용사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해외사무소 호치민사무소
  • 호치민사무소 : Nguyen, Thi Thanh Binh
  • Hochiminh대 한국학 4년
  • Hochiminh 법대 3년
  • 미래Co.Ltd Assistant to Director
  • CDMA Mobile Phone Center 토역, Secretary General to BOM
  • 現 한국투자신탁운용 부동산팀 호치민사무소

※ 펀드는 운용결과에 따른 이익 또는 손실이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과거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해외펀드는 환율변동에 따라 투자자산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펀드에 가입하시기전에 운용목적, 투자전략, 투자대상, 환매방법 및 보수 등에 관하여 기재된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본 상품은 유가, 환율, 생산량 및 개발비 변동 등에 따라 투자자산의 가치가 변동되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은 유동성의 위험이 있으며 상장이 되더라도 거래량 부진 등의 사유로 투자자가 원하는 시기에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아 환금성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기재된 운용전략 및 전망은 시장상황 변동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제공된 자산 보유현황 등의 자료는 2개월전 자료이며, 기재된 운용전략은 시장상황 변동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제공된 모든 정보는 당사의 승인없이 복제되어 유통될 수 없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