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제한폭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실리콘투·조광ILI, 무상증자 권리락에 상한가

가격제한폭

국내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15%에서 ±30%로 확대된 지 15일로 만 3개월이 됐다.

최근 국내 증시가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 속에 변동성 확대 국면을 겪고 있지만 당초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른 가격 급변 등의 우려가 시장에 더 큰 악재로 작용하지는 않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15일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이달 11일까지 3개월간의 거래 상황을 분석한 결과 하루 평균 상한가 종목은 7.4개(유가증권시장 4.2개, 코스닥 3.2개)였다.

이는 올해 초부터 제도 시행 전인 지난 6월12일까지 하루 평균 18.7개(유가증권시장 6.4개, 코스닥 12.3개)의 상한가 종목이 나왔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진 수치다.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제도 시행 1개월차 당시 우선주의 이상 급등 현상으로 상한가 종목 수가 7.0개로 급증했으나 곧바로 안정을 되찾았다. 최근 한 달 새 하루 평균 상한가 종목 수는 2.0개에 불과하다.

하한가 종목 수도 4.1개에서 0.5개로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종전 가격제한폭인 ±15% 이상 주가가 변동한 종목 수는 하루 평균 23.9개였다.

개별 종목의 주가 급변을 막고자 도입된 정적 변동성완화장치(VI)의 발동 건수는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정적 변동성완화장치의 하루 평균 발동건수는 시행 첫 달 127.2회에 달했으나 점차 줄어 지난 11일까지 누적 평균 93.6회에 그쳤다.

다만 코스닥시장에서는 여전히 정적 변동성완화장치의 발동 건수가 115.1회(시행 첫 달 118.1회)에 달했다.

일중 지수 변동성은 시행 초반에는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그리스 사태에 이어 미국 금리 인상과 중국 경기 둔화 우려 등의 악재가 더해진 탓에 유가증권시장은 제도 시행 전 0.78%에서 최근 3개월 새 1.27%로, 코스닥시장은 1.17%에서 2.33%로 소폭 늘었다.

한편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제도 시행 전(8조9천억원)보다 늘어난 9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제도 시행 첫 달에는 10조5천억원까지 늘었으나 최근 대외 악재로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탓에 최근 한 달 새에는 8조6천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거래소 관계자는 "가격제한폭을 2배로 확대하면서 일각에서 가격 급변 등을 우려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VI 발동 건수가 줄어들고 완화율이 높아지는 등 시장의 변동성이 안정화됐다"며 "가격제한폭 확대 제도가 사실상 시장에 안착했다"고 자평했다.

가격제한폭

[소비라이프 / 김태경 기자] 코스피의 가격제한폭이 17년만에 바뀌어 오늘(15일)부터 주식 하루 가격제한폭이 ±15%에서 ±30%로 확대된다. 투자자들은 하루 가격제한폭 확대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기대 반 우려 반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당장 한두 달쯤 주식거래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과거 가격제한폭이 12%에서 15%로 확대됐을 때도 한 달간 거래량이 5% 정도 감소했다.

이론적으로 가격은 시장 자율에 맡기는 게 가장 효율적이다. 가격에 제한을 가하는 순간 시장엔 왜곡이 생긴다. 이는 작전 세력이 활개를 치게 만드는 온상이 된다. 가격제한폭이 좁을수록 증시 작전 세력에 이용당하는 사례가 많았다.

현재 시장에는 기대와 우려가 가격제한폭 공존하고 있다. 우려하는 쪽은 시장 변동성 확대와 신용거래 관련 리스크 확대 등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과거 가격제한폭 확대시행 이후 긍정적인 효과가 많았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그러나, 시장에서 가장 우려하고 있는 부분은 개인 투자가 집중돼있는 중소형주에 대한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다. 이번 가격제한폭 확대로 변동성이 커지면서 개인 투자자의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신용거래가 높은 종목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개인투자자가 몰리는 코스닥 중소형주는 거래량이 많지 않아 적은 물량으로도 가격 조정이 가능하다. 그 피해는 개인투자자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물론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가격제한폭 기대감도 큰 것도 사실이다. 과거 네 차례의 가격제한폭 확대에서는 시장 효율성 증대 및 거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과거 가격제한폭 확대 시에는 상하한가 빈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일평균 거래량 역시 늘어나면서 거래도 활성화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소문을 믿지 말고 공시와 재무제표 등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를 반드시 확인 할 것을 권유한다.

금융소비자연맹 강형구 금융국장은 "전문가들의 의견은 참고로 하고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하에 주식투자를 해야 한다"며 "소문에 휘둘리지 말고, 기업 공시와 기업 재무제표를 확인하여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격제한폭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이호정 기자
    • 승인 2015.07.15 17:37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서울파이낸스 이호정기자]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 지난달 15일 이후 1개월간 주식시장에서는 단기투자 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거래소가 가격제한폭 확대에 따른 투자행태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단기매매계좌의 주식 보유기간이 가격제한폭 확대 전 1개월간은 평균 3.5일을 보유했으나 확대 시행 후 1개월간은 평균 1.01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이 이 기간 3.35일에서 1.가격제한폭 04일로, 코스닥시장이 3.02일에서 1.00일로 각각 보유기간이 짧아졌다.

      단기매매계좌란 특정 종목을 매수한 후 1개월 이내 전량 매도한 계좌를 의미한다. 보유기간은 최초 매수 체결일로부터 최종 매도체결일까지 소요일수를 기준으로 집계됐다.

      특히 당일 중 매수 및 매도수량이 일치하는 계좌인 테이트레이딩 계좌의 거래대금 비중은 우선주가 많은 유가증권시장 소형주에서 크게 늘어났고 중·대형주 및 코스닥에서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소 측은 "일부 소형주의 일중 변동성 증가가 주가변동 리스크 축소를 위한 단기 투자 현상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러한 단기투자화가 일중변동성을 다시 증가시키는 상호 상승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제한폭 확대 이후 일부 상한가종목에서 자석효과가 나타났지만 그 비중은 기존 1.3%에서 0.6%로 크게 하락했다. 자석효과란 주가가 상·하한가에 근접하면 자석처럼 투자자를 유인해 상·하한가가 형성되는 현상으로 불공정거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주가급변은 우선주 등 소수종목에 한정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일인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거래소의 집중감시에 의해 주가급변 종목으로 적출된 종목은 41개로, 전체 상장 종목의 2.11%였다. 이 가운데 18개 종목(보통주 2, 우선주 16)은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의심돼 추적조사를 실시중이다.

      거래소 측은 "일부 계좌가 다수 종목에 걸쳐 불공정거래 의심 행위를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나 심층 분석 중"이라며 "투기적 거래가 의심되는 우선주 등 저유동성, 소형주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감시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리콘투·조광ILI, 무상증자 권리락에 상한가

      주식 시장 2022년 07월 15일 09:42

      실리콘투·조광ILI, 무상증자 권리락에 상한가

      실리콘투·조광ILI, 무상증자 권리락에 상한가

      실리콘투와 조광ILI이 무상증자 권리락 착시효과에 연일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15일 실리콘투는 오전 9시16분 현재 가격제한폭(29.87%)까지 오른 687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조광ILI도 전일(2775원)대비 29.91% 오른 3605원을 나타내며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실리콘투와 장 초반부터 급등한 것은 무상증자 권리락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3일 한국거래소는 조광ILI과 실리콘투에 무상증자에 따른 권리락이 발생한다고 공시했다. 기준가는 각각 2135원, 4075원이다. 앞서 조광ILI와 실리콘투는 구주당 신주 5주를 발행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무상증자 권리락은 신주 배정 가격제한폭 이후 신주에 대한 권리가 사라지는 것으로 신주배정일에 맞춰 발생한다. 무상증자는 시가총액이 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수를 늘리는 만큼 권리락 발생일에 인위적으로 주가를 하향한다. 이에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해 보이는 착시효과가 생겨 반대로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업가치나 성장성엔 변화가 없다.

      관련 기사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며 한국 증시 거래대금이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으로 줄었다. 작년 1월 대비 약 90% 감소한 수준이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

      비트코인이 2만1500달러 선을 뚫으면서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17일 글로벌 코인시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

      한두희, ETF로 승부수 띄운다… 상품 차별화에 집중

      한두희 사장이 진두지휘하는 한화자산운용이 올해 가격제한폭 ETF(상장지수펀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올들어 출시한 ETF 상품이 모두 '국내 최초'라는 .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 관점을 공유하고 ,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 하지만 ,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가격제한폭 바랍니다 :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 존중하기. 부정적인 의견도 긍정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표준어 사용 :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비방,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 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가격제한폭 가격제한폭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 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코스피지수2,330.98+8.66+0.37%
      코스피200 선물 (F)308.00+1.40+0.46%
      US 5003,864.4+74.0+1.95%
      US Tech 10011,992.2+223.8+1.90%
      DAX12,864.72+345.06+2.76%
      닛케이26,788.47+145.08+0.54%
      미국 달러 지수107.825-0.582-0.54%
      1,706.50+0.70+0.04%
      18.637+0.412+2.26%
      브렌트유101.13+2.03+2.05%
      WTI유94.570.000.00%
      천연가스7.115+0.515+7.80%
      구리3.2455+0.0340+1.06%
      미국 옥수수605.00+4.00+0.67%
      달러/원1,319.23+2.38+0.18%
      유로/달러1.0086+0.0070+0.70%
      브라질 헤알/원243.92+1.15+0.47%
      엔/원9.5219+0.0466+0.49%
      파운드/달러1.1857+0.0035+0.30%
      태국 바트/원36.015+0.038+0.10%
      달러/엔138.54-0.35-0.26%
      애플150.17+1.70+1.15%
      알리바바 ADR102.44-1.32-1.27%
      트위터37.74+1.45+4.00%
      알코아43.06+2.25+5.51%
      뱅크오브아메리카32.25+2.가격제한폭 12+7.04%
      코카콜라62.50+0.32+0.51%
      엑슨모빌84.54+1.40+1.68%

      주식 3천만원 증여했는데 세금 안 낸다고?…

      이번 주 증시 향방은…

      다운로드App store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가격제한폭

      게티이미지뱅크

      [바이오타임즈] 이종(異種) 장기를 연구개발 중인 제넨바이오(072520)가 8일 가격 제한폭까지 급등했다.

      제넨바이오는 8일 코스닥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29.75%(525원) 오른 2,29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제넨바이오의 급등에는 세계 최초로 돼지 췌도세포를 사람에 이식하는 임상시험이 이르면 올 하반기에 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비즈 7일자 보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제넨바이오에 이달까지 돼지 췌도세포 사람 이식 임상시험과 관련한 보완 자료를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제넨바이오와 서울대 의대, 길병원 등이 지난 2020년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돼지 췌도세포를 인간에 이식하는 임상시험 계획을 제출했지만, 2년째 검토 중인 상태다.

      그런데,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동물의 장기를 인간에 이식하는 수술을 임상으로 허용할지 검토 중이라고 알려지면서 국내에서도 동물의 장기를 사람에 이식하는 수술에 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월 미국 메릴랜드 의대 병원 의료진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유전자를 조작한 돼지 심장을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이식했다. 하지만 두 달 만에 숨졌는데, 6일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사인은 심부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록 이식받은 환자는 숨졌지만, 동물-인간 간 장기 이식에 대한 가능성과 관심을 촉발했다.

      만일 식약처가 제넨바이오의 돼지 췌도세포의 인간 이식 임상을 허가하게 되면 세계에서 최초로 이종 간 췌도세포 이식이 이뤄지게 된다.

      제넨바이오는 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유통하는 바이오 유통업과 이종 이식제품 개발을 가격제한폭 위해 구축한 연구 인프라를 활용한 비임상 CRO 사업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특히 만성적인 장기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이종 장기 개발, 신약 개발, 이식 전문 병원 설립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이종장기이식은 동물로부터 얻어진 세포, 조직, 장기 등을 치료 목적으로 사람에게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장점은 부족한 장기를 무한정 공급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공여 장기를 미리 준비하고 수여자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유전자 조작으로 맞춤형 장기를 제공할 수 있고, 뇌사자 장기에서 나타나는 장기 손상이나 장기 보관 기간이 길어 생길 수 있는 문제도 줄일 수 가격제한폭 있다. 하지만, 면역 거부반응, 인수공통감염, 생리학적 부적합 등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앞서 제넨바이오는 2020년 8월 서울대, 길병원 등과 무균돼지에서 추출한 췌도세포를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연구자 임상을 신청했지만, 식약처로부터 최종 심사기한(2021년 8월)까지 승인 결론을 내기 어렵다는 의견을 수령했다.

      이어 작년 8월 임상 1상을 회사 주도로 수행하기 위해 식약처에 임상 승인을 재신청한 바 있다. 식약처는 제넨바이오에 췌도의 안전성 확인을 위해선 장기간의 관찰 연구 가격제한폭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했으며, 회사 측은 자료 준비를 위해 최소한의 시험 기간이 추가로 필요해서 보완 자료의 제출 기한 연장을 요청했고 식약처가 가격제한폭 타당성을 인정해 연장을 승인했다.

      췌도 이식은 혈당 조절을 담당하는 췌장에서 췌도세포만 분리해 수여하는 시술로, 난치성 당뇨병 환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치료방식으로 각광받고 가격제한폭 있다. 하지만 췌도세포의 공급원인 췌장의 기증 빈도가 낮고, 췌도세포의 분리 조건이 까다로워서 사람으로부터의 동종 이식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제넨바이오는 무균돼지를 이용해 사람을 대상으로 이종이식을 시도하고 있다. 유전자 조작은 하지 않았지만, 사람에게 유해할 수 있는 병원균과 바이러스 등을 모두 제거한 무균돼지를 사용한다.

      만일 임상시험 계획이 승인될 경우 참여 대상자는 제1형 당뇨병 환자 2명으로 이식 수술 후 2년간 상태를 추적 관찰하게 된다. 췌도세포 이식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혜자의 혈당 조절 여부, 인슐린 분비량 변화 등이 평가된다.

      제넨바이오 측은 “국내 처음 진행하는 임상인 만큼 식약처와의 협의를 통해 가격제한폭 심사받고, 관련 자료를 지속해서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임상이 진행되고, 활성화되면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에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