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최명진 기자] LG유플러스는 콘텐츠 IP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이하 SAMG)에 전략적 투자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고 19일 밝혔다.
SAMG는 ‘미니특공대’, ‘캐치! 티니핑’ 등 인기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국내 대표 콘텐츠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키즈 캐릭터 IP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메타버스 기반 교육 플랫폼과 VR(증강현실) 게임 등 사업영역을 메타버스로 확장했을 뿐 아니라, 게임 전문 개발사 ‘엔터리얼’을 인수해 IP 콘텐츠를 디지털로 전환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어린이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브레드이발소’를 제작한 몬스터스튜디오와 '팡팡다이노'와 '젤리고'를 제작한 드림팩토리스튜디오에 투자한 데 이어, 올해는 본격적으로 콘텐츠 IP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SAMG에 지분 투자를 진행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양사는 2023년까지 ▲키즈 영상 플랫폼 사업 제휴 ▲캐릭터 IP 기반 스마트 교구 개발 ▲애니메이션 및 테마파크 등에 공동 투자를 추진한다. LG유플러스는 자사 서비스의 콘텐츠 차별화는 물론, 애니메이션·뮤지컬·드라마·예능 등 다양한 분야의 경쟁력 있는 IP에 지속 투자해 콘텐츠 투자 지분 중심의 수익모델을 새롭게 발굴한다는 전략이다.
먼저 양사는 키즈 영상 플랫폼의 사업 제휴를 논의할 계획이다. SAMG는 3D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숏폼 영상 등 국내 최대 규모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투자 지분 연내 국내향 키즈 영상 플랫폼을 선보이고, 향후 LG유플러스와 스마트 TV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캐릭터 IP를 활용한 키즈 제품 공동 개발에도 나선다. SAMG의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유삐, 홀맨, 무너 등 자사 오리지널 캐릭터를 활용해 스마트 교구를 제작하고, 양사 온·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또한 장편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작을 비롯해 대형 테마파크 구축에 대한 공동 투자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김수훈 SAMG 대표는 “이번 투자 투자 지분 유치와 함께 양사가 힘을 모아 강력한 키즈 콘텐츠 사업의 시너지를 만들 수 있게 돼 기쁘다”며 “LG유플러스가 보유한 막강한 콘텐츠 플랫폼과 SAMG의 글로벌 콘텐츠 IP가 결합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성과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 CCO 이덕재 투자 지분 전무는 “SAMG는 유튜브 채널 총 구독자 수 3600만명을 비롯해 중국 텐센트, 유쿠, 아이치이 투자 지분 등 대표 동영상 플랫폼에서 누적 조회수 280억회를 기록하는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이 매우 높은 회사”라며, “SAMG의 차별화된 콘텐츠 역량과 LG유플러스의 탄탄한 기술력과 플랫폼을 접목해 키즈 콘텐츠 시장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
그룹 자체가 우오현 회장의 인수합병으로 덩치를 키워온 만큼, 이번 지분 매입도 단순 투자 목적이 아니라 향후 인수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관측이다.
SM그룹의 HMM 지분 인수가 주목받는 이유는 채권단에서 관리하는 HMM이 어느 순간에는 시장에 매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SM그룹이 HMM 지분을 사들이며 유력한 인수자로 떠올랐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가나다라마바사 매우 작은 폰트
- 가나다라마바사 작은 폰트
- 가나다라마바사 보통 폰트
- 가나다라마바사 큰 폰트
- 가나다라마바사 매우 큰 폰트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Hak cipta milik penulis asli dari konten, dan mungkin ditemukan kesalahan dalam hasil terjemahan mesin.
Bản quyền thuộc về tác giả gốc của nội dung và có thể có lỗi trong kết quả dịch bằng máy.
[서울=뉴시스] 6800TEU급 컨테이너선 ‘HMM 홍콩(Hongkong)호’가 광양항에서 국내 수출기업들의 화물을 싣고 있다. (사진=HMM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SM그룹이 HMM 지분 인수에 적극 나서며, 그 배경에 관심이다. 그룹 자체가 우오현 회장의 인수합병으로 덩치를 키워온 만큼, 이번 지분 매입도 단순 투자 목적이 아니라 향후 인수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관측이다.
SM그룹은 최근 HMM 지분을 잇따라 사들이며 6.19%를 확보했다. 이번 주식 매입으로 한국산업은행, 한국해양진흥공사에 이어 HMM의 투자 지분 3대 주주로 올라섰다.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지난 3월말 기준 20.69%(1억119만9297주)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19.96%(9759만859주), 신용보증기금은 5.02%(2452만7807주)를 가지고 있다.
SM그룹의 HMM 지분 인수가 주목받는 이유는 채권단에서 관리하는 HMM이 어느 순간에는 시장에 매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포스코, 현대차그룹 등을 매수자로 꼽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SM그룹이 HMM 지분을 사들이며 유력한 인수자로 떠올랐다.
SM그룹은 주식 매입에 대해 "단순 투자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SM그룹이 향후 HMM 인수를 염두에 둔 사전작업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특히 주식 매입 대상이 우오현 회장이 이끄는 SM그룹이라는 대목에서 M&A 가능성을 높게 보는 분위기다.
특히 SM그룹이 그동안 덩치를 키워온 과정을 보면 HMM 인수 가능성에 투자 지분 더욱 힘이 실린다. SM그룹은 지난 2005년 건전지 제조업체 벡셀을 시작으로 경남모직(2006년), 남선알미늄(2007년), 티케이케미칼(2008년) 등을 인수했다. 2013년에는 당시 업계 4위 대한해운을 인수하면서 해운업에 진출했다. 이를 발판삼아 2016년에는 벌크전용선사인 삼선로직스도 품었다. 지난해 말 기준 SM그룹은 총 81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다양한 인수합병의 중심에는 창업자인 우오현 회장이 있었다. 우 회장은 쌍용차가 매물로 처음 나왔을 당시에도 인수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주위의 강력한 만류로 인수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SM그룹이 시가총액 12조7693억원에 달하는 HMM을 인수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고 투자 지분 있다.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보유한 지분과 영구채까지 상환하려면 10조원 이상이 필요하다. 중견기업 수준인 SM그룹 자금력으로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업계 공통적인 시각이다.
김경배 HMM 사장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파크1빌딩 본사에서 열린 중장기 전략 기자간담회에서 "SM그룹이 6.17% 지분을 확보하며 3대주주로 올라섰다"며 "SM그룹에서는 공식적으로 단순투자라고 하고 있고 아직 특별한 요청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 지분 나 역시 단순 투자라고 생각하고 있고, (SM그룹도) 한 투자자로 본다"며 "회사를 건전하고 튼실하게 만들어 투자 가치를 올려나가겠다"고 부연했다.
Home > 산업 > 자동차
+ A - A
'야금야금' 한국車 시장 보폭 넓히는 중국
배터리 협업·지분 투자·직접 판매 등 추진
"전동화 시대 영향력 커진 中 피할 수 없어"
2020년 9월 26일 중국 베이징에서 개막한 베이징 모터쇼에 전시된 중국 BYD 전기차 '한(漢) EV'. [연합뉴스]
상용차 시장에 집중해온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이제는 승용차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체와의 배터리 협업을 본격화한 데 이어 지분 투자, 전기 승용차 직접 판매 추진 등 다양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전동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영향력이 커진 중국 기업의 국내 시장 진입이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은 최근 국내 승용차 시장에 직·간접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먼저 국내 완성차 업체와의 배터리 협업이다. 중국 CATL(닝더스다이)은 최근 출시된 기아의 니로EV에 배터리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현대차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배터리 업체와 주로 협업해왔다. 기아가 중국 배터리를 신차에 탑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동화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쌍용자동차도 중국 배터리 업체 BYD(비야디)와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지난해 말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2023년 출시할 토레스 기반 전기차에 처음으로 BYD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이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 배터리를 탑재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수순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전동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중국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의 CATL은 올해 상반기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69GWh의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 1위를 차지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해도 CATL, 신왕다(Sunwoda), BYD 등이 상위 10위 안에 포진될 정도로 영향력이 큰 상태다.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실적. [사진 SNE리서치]
국내 완성차 업체에 대한 지분 투자도 진행되고 있다.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지난 5월 중국 최대 민영 자동차그룹 길리그룹 산하의 길리 오토모빌 홀딩스가 지분 투자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길리 측이 르노코리아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34%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경영은 르노코리아가 독자적으로 하되 하이브리드 등 미래 친환경차 개발에 대해서 양사가 협력할 방침이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상용차 시장 진출을 교두보로 전기 투자 지분 승용차 직접 판매도 추진 중이다. 대표적인 기업은 중국의 BYD다. 이 회사는 2016년 10월 BYD코리아 유한회사를 설립한 뒤 지금껏 전기버스, 지게차 등 상용차만을 판매해왔다. 현재 BYD코리아는 전기 승용차 판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복수의 딜러사와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서울역 인근에 새로운 업무 시설을 마련하고 본사와의 커뮤니케이션 등을 위한 인력 채용에 나선 상태다.
BYD는 미국의 테슬라(Tesla)까지 제치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올해 상반기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323% 늘어난 64만7000대의 전기차(BEV+PHEV)를 판매했다. 같은 기간 테슬라는 57만5000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동화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며 "중국 메이커에 대한 소비자 반발이 예상될 투자 지분 수 있는데 가격 경쟁력 등이 뒷받침된다면 일정 부분 이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실제 가성비를 앞세워 성공한 사례가 존재한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동풍소콘은 신규 등록 대수 591대로 수입 상용차 시장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신규 등록 대수가 22대에 불과했던 동풍소콘은 전기 상용차 마사다로 국내 소비자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마사다의 성공 비결로는 '가성비'가 꼽힌다. 2, 4인승 전기 소형 밴·전기 픽업트럭 투자 지분 등으로 구성된 마사다는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적용 시 1780만~1980만원(2인승 밴 기준)에 구매 가능하다. 38.7kWh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됐으며 완충 시 167~178km를 달릴 수 있다.
이지완 기자 [email protected]
산업>자동차 섹션 뉴스
가격·옵션 몰라도 'OK'…출시 전 완판된 이 차는?
코오롱글로벌 4세 경영 본격화, 인적분할 통한 경영승계 '신호탄'
LG에너지솔루션, 美 포드에 배터리 공급 늘린다
"제값 받기 통했다"…기아, 2분기 영업이익 2조2341억 원
SK온, 포드·에코프로비엠과 양극재 생산시설 공동투자
Log in to select media account
Social comment?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