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BLVT) 설명
레버리지 토큰을 사용하면 청산의 위험 없이 레버리지를 사용해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레버리지된 포지션에 대한 걱정 없이 레버리지된 상품이 제공하는 더 많은 이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담보금을 관리하거나 마진 증거금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며, 청산의 위험도 사실상 없습니다.
초기 레버리지 토큰 설계는 파생상품 거래소 FTX에서 도입되었습니다. 해당 토큰은 특별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예측대로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상당한 것이었습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BLVT, Binance Leveraged Tokens)은 대안적인 설계를 제시합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BLVT)은 무엇인가요?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BLVTs)은 바이낸스 현물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각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무기한 선물 시장의 오픈 포지션 바스켓을 나타냅니다. 즉,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레버리지된 선물 포지션의 토큰화된 버전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첫 번째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BTCUP과 BTCDOWN입니다. BTCUP은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up)할 때 레버리지된 이익을 얻게 하는 것이 목표인 반면, BTCDOWN은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down)할 때, 레버리지된 이익을 얻게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레버리지된 이익은 1.25배에서 4배 사이입니다. 우리는 다음 장에서 그 이유와 더불어 어떻게 해당 목표 레버리지를 달성하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현재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바이낸스에만 상장되어 있으며 바이낸스에서만 직접 거래할 수 있고, 이를 여러분의 지갑으로 출금할 수 없습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온체인에서 발행되지 않는다는 점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과 다른 유형의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레버리지 토큰의 주된 차이점 중 하나는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고정된 레버리지를 유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 대신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가변적인 레버리지 목표 범위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BTCUP과 BTCDOWN의 경우 해당 비율은 1.25배에서 4배 사이이며, 이는 해당 토큰의 무기한 레버리지 목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가격이 상승할 때 잠재적인 이익을 극대화하고, 가격이 내려갈 때 청산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목표 레버리지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공개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주요 목표는 선행매매(front-running)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해당 토큰들이 사전에 정의된 시간 간격을 따라 재조정될 경우, 이를 알고 있는 다른 트레이더들이 이점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 목표 레버리지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필수적인 시장 상황이 아닐 경우 토큰 가격은 재조정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목표 레버리지를 감추게 되면 트레이더가 가격 조정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앞선 전략들이 무마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레버리지 토큰은 바이낸스 현물 시장에서 거래됩니다. 또한 해당 토큰 가치에 따라 이를 상환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상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상환 과정을 거치는 것보다 현물 시장에서 포지션을 종료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블랙 스완 사건과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보통 현물 시장에서 포지션을 종료하는 것보다 상환 과정을 거치는 것이 비싸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현물 시장에서 여러분의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 포지션을 종료하는 게 좋습니다.
여러분은 레버리지 토큰 페이지에서 순 자산 가치(NAV, Net Asset Value)라는 용어를 보게 될 것입니다. 이는 USDT로 표시된 여러분의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레버리지 토큰 가치를 의미합니다. 토큰을 상환할 때 여러분이 수령하게 될 USDT는 순 자산 가치를 따라 결정됩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레버리지 토큰과 관련된 주된 혼란은 변동성 드래그(volatility drag)라 하는 개념에서 기인합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변동성 드래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분의 투자에 변동성이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변동성이 크고 시간이 지평이 클수록, 변동성 드래그는 레버리지 토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집니다.
레버리지 토큰은 보통 강한 추세가 존재하며, 시장 모멘텀이 높을 때 예상을 따라 진행됩니다. 그러나 횡보하는 시장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바이낸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버리지를 가변적으로 만들었습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변동성이 매우 높은 시기에만 재조정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재조정되지 않습니다. 이것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 작동에 변동성 드래그가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여줍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BLVT) 사용 수수료는 얼마인가요?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을 거래할 때, 지불하는 수수료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먼저, 거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현물 시장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BTC, ETH, BNB와 같은 다른 코인과 동일한 거래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티어에 따른 거래 수수료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또한 관리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해당 토큰은 선물 시장에서 개설되는 포지션임을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레버리지된 토큰을 구매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선물 시장 포지션의 토큰화된 버전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포지션을 개설 상태로 유지하려면, 매일 0.01%의 관리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연간 수수료는 3.5%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두 가지 방법으로 포지션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방법은 현물 시장에서 토큰을 판매하는 것입니다. 간단한 일입니다. 그러나 해당 토큰이 나타내는 가치를 상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을 회수할 경우, 토큰 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이 USDT로 지불됩니다. 이 경우 토큰 가치의 0.1%에 상응하는 상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알아둘 것은 보통의 시장 상황에서는 현물 시장에서 여러분의 포지션을 종료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환 메커니즘은 예외적인 시장 환경에서 포지션을 종료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고려 사항은 자금 조달입니다. 지금까지 살펴봤듯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선물 포지션을 개설하는 것입니다. 이는 해당 포지션에 펀딩 수수료가 적용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를 걱정하지는 않아도 되는 것이, 이러한 펀딩 수수료는 레버리지 토큰 보유자 간에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선물 시장의 트레이더 간에 지불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선물 계정에서 지불된 펀딩 수수료가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 가격 반영되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 구매 및 상환 방법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다른 코인 및 토큰과 마찬가지로 바이낸스 현물 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고급 트레이딩 인터페이스 내 ETF 탭 아래에서 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는 거래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자산과의 혼동을 방지하고 차별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여러분은 또한 바이낸스 홈페이지 상단 바에서 레버리지 토큰(Leveraged Tokens)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바이낸스에서 레버리지 토큰을 구매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
에 로그인합니다.
- 상단 바의 파생상품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고, 레버리지 토큰을 선택합니다.
- 거래하고자 하는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 거래 쌍을 선택합니다.
-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 페이지로 이동될 것입니다.
- 구매를 클릭하면, 고급 트레이딩 인터페이스로 이동합니다.
- 거래를 시작하기 전, 위험 고지 사항을 읽습니다. 여러분이 18세 이상이며 약관에 동의할 경우, 박스에 체크 표시를 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이후 다른 코인과 토큰을 거래하는 것과 유사하게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이곳은 BTCUP 페이지입니다. 여러분이 이미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을 보유하고 있고, 이를 상환하고자 한다면 해당 페이지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상환 버튼 클릭). 여러분은 또한 이곳에서 상환 내역을 확인하실 수도 있습니다.
가변적인 목표 레버리지 덕분에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보다 장기간인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바이낸스 레버리지 토큰은 레버리지된 포지션을 보유하는 것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거래 수단을 확장하고 여러분의 트레이딩 전략을 최적화 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월 1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3분기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순매수 1위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3배 레버리지 ‘ProShares UltraPro QQQ ETF(TQQQ)’로 나타났다. 이 기간 TQQQ 매수 금액은 2억265만 달러(약 2394억 원). 2위는 1억3990만 달러(약 1653억 원)를 매수한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ETF(SOXL)’다. 3위는 매수 금액 1억1219만 달러(약 1325억 원)인 ‘Bank of Montreal MicroSectors FANG Innovation 3x Leveraged ETN(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BULZ)’로 모두 3배 레버리지 종목이다.
전문가들이 입 모아 초고위험 종목으로 지목한 3배 레버리지 ETF를 서학개미들은 왜 쓸어 담고 있을까. 서학개미 사이에서 ‘TQQQ 전도사’로 유명한 라오어 씨에게 그 이유를 물어봤다. 라오어 씨는 9월 TQQQ 3억 원어치를 매수해 현금과 리밸런싱하며 장투하고 있다.
최근 서학개미들이 3배 레버리지를 쓸어 담는 이유는?
“중국 헝다그룹 사태, 인플레이션 압박, 미국 부채 문제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2~3주간 큰 하락장이 펼쳐졌다. 이때 서학개미들이 저점에서 3배 레버리지를 매수한 것으로 보인다. 똑똑한 선택이다. 개별 종목에 투자할 때는 재무제표, 실적 발표, 이슈 등을 항상 공부해야 하지만 그런 정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쉽지 않다. 반면 나스닥100 지수,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ETF(상장지수펀드)는 그런 부분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특히 3배 레버리지 ETF는 개별 종목에 비해 투자 시간 대비 수익률 면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10월 31일 만난 ‘TQQQ 전도사’ 라오어 씨는 장기적으로 TQQQ가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호영 기자]
“TQQQ 더 상승한다”
수많은 3배 레버리지 중 TQQQ가 유독 인기 있는 이유는?
“미국 3대 지수인 다우존스, S&P500, 나스닥에서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가 IT(정보기술)다. IT 분야가 몰려 있는 나스닥이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해 인기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도 반도체 3배 레버리지 SOXL이나 15개 우량 기업 3배 레버리지 BULZ보다 TQQQ가 좀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11월 1일 TQQQ는 종가 156.69달러로 마감했다. 10년 전인 2011월 11월 1일 종가 1.4803달러 대비 100배 이상 상승한 수치다. 개별 종목으로는 달성하기 쉽지 않은 수익률이 인기 비결 같은데.
“지난 10년 QQQ(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8~9배, TQQQ는 100배 이상 상승했다. 이 기간은 미국 역사상 주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시기라 이런 수치도 가능했다.”
11월 2일 TQQQ는 1월 4일 종가 86.925달러 대비 82.6% 상승한 158.78달러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장기적으로도 괜찮다고 보나.
“10년이든,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20년이든 미국이 패권 국가를 유지하는 데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장기적으로도 좋을 거다. 지금은 TQQQ뿐 아니라 미국주식에 투자할 타이밍이다.”
앞으로 닷컴버블이나 리먼 브라더스 사태 같은 금융위기에 대비할 필요는 없나.
“닷컴버블이 일어난 것은 매출이나 실적이 없는 기업의 주가가 기대감만으로 몇십 배 이상 올랐기 때문이다. 지금은 그런 기대감만으로는 주가가 오르지 않는다. 리먼 브라더스 사태는 미국 정부가 부동산 규제에 안일했던 게 주원인이다. 이런 경험들이 미국 금융가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교훈이 됐다고 본다. 결정적으로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펼친 양적완화 등 통화정책이 시장에서 통했다. 앞으로도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이런 방식으로 적극 대처할 것이라고 본다.”
3배 레버리지 변동성 잠식 크지 않아
그렇다면 전문가들은 왜 레버리지 ETF가 위험하다고 할까.
“금융 전문가들은 3배 레버리지를 도박이라고 표현한다. TQQQ나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3배 레버리지 ‘UPRO’의 과거 지수를 공부해보면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만큼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횡보장에서 3배 레버리지가 변동성으로 상승 시 전고점까지 오르지 못하는 현상을 ‘녹는다’고 표현한다. 보통 이를 변동성 잠식이라고 하는데,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면 이 현상은 실제로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3배 레버리지 ETF를 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은 소외감의 시대인 것 같다. 나는 일반 직장인보다 수입이 많은 의사임에도 1년에 몇억, 몇십억씩 상승하는 집값을 볼 때면 상실감을 느낀다. 일반 직장인이 느끼는 상실감은 나보다 훨씬 클 것이다. 3배 레버리지 투자가 그런 소외감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같다. 천정부지로 오른 부동산 가격을 따라잡기는 어렵지만, 주식은 소액으로도 시작할 수 있지 않나. TQQQ 투자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웨어 등 세계 굴지의 기업이 포진한 나스닥100 지수를 3배 레버리지로 모험하자고 하는 것이다. 막상 시작해보면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 적립 시 MDD 커져
TQQQ 투자의 성공 포인트는 MDD(Max Draw Down: 최대 손실)를 낮추는 것으로 보인다.
“TQQQ는 현금과 리밸런싱하며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다. 나도 내가 직접 개발한 리밸런싱 공식에 따라 투자하고 있다. 공식화한 투자법을 따르면 매수, 매도 시 후회가 안 생기고 MDD도 낮출 수 있다. 또한 장기투자 계획을 짜기에 수월한 면도 있다(‘주간동아’ 1297호 ‘10년간 월 50만 원 투자해 10억 만든다’ 제하 기사 참조).”
TQQQ를 단순 적립하는 것과 리밸런싱하는 것의 차이는?
“단순 적립식의 최고 장점은 단순하게 매수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가격이 과하게 오른 상태에서도 매수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또한 시간이 지나 평가금이 커지면 변동성이 더 커지면서 적립금만으로는 제어하기 힘들어진다. 단순 적립식은 초반에는 유용한 전략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좋지 않은 전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리밸런싱 전략이 함께 들어가야 한다. 투자금 일부를 현금으로 확보하다 하락장이 왔을 때 매수하고, 상승장이 왔을 때 어느 정도 매도해 현금을 비축하는 전략이다.”
미국주식을 여전히 어려워하는 투자자가 많다. 무엇보다 세금이 부담스럽다.
“한국주식은 대주주가 아니면 양도소득세가 없다. 미국주식은 250만 원 초과 수익에 대해 22% 양도소득세가 부과된다. 이 때문에 미국주식 투자가 손해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있다. 하지만 한국주식은 매도 시 매도 전액에 대해 0.23% 증권거래세를 내야 한다. 이 증권거래세는 미국주식에는 거의 없는 세금이다. 미국주식의 양도소득세는 수익금에만 부과되지만, 한국주식의 증권거래세는 수익과 상관없이 매도할 때마다 내는 세금이다.”
한국주식은 전혀 하지 않나.
“왜 한국주식을 해야 하는지 되묻고 싶다.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등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한국주식은 위험성이 크다. 달러 영향도 많이 받는다. 무엇보다 전 세계 돈이 몰리는 곳은 한국이 아니라 미국이다. 미국주식에 투자하려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국내뿐 아니라 유럽, 아시아도 마찬가지다. 인터넷이 잘 터지고 금융 시스템이 안정화된 나라의 투자자들은 미국주식에 더 투자하려 한다. 미국으로 돈이 점점 더 들어간다는 것이다.”
강의 7 : 레버리지 ETF의 "공유 병합 메커니즘"이란?
MEXC는 2020 년 1 월 16 일 레버리지 ETF에 대한 "공유 병합 메커니즘"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공유 병합 메커니즘"이란 무엇입니까?
"Share Merging Mechanism"은 레버리지 된 ETF 상품의 순 가치가 0.1 USDT보다 낮아지면 특정 병합 비율에 따라 상품의 주식을 합병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합병 후 ETF 상품의 순 가치는 일정 시간 상승하고 합병 비율에 따라 사용자가 소유 한 수량은 1 배로 하락합니다. 따라서 레버리지 ETF 상품을 소유 한 사용자의 총 자산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ALGO3L의 가격이 현재 시장 변동으로 인해 0.002 USDT라고 가정하면 규칙에 따라 "Share Merging Mechasim"이 트리거됩니다. 병합 비율이 10 : 1이라고 가정 해 보겠습니다 (비율은 시장 성과에 의해 결정됨). 따라서 합병 후 ALGO3L의 가격은 0.02 USDT로 10 배 상승하고 ALGO3L에 대한 사용자의 포지션 수량은 1/10까지 하락할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ALGO3L에 대한 사용자의 총 자산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공유 병합 메커니즘"을 시작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변동성이 큰 암호화 시장으로 인해 일부 레버리지 ETF의 순 가치는 때때로 매우 낮은 가격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변동이있을 경우 가격 민감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MEXC는 가격 민감도를 개선하고 더 나은 거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공유 병합 메커니즘"을 시작합니다.
추가설명
레버리지 ETF는 신흥 금융 상품입니다. 위의 내용은 투자 조언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투자 위험에주의하십시오.
레버리지 ETF는 청산 위험을 줄이지 만 극단적 인 상황에서는 가격이 0에 가까워지고 청산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손실을 피하기 위해 주문 가격과 정가의 차이에주의하십시오.
The BTCC Blog
암호화폐 업계를 선도하는 전문가들이 귀하의 암호화폐 선물 거래 기술을 향상에 도움을 드리기 위하여 조언, 연구, 방법을 제공합니다.
마진 거래 교육02-" 신용거래-생에 첫 비트코인을 가지다"
마진 거래 중 증거금 및 레버리지를 이용하면 손실을 고정시킬 수 있고 수익이 무한 해질 수 있습니다.하지만 초보자들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의 리스크 내에서 거래를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을 진지하게 읽어주시고 BTCC는 여러분이 적은 자금으로 BTC를 가질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
신용 거래(Margin Trading)는 일명 증거금 매매라고 합니다. 매번 거래소가 차지하는 자금은 거래표시 거래금액의 일정 퍼센트에 해당합니다.
증거금으로 거래하면 레버리지 효과가 잘 나올 수 있습니다. 적은 자금을 투자해서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있습니다.
점용 증거금: 마진거래 시 사용자는 레버리지의 존재로 인해 주문가액 전액을 지불하지 않고 가용 증거금에서 일부 금액을 동결하여 점용 증거금으로 보유할 수 있습니다.
점용 증거금은 포지션 청산, 거래 마감, 강제 청산 시 청산 수수료 차감 후 사용자의 계정으로 돌아갑니다.
가용 증거금: 사용자의 계좌에서 이용 가능한 증거금입니다. 점용 증거금으로 변환 가능한 증거금입니다.
A의 계정에 2000USDT가있습니다. 현재 BTC/USDT 100x가요구하는 마진은 100 USDT/개, A는 500USDT로 5개 BTC/USDT 100x을 거래하는데 A의 계정의 총 2000USDT중에서 500USDT를 동결하여 점용 증거금으로 사용됩니다. 나머지 1500 USDT는 가용 증거금으로 됩니다.
BTCC 마진 거래 중 증거금은 고정된 증거금이며 레버리지는 변동 레버리지입니다. 사용자들이 보는 100x, 50x 등의 레버리지는 이론적인 레버리지 배수입니다.
실제 레버리지= 주문 계약가치/주문 점용 증거금 BTCC는 시세 변동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거래에 대한 증거금 조정, 또한 실제 레버리지가 가능한 이론상의 레버리지에 가깝도록 함과 동시에 실제 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져서 주문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 합니다.
레버리지는 금융거래 제도에서 자주 이용되는 거래 방식으로 증거금 제도를 통해 예탁한 자산을 투자하여 투자 가능한 금액을 늘리는 동시에 투자자의 투자 능력과 그에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따른 결과를 늘려주는 방식입니다. 그렇지만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과 위험이 동시에 증가하여 수익이나 손실이 날 수 있는 가능성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게 됩니다.
BTC/USDT 100x 거래의 경우, 100배 레버리지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이론적으로 1 USDT의 증거금으로 100 USDT 가치에 상당한 비트코인 구매가 가능합니다. 가치가 상승하거나 하락하거나 거래 자금을 100배 올린 것입니다.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는 고정적인 대가나 비용을 가지고 추가적인 자산이나 자금을 취득하는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지렛대 효과"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면 10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입한 기업이 5억원의 당기순익을 냈을 경우 자기자본이익률은 5%가 되지만, 자기자본 25억원과 부채 75억원을 투입하여 같은 당기순익을 냈을 경우는 자기자본이익률은 20%가 됩니다.
이 경우는 고정적인 비용(25억원)을 지렛대 받침으로 이용하여, 추가적인 자산(75억원)을 지렛대로 이용하여 추가적인 효과를 얻은 것입니다.
이러한 레버리지 효과는 기업의 자금조달 및 투자자의 투자결정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은 어떠면 당연한 이치일 수 밖에 없습니다.
기업재무의 사례를 예로 들어보면, 자본금 1억원(액면가 5000원)규모의 주식회사가 투자를 위하여 1억원은 조달하려고, 증자 또는 연 8%의 차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하면, 주식 20,000주 신규 발행으로 1억원을 조달하여 당해 연도 당기 순이익이 2,000만원인 경우 주당순이익은 500원이다.
반면, 금융기관으로 부터 1억원을 차입하고 800만원을 이자비용으로 지급하였을 경우 주당순이익은 6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차입금이라는 지렛대를 적절히 이용할 경우 주당순이익이 높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선물거래 상의 사례를 예를 들자면, 선물거래는 15%의 증거금으로 현물거래와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동일한 금액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즉 1억원에 해당하는 거래를 1,500만원만 있으면 할 수 있습니다.
이때 1,500만원의 자기자본을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에 투자하여 10% 손익을 가정으로 비교해 레버리지는 무엇입니까? 보면 현물 투자자시 150만원의 손익이 발생하지만, 선물시장 투자시는 1억원의 10%인 1,000만원의 손익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레버리지 효과로 인하여 선물시장에서는 동일한 가격변동에도 이익 및 손실 규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선물투자는 높은 수익률과 손실의 위험성을 같이 가지고 있는 양면의 날과 같습니다. 또한 옵션거래에서도 이와 같이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