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 지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기아 일봉차트 - VR지표 예시

earticle

The trading volume needs to be newly approached by dividing the trading volume before and after HTS (Home Trading Service) and MTS (Mobile Trading Service) are available. With this reason, compared to the trading volume before the introduction of HTS and MTS, we can infer that the trading volume today includes the volume such as scalping and day trading, which is a short-term market arbitrage trading technique. That is, the prediction of the stock market by the trading volume, which is the 거래량 지표 거래량 지표 past measurement standard, can be expected to have a distorted resul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tock holding amount of each investor which is relatively less likely to distort the index so Granger Causality test was applied to look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ock holding, trading volume and stock pr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stock price and causal relation exist when the measurement standard is stock holdings, and information effect exists on stock holdings. When the measurement standard is trading volume, stock price and causal relation are relatively lower; therefore information effect is less compared to stock holdings. As show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is a clear result difference between the stock holdings and the trading volum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study and this paper. In addition, the measurement period was divided into the periods of stock price rising 거래량 지표 and falling, and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onclusions were derived by including the individual stock items as well as KOSPI and KOSDAQ 거래량 지표 indexes

거래량은 HTS, MTS가 보급되기 이전의 거래량과 이후의 거래량으로 나눠서 새롭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그 이유로 HTS, MTS가 보급되기 이전의 거래량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오늘날 거래량은 단기시세차익거래기법인 스캘핑, 데이트레이딩 등의 거래량을 포함하고 있기에 과거의 거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왜곡된 거래를 포함한 거래량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즉 과거의 측정기준인 거래량으로 주식시장을 예측하는 것은 왜곡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예상 할 수 있기에 거래량을 대체하여 상대적으로 지표의 왜곡가능성이 낮은 투자주체별 주식보유량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Granger 인과관계 검정을 사용하여 주식보유량, 거래량과 주가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측정기준이 주식보유량일 때는 주가와 인과관계가 존재하여 주식보유량에는 정보효과가 있으며 측정기준이 거래량일 때는 주가와 인과관계가 주식보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에 거래량에는 정보효과가 작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주식보유량과 거래량 간에는 분명한 연구결과의 차이가 존재하며 이 점이 선행연구와 본 논문의 차별점이다. 이와 함께 측정기간을 주가상승주기와 하락주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에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뿐만 아니라 개별종목까지를 모두 포함시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론
1. 가설
2. 데이터
3. 그랜저인과관계분석
IV. 분석결과
1. 단위근검정 결과
2. 그랜저인과관계 검정결과
3. 연구결과를 통한 가설검정
V. 결론
1. 요약
2. 결론
3. 한계점 및 향후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보조지표 이용하기 - VR지표를 이용한 매매법 (With - OBV지표)

카카오 일봉차트 - VR지표 예시 (2021-08-30)

VR지표는 주식거래량 비율(Volume Ratio)의

약자로 주가나 지수가 상승세를 타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하락세를 타면 거래량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고안된 지표로써 주가 상승일의

거래량과 주가 하락일의 거래량을 백분비로 나타냅니다.

또 다른 거래량 지표인 OBV(On Balance Volume)

지표가 주가나 지수의 추세를 예측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누적 차수이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

시세를 판단하거나 과거와 비교하기 어렵다는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가의 바닥권과 천장권을

판단할 수 있도록 개발된 보조지표 입니다.

일반적으로 VR 수치가 150%이면 보통 ,

300%를 초과하면 강세 , 450%를 초과하면

과열 이라고 판단하며. 또, 70%의 경우 약세 ,

40% 이하는 침체 라고 여깁니다.

VR지표의 값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VR이 200%라는 것은 상승한 날의 거래량이

하락한 날의 거래량의 2배라는 의미이며,
VR 100%는 상승한 날, 하락한 날의

거래량이 같다는 의미 합니다.

기아 일봉차트 - VR지표 예시

거래량 지표

안녕하세요 위기는기회다 입니다.

주식을 하면서 저는 중요하게 보는 점 중 하나가 기술적 지표입니다. 이슈, 거래량 지표 재무, 호재도 중요하지만 기술적 지표를 총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솔직히 저는 수급은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검은머리 외국인들도 있고, 고점에서 외국인, 기관 수급이 엄청난대 떨어지는 종목도 많습니다. (최근 신풍제약이 그렇습니다)

본 포스팅에 게시하는 목적은 저도 공부하기 위함이고, 이웃님들에게도 도움을 드리기 위함입니다. 추후 나의 입맛에 맞는 지표만 찾아서 본인만의 투자 기술을 확립하시는게 매우 중요하다는 점 말씀드립니다.

- 투자 결정을 확인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지표입니다.

- 주가는 시장의 거래량 지표 일시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나, 거래량은 시장의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겨루기로 나타나는 결과 물이기 때문에 시장의 실체라 할 수 있습니다.

- 거래량은 가격흐름 뒤에 숨어 있는 투자자의 거래욕구에 대한 강렬함이나 절박함의 척도이므로 시장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따라서 추세가 진행하고 있는 방향으로 가격이 움직일 때 거래량 지표 거래량은 증가합니다. 만약 거래량이 추세와 반대방향으로 나타난다면 거래량은 추세역전현상(Divergence)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추세전환이 임박해 있다는 신호입니다.

- 거래량은 추세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이기도 하지만 현재 형성되고 있는 주가패턴이 진정한 패턴의 형성인지 속임수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이중 천정형의 경우, 첫번째 정점의 거래량이 두번째 정점보다 많다든지, 헤드앤쇼울더(Head & Shoulder) 패턴에서 왼쪽어깨의 거래량이 가장 많고 머리에서 거래량이 적어지고 오른쪽 어깨에서 거래량이 가장 적어지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패턴의 이탈, 추세선의 이탈, 지지나 저항의 붕괴가 생길 때에도 거래량이 증가합니다.

매수는 적색으로 매도는 청색으로 표시되어 매도와 매수의 비율을 거래량 지표 알 수 있는 보조지표입니다.

거래량은 단순하게는 당일 또는 특정기간의 매매된 거래의 총량을 의미하지만, 거래량은 다른 기술적 지표 판단시에, 심리적 팩터로서 활용된다.

기술지표의 정석적 방법으로는 거래량과 주가와 괴리가 발생시, 즉, 주가는 상승하는데, 거래량은 지속적으로 하락트렌드일때는 주가는 추후에 하락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그러한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거래량은 그 외에도 주가 패턴 판단시의 보조지표로도 활용되어지고 있다.

거래량은 단순하게는 당일 또는 특정기간의 매매된 거래의 총량을 의미하지만, 거래량은 다른 기술적 지표 판단시에, 심리적 팩터로서 활용된다.

기술지표의 정석적 방법으로는 거래량과 주가와 괴리가 발생시, 즉, 주가는 상승하는데, 거래량은 지속적으로 하락트렌드일때는 주가는 추후에 하락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그러한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거래량은 그 외에도 주가 패턴 판단시의 보조지표로도 활용되어지고 있다.

Bostian's Intraday Intensity Index

David Bostian에 의해 개발된 지표로, 일일 가격과 거래량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지표로 오래되었다.

이는 대량으로 거래하는 기관투자자들의 행동을 따라하는 것을 의미한다.

Chaikin Money Flow

- Bomar증권의 Marc Chaikin은 이 Money Flow Index를 개발하였다.

- 이 지표는 21~22일을 한달로한 개념이 기본이 되어있다.

- CFI 값이 양수일 때 강세장을 나타낸다.

- CFI 값이 음수일 때 약세장을 나타낸다.

Daily Volume Index

당일의 매수와 매도세력을 거래량 지표 고려하여, 만든 거래량 지표의 일종이다.

GM McClellan Oscillator

- Greg Morris 거래량을 McClellan Oscillator에 적용 시키며 이 지표를 만들었다.

- 이 지표는 거래량이 충분치 않을 때는 주가가 꺽이는 경향을 이용한 것이다.

- 과매도와 과매수 개념은 McClellan Oscillator와 같으나, 약간은 다르다.

GM McClellan Summation

- Greg Morris 거래량을 McClellan Oscillator에 적용 시키며 이 지표를 만들었다.

- 이 지표는 거래량이 충분치 않을 때는 주가가 꺽이는 경향을 거래량 지표 이용한 것이다.

- McClellan 오실레이터의 누적값이다.

- 과매도와 과매수 개념은 McClellan Oscillator와 같으나, 약간은 다르다.

Morris Intraday Accumulator

종가와 일중 고가와 저가의 중간값과의 차에 거래량을 곱한 값을 누적한 것이다.

Volume Oscillotor

Volume Oscillator는 단기 거래량 이동 평균과 장기 거래량 이동 평균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매매에 이용하는 거래량 지표입니다.

- Volume Oscillator가 0선을 상향돌파 하게 되면 단기간의 거래량 증가추세가 장기간에 걸친 거래량 증가추세 보다 더 많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주가가 상승하게 되면 상승 장세라 하고,

- 주가가 큰 폭 상승 후 하락하기 시작할 때 거래량이 증가하게 되고 주가가 상승하는 도중 거래량이 감소하게 되면 약세 장세를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VR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거래량 지표 상승일의 거래량과 주가 하락일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로서 현재 주식 시장이 과열인지 침체인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일반적으로 VR 값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N일평균 거래량과 당일 거래량의 차를 N일이동평균선으로의 퍼센트로 나타낸 지표이다.

n일 간의 거래량 이동평균과 거래량과의 차를 n일간의 거래량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중요한 변곡정에서 값이 상승하는 성격이 있다.

거래량 지표

주식 보조지표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볼린저밴드, 이동평균선, 이격도 등등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hts인 키움의 영웅문에서 지표 추가만 눌러보아도 아래 사진처럼 무수히 많은 보조지표가 뜹니다. 오늘은 이 중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보는 OBV ( On Balance Volume)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BV는 거래량 이동 평균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거래량 지표 중의 하나입니다.

OBV는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만든 보조지표로 거래량을 통해 주가를 분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이며, 미국의 주식 분석가인 그랜빌의 이론 '거래량은 시세의 원동력이며 거래량은 주가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습니다.

금일 종가 < 전일종가 ⇒ 금일 OBV = OBV + 금일 거래량
금일 종가 > 전일종가 ⇒ 금일 OBV = OBV + 금일 거래량

OBV를 산출하는 기본 공식입니다. 쉽게 말해면 아래처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전일 대비 상승했을 경우, 거래량은 전량 매수했다고 생각하고 전일 거래량 지표 OBV에 가산합니다.

주가가 전일 대비 하락했을 경우, 거래량은 전량 매도했다고 생각하고 전일 OBV에 차감합니다.

주가가 전일 대비 그대로일 경우, 거래량은 무시하고 전일 OBV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3.OBV를 이용한 매매기법

OBV를 활용하는 주된 목적은 내가 분석하고자 하는 종목이 현재 매집 단계에 있는지 아니면 분산 단계에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습니다.

●만약 주가는 하락하고 있으나 OBV는 직전 저점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횡보할 경우 현재 매집 단계에 있다고 판단하여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 만약 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OBV는 직전 고점에 미치지 못하고 아래에서 횡보할 경우 현재 보유 주식을 처분하려는 분산 단계에 있다고 판단하여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중기, 장기 거래에 유용합니다.

-거래량을 통해 주가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거래량 지표 있습니다.

-주가의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누적된 거래량만 나타내기에 추세 전환 시 많은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으면 대응이 느립니다.

-자전거래 등 비정상적인 거래량이 발생될 경우 지표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OBV 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순히 보조지표 하나만 보고 매매하거나, 이를 맹신하는 것은 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투자에 참고하는 용도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Adidas manager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보조지표들은 캔들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지만, OBV지표는 거래량을 이용하여 투자자들에게 정보는 주는 지표입니다. 그리고 주식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나타내며 현재 주식시장이 분산 국면인지 아니면 매집 국면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특히 주식시장이 큰 변동 없이 저체 상태에 있을 때 주가의 향후 추세를 예측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쉽게 말해서 주가가 상승한 일자의 거래량과 하락한 일자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둘 중 어느 쪽이 더 큰지 나타냅니다. 주가가 상승한 일자의 총거래량에서 하락한 일자의 총거래량을 마이너스한 후에, 그 수치를 표로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OBV가 증가한다면 매집 활동이 활발하다는 뜻이고, 반대로 OBA가 감소한다면 물량이 분산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또 주가가 상승하고 OBA가 증가한다면 앞으로 계속 상승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주가가 상승하여도 OBV가 감소한다면 매수세가 약해지고 있다는 것으로 파악하여 하락 추세를 미리 예측하여 대응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OBA 보조지표는 주식시장의 대예언가라고 불리는 OBA이론의 창시자 조셉 그랜빌이 만들었습니다.

OBV의 개념 이해

OBV보조지표는 주식의 가격이 상승한 날과 하락한 날의 거래량을 표현한 지표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려도 먼가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해하면 정말 간단합니다.

OBA지표의 3가지 상황

OBV = 전날 OBV + 오늘의 거래량

OBV = 전날 OBV + 오늘의 거래량

3) 주가가 보합으로 마감한 날

원리를 보시면 정말 간단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주가 주가변동 예시 거래량 OBV인식 OBV값
1000원 - 150 150 =전날 OBV + 150
1100원 + 100원 300 + 300 450 = 전날 OBV + 300
1300원 + 200원 470 + 470 920 = 전날 OBV + 470
1200원 - 100원 260 - 260 660 = 전날 OBV - 260
1100원 - 100원 95 - 95 565 = 전날 OBV - 95
1000원 0원 200 0 565 = 전날 OBV

A라는 종목의 6일간 거래가 이루어진 것은 위와 같고 처음 OBV 값을 0이라고 가정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주가가 상승한다면 해당하는 거래량을 (+)로 표기하고 주가가 하락한다면 거래량을 (-)로 보합하여서 누적 값을 0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그 누적된 계산 값을 OBV지표값이라고 말합니다. 주가의 상승과 하락에 거래량의 힘을 계산하여서 지금 주식의 상승하는 힘과 하락하는 힘을 나타내는 보조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OBV 보조지표 적용 법

1) OBV 지표가 증가 추세 상황에는 매수시점으로 보고 OBV가 감소 추세 상황이라면 매도시점으로 인식하셔야 합니다.

2) OBV 지표가 횡보국면이라면 추세전환 임박한 신호로 받아들여서 대응을 하기보다는 관찰하는 것으로 행동해야 합니다

3) OBV 지표가 주식시장 가격의 변화 흐름보다 먼저 선행하기 때문에 OBV가 상승한다면 선도세력들의 보유자금들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온 후 일반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따라 들어오기 때문에 상승국면으로 전환할 것을 미리 예상할 수 있습니다. 주가 변동에 앞서서 거래량이 증감한다는 것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주식시장의 추세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매수

- OBV선이 장기적으로 상승추세에 있으면서 도중에 하락신호가 나타났을 때

- 진행 중이던 상승 추세선 상황에서 처음으로 하락신호가 나타났을 때

- 하락신호가 나타난 다음에 OBV선이 중요 지지선 상황에 위치했을 때

- OBV선이 하락 추세선을 상향돌파하함으로써 한두 개의 하락신호가 나타났을 때

매도

- OBV선이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에 있으면서 도중에 상승신호가 나타났을 때

- 진행 중이던 상승 추세선 상황에서 처음으로 상승신호가 나타났을 때

- 상승신호가 나타난 다음에 OBV선이 중요 지지선 상황에 위치했을 때

- OBV선이 하락 추세선을 상향 돌파함으로써 한두 개의 상승신호가 나타났을 때

OBV지표 매매전략

OBV의 값이 증가 추세 라면 매수세가 몰려들고 있다는 뜻으로 앞으로 가격 상승을 예측할 수 있고, OBV값이 하락 추세라면 매수세가 빠져나가고 있는 뜻으로 앞으로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래량 지표 이러한 말들은 현실성이 살짝 약할 수 있습니다. OBV추세와 가격 추세가가 비슷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앞으로 상황을 혜측하기 보다는 지금 현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UP, DOWN의 개념이 도입하게 됩니다.

만약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라면 OBV값은 전고점을 돌파하는 모습을 나타나게 되고, 그와 반대로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라면 전저점을 돌파하는 모습으로 나타내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돌파는 Up이라고 명칭 하는 매수신호를 의미하고, 전저즘을 돌파는 Down이라고 명칭 하는 매도신호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의 지표의 확대한 초록색 원 부분을 살펴보시면, A지점(전고점)이 B지점에서 돌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Up으로 표기하여 매수 신호로 인식하며 C지점은 전저점으로 이해하시고 D지점에서 하향 돌파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Down으로 표기되면 매도 신호로 인식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OBV 거개량 보조지표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거래량은 주식이나 가상화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거래량의 흐름을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저점에서는 상승과 동시에 나타난 큰 거래량은 추세전환을 예시하고, 그와 반대로 거점에서는 하락과 나타난 큰 거래량은 하락 추세전환을 예시합니다. OBV지표는 잠재적인 저항선과 지지선 부분에서의 흐름을 파악하여서 함께 활용한다면 훨씬 높은 적중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지표를 무조건적으로 맹신하시면 안 됩니다.

주식에는 절대 100%라는 것은 없기 때문입니다. 재무제표 및 상황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일봉과 주본 월봉을 통해서 꼭 확인하시고, OBV 지표 상승 타점에서 구매하시고 하락 타점에서 판매하신다면 손실은 최소환으로 하시고 이익을 최대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